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18

[외치이야기-45] 경계인은 농경사회의 적이다 우리는 이런 사실을 자주 잊는다. 외치가 레반트지역의 농사꾼의 후손이라고 하니 아무리 사냥꾼이라도 주변의 농경사회와 알콩달콩 잘 지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럴까. 역사적으로 볼 때 농업사회 주변의 수렵민들은 농경민들과 잘 지낸 적이 없다. 예를 들어보자. 완전한 수렵민이라고 보기는 어렵겠지만, 완숙한 농경사회인 한반도의 주변부 경계인의 역할을 하던 말갈족과 여진족은지금은 이들이 깡그리 사라졌으니 그렇지 장기간에 걸쳐 한민족의 숙적이었다.   이러한 또 다른 예는 일본사에서 동북지역에서 줄곧 치고받던완숙한 농경사회인 야마토와 수렵채집단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에미시의 대립도 그렇다.  이들 역시 거의 소멸할 때까지 야마토의 집중적 공략을 받았다.   그렇다면-. 외치는 어떨까? 그는 농경사회의 주변부 .. 2025. 2. 3.
[외치이야기-44] 초기 농경사회의 경계인 외치가 살아 있을 무렵 유럽은 이미 신석기 농경사회에 진입해 있었다. 이 농경사회의 기원은 레반트 지역에서 온 농경민들이라는 이야기도 했다. 그리고 유전적으로 볼 때 외치는 이 레반트 기원의 농경민에 속한다는 것도 말했다. 하지만 외치는 농민이 아니다. 그는 반농반수렵도 아니고현재로서는 완전히 수렵 채집에 기댄 생활을 영위하던 사람이었다고 보고 있다. 농경사회의 수렵인이라니, 그 실체가 무엇일까? 유럽에서의 신석기시대 농경의 확산을 그린 그림을 보자. 가장 먼저 레반트 지역에서 농경이 발생하고 이것이 에게해 주변으로 확산한다. 초기 농경은 지중해를 따라서 확산한다. 일부튼 다뉴브강을 따라 중부 유럽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문제는 외치가 발견된 지역인데, 여기는 알프스 산맥 때문인지 주변 지역보다 상당히 농.. 2025. 2. 3.
[외치 보유편] (7) 태투 외치Ötzi 몸에서는 곳곳에 피부에 작은 절개incisions를 하여 목탄charcoal을 문지른 선과 십자가 형태 문신 50개가 확인됐다.마모wear and tear 흔적이 있는 신체 부위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상징적인 가치가 아닌 치료적인 목적이었다는 견해가 있다.앞서 비교적 상세히 다뤘지만 보강 차원에서 상기해 놓는다. 2025. 2. 2.
[외치 보유편] (6) 가죽신 외치는 발견 당시 대략 5300년 전 가죽 신발leather shoes을 신고 있었다. 신발은 여러 겹으로 구성되었다. 안쪽은 라임나무 인피lime tree bast로 만든 끈망으로 구성되어 있다.단열을 위해 그물망 아래에 마른 풀을 채웠다.바깥신은 사슴가죽으로 만들어 밑창에 그물처럼 꿰매었다. 밑창은 곰가죽으로 만들었고, 안쪽에는 모피가 붙어 있었다. 신발은 인피 끈으로 발에 묶여있었다.   이를 토대로 재현한 신발은 실험 결과 장거리 여행 시에도 따뜻하고 편안한 것으로 나타났다.단, 습기 차단 기능이 거의 없어 아마도 젖은 풀은 때때로 단순히 교체했을 것이다.*** previous article ***[외치 보유편] (4) 동물 가죽으로 제작한 옷가지https://historylibrary.net/m.. 2025. 2. 2.
[외치이야기-43] 외치는 농경민인가 수렵민인가 외치의 당시 사회적 정체성을 말하자면, 이 사람은 농경에 의존하여 농사 짓고 살던 사람이 아니다. 죽을 때 가지고 있던 물건들, 그리고 여러 가지 검사결과를 종합하면 이 사람은 농사꾼이라기 보다는 사냥꾼에 더 가깝다고 보인다. 그러면 목축을 하던 사람이었을까? 지금도 알프스 산록에는 목축을 많이들 하는데 이런 목축업자의 선구가 되는 사람일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사람은 목축을 하던 사람도 아니다. 왜냐 하면 외치가 활동하던 무렵에는 아직 유럽에 목축이 성립하지 않았던 때이기 때문이다. 고고학적 보고로는 유럽의 목축은 외치보다 후대에 성립하였다고 하며, 무엇보다 재미있는 것은 외치의 유전자 검사에서는 그가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 보유자로서, 우유를 먹으면 설사를 하는 사람이었다는.. 2025. 2. 2.
[외치 보유편] (5) 위궤양 아이스맨 외치 the Iceman cÖtzi는 위염gastritis 이나 위궤양 stomach ulcers을 일으킬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박테리아Helicobacter pylori bacterium를 지녔음이 드러났다.이 대목 역시 추후 상세히 보강하기로 한다.  https://archaeology.org/news/2016/01/07/160107-iceman-helicobacter-pylori/?fbclid=IwY2xjawILhINleHRuA2FlbQIxMAABHaUG6Ba8G6_1dL6v9nAxQNJreV4xk5iADZ1ysBQbujoSLx8ihBnS8-AxYA_aem_00nsjmgy6NrcT3QmicSThQ News - Ötzi the Iceman Carried Ulcer-Causing Bac.. 2025. 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