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28

갈치조림 갈망한 11년 전 월맹국 會安 하도 많은 한국인 몰려가니 오죽하면 경기도 다낭시라 하겠는가?어찌하다 2014년 딱 이 무렵, 아마 우리가 겨울이라 더 그랬겠지만따뜻한 데 찾아가자 해서 지인들과 도원결의해 간 데가 월맹국 다낭이었으니그때도 이미 그곳은 한국인으로 넘쳐났다.지금은 더하다는 말도 들리지만 진짜 그런지는 이후 내가 간 적 없으니 모르겠다. 다낭이라는 데를 가면 필수코스로 몇 군데 들르는 데가 있으니 호이안이 개중 하나라 다낭에서 해변 따라 남쪽으로 잠깐 달리면 나오는 데가 저곳이니 이곳은 참파 왕국이라 해서 베트남 혹은 동남아 역사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족적을 남긴 그 정치체 중심이라 그와 관련한 무수족족한 유산이 있었다 기억하지만 그때 행차가 내가 주도한 것이 아니라, 아장아장 쫄래쫄래 따라간 것이기에 나한테 주체로 아주 .. 2025. 2. 26.
國家安康 君臣豊樂의 경우 이에야스가 도요토미 집안을 칠 때 명분으로 삼은범종에 쓰여진 명문이 다음과 같다 한다.國家安康 君臣豊樂여기서 덕천가강의 가강을 이름을 둘로 나누어 뽀개버리고, 풍신수길의 풍신은 임금 군과 즐길 락으로 둘러싸 놓아 이건 이에야스를 저주한 것이다, 라는 주장이다. 딱 들어보면 말도 안 되는 헛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그 말이 헛소리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가 아니다. 당대의 사람들이 이를 그렇게 새겼다는 게 문제 아니겠는가?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애신각라야 말로 분명히 음차이겠지만, 왜 하필 신라라는 한자를 골라 저렇게 파자해서 이름자에 끼워 써 놓았는가, 그것도 맹랑하게 해석될 여지가 있는 데도 불구하고, 그거야말로 아무도 모를 일이다, 그 뜻이다. 2025. 2. 26.
애신각라씨는 신라와 전혀 무관한가 애신각라씨愛新覺羅氏가 청나라 황실의 국성으로 이 성에 신라라는 한자를 조각내어 들어가 있어, 이는 신라를 사랑하고 기억하라는 뜻이다, 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이는 그런 뜻과는 무관하며 사실 각라란 만주어로 피붙이, 종족이라는 뜻이며 아이신은 금이다. 이는 신라 어쩌고와는 무관한 작명이다 라는 주장도 있다. 아마 그럴 것이다. 성을 한자로 표기할 때는 당연히 음차했을 것이고, 음차한 이상 원래의 뜻은 있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겠다. 그런데 문제는, 음차할 때 과연 그 한자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왜 하필 그런 한자를 택하는가 하는 것이 이는 음차다, 라는 말과 과연 병립할 수 없는 주장인가 하는 문제가 있겠다. 예를 들어 보자. 신라라는 나라 이름은 분명히 그냥 나온 것이 아.. 2025. 2. 25.
2007년 Current World Archaology 이것저것 정리하다 보니 과거에 실린 기사가 눈에 띈다. 2007년, 필자가 조선시대 미라 연구를 수행하던 초창기 때 기사로 Current World Archaeology 라는 아는 사람은 알 만한 영국 고고학 잡지에 처음 조선시대 미라 이야기가 나갔다. 이 기사가 조선시대 미라 관련 기사로는 국제적으로 처음 나간 기사였으며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우리 나라 미라 소식이 해외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아래는 같은 해, 미국의 Archaeology에 실린 우리나라 미라 기사이다. 당시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조선왕조 영문 명칭이 Choson일지 Joseon일지도 결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필자가 초창기 논문 쓸 때는 Choson으로 쓰게 하다가 중간에 Joseon 으로 바뀌었다. 조선왕조를 Choson으로 썼던 .. 2025. 2. 25.
[연구실소식] 일본 출간 단행본과 조선시대 미라 단행본, 그리고 인디아 단행본 두 권이 이제 집필 막바지에 들어가 있다. 하나는 이전에 말씀드렸던 일본에서 출간 예정인  歯科古病理学最前線績文堂出版에서 출간 예정이며 현재 교정쇄 검토 중이다. 일본어로 출간된다. 다음은 조선시대 미라 단행본으로 출판사와 가계약 상태이며 원고 탈고가 목전에 있다. 올해 안에는 책이 출판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국에서 출간한다. 이 책은 필자가 20년 동안 작업 해 온 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연구의 종지를 찍는 작업이다. 이 작업 후 앞으로 조선시대 미라 연구는 필자의 손을 떠난다. 오창석 홍종하 교수가 앞으로의 연구라는 무거운 짐을 지고 갈 것이다. 한편-. 이전에 Archaeopress에서 1권을 간행한 인더스 문명 라키가리 유적 보고서2권을 내자는 이야기가 인도 측과 이야기가 오가고 있.. 2025. 2. 25.
14년 전 담은 앙코르 바푸온 사원 부조 2014년 2월 25일마침 캄보디아 시엠립을 갈 일 있어그날은 각 잡고 앙코르 톰 저 바이온 사원 회랑 부조 한 번 다 찍어보자 해서 한 바퀴 돌며 내가 필요한 세부 장면까지 다 촬영했다.빛이 가장 중요한데, 동남아라 해서 북쪽에 해가 들 날 있겠는가?모르겠다, 혹 지구가 뒤집어져서 남쪽이 북쪽이 되면 그런 날이 있을지.동시간 대에 동쪽과 서쪽을 같은 빛 조건에서 담을 수는 없다. 남쪽이야 그런 대로 해가 동쪽에 있건 서쪽에 있건 상관이 없고 그 빛도 대낮 뙤약볕이냐 일출인가 일몰인가에 따라 사뭇 달라 보통은 저 일출 일몰이어야 구리빛 들기름 잔뜩 칠한 근육질 몸매가 나겠지만그만한 열정 혹은 시간을 투여할 조건이 나 같은 방랑객한테 허용되기는 쉽지 않거니와 주어진 조건에 타협할 수밖에 없다.   혹 기회.. 2025.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