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28 [외치 보유편] (6) 가죽신 외치는 발견 당시 대략 5300년 전 가죽 신발leather shoes을 신고 있었다. 신발은 여러 겹으로 구성되었다. 안쪽은 라임나무 인피lime tree bast로 만든 끈망으로 구성되어 있다.단열을 위해 그물망 아래에 마른 풀을 채웠다.바깥신은 사슴가죽으로 만들어 밑창에 그물처럼 꿰매었다. 밑창은 곰가죽으로 만들었고, 안쪽에는 모피가 붙어 있었다. 신발은 인피 끈으로 발에 묶여있었다. 이를 토대로 재현한 신발은 실험 결과 장거리 여행 시에도 따뜻하고 편안한 것으로 나타났다.단, 습기 차단 기능이 거의 없어 아마도 젖은 풀은 때때로 단순히 교체했을 것이다.*** previous article ***[외치 보유편] (4) 동물 가죽으로 제작한 옷가지https://historylibrary.net/m.. 2025. 2. 2. [외치이야기-43] 외치는 농경민인가 수렵민인가 외치의 당시 사회적 정체성을 말하자면, 이 사람은 농경에 의존하여 농사 짓고 살던 사람이 아니다. 죽을 때 가지고 있던 물건들, 그리고 여러 가지 검사결과를 종합하면 이 사람은 농사꾼이라기 보다는 사냥꾼에 더 가깝다고 보인다. 그러면 목축을 하던 사람이었을까? 지금도 알프스 산록에는 목축을 많이들 하는데 이런 목축업자의 선구가 되는 사람일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사람은 목축을 하던 사람도 아니다. 왜냐 하면 외치가 활동하던 무렵에는 아직 유럽에 목축이 성립하지 않았던 때이기 때문이다. 고고학적 보고로는 유럽의 목축은 외치보다 후대에 성립하였다고 하며, 무엇보다 재미있는 것은 외치의 유전자 검사에서는 그가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 보유자로서, 우유를 먹으면 설사를 하는 사람이었다는.. 2025. 2. 2. [외치 보유편] (5) 위궤양 아이스맨 외치 the Iceman cÖtzi는 위염gastritis 이나 위궤양 stomach ulcers을 일으킬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박테리아Helicobacter pylori bacterium를 지녔음이 드러났다.이 대목 역시 추후 상세히 보강하기로 한다. https://archaeology.org/news/2016/01/07/160107-iceman-helicobacter-pylori/?fbclid=IwY2xjawILhINleHRuA2FlbQIxMAABHaUG6Ba8G6_1dL6v9nAxQNJreV4xk5iADZ1ysBQbujoSLx8ihBnS8-AxYA_aem_00nsjmgy6NrcT3QmicSThQ News - Ötzi the Iceman Carried Ulcer-Causing Bac.. 2025. 2. 2. [외치 보유편] (4) 동물 가죽으로 제작한 옷가지 유전자 분석에 따르면 아이스맨 외치(Ötzi the Iceman) 옷장 옷가지wardrobe는 가축과 야생 동물domesticated and wild animals 가죽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이 역시 자세한 사항을 보강하기로 한다. Digs & Discoveries - Ötzi’s Sartorial Splendor - Archaeology Magazine - November/December 2016A new study has concluded that the wardrobe of the 5,300-year-old ice mummy known as […]archaeology.org *** previous article *** [외치 보유편] (3) 활과 화살통https://historyli.. 2025. 2. 2. [외치 보유편] (3) 활과 화살통 아이스맨 외치Ötzi the Iceman 유해 주변에서는 화살통quiver 하나가 수습됐으니그에는 14개 화살arrows이 있었고그런 화살들은동물의 다리 힘줄animal leg sinews로 묶었음이 드러났다.연구원들은 이 힘줄이 주목으로 제작한 활yew bow의 끈string을 교체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말한다.이에 대해서는 추가 자료를 더 찾아서 보강토록 하겠다. https://archaeology.org/news/2019/12/23/191223-otzi-bow-quiver/?fbclid=IwY2xjawILgoxleHRuA2FlbQIxMAABHZPTxCErtb8mWTESUB8GfXv31vSdNAX_JNn71o5RiobHStpyv5LIP6DJhQ_aem_AxT1yh8FKZ-CmHl9rsUWTA *** .. 2025. 2. 2. [외치이야기-42] 유전자가 푼 EEF의 정체 미궁에 빠질 것 같은 EEF 정체도 빠르게 발전하는 고대 DNA 기술에 의해 마침내 돌파구가 열렸다. EEF에 관련하여 보고된 몇 개 연구가 있다. 소개해 보면-. 먼저 영국에서 발견된 중석기 및 신석기시대 인골에 대한 고대 DNA 연구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 영국의 중석기시대인은 유럽의 수렵채집민과 계통이 같은 반면, 같은 지역의 농경민을 대표하는 신석기시대인은 지중해를 따라 퍼져나간 EEF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이 연구대로라면 영국의 신석기인은 처음 레반트 지역에서 출발한 초기 농경민의 후예가 되겠다. 여기서 외치로 다시 이야기를 돌리면-. 외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전학적 분석이 시행되었는데, 부계유전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레반트 지역에서 출발한 초기농경민의 유.. 2025. 2. 2. 이전 1 ··· 460 461 462 463 464 465 466 ··· 350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