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61

부월斧鉞, 전권을 틀어쥔 그 상징으로서의 도끼 부월斧鉞이라 하는 도끼다. 내리 찍어 무엇을 치기 위한 도구다. 도끼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이리 생겨먹은 것을 부월이라 하며 군권, 절대 권위를 상징한다.물론 저런 부월을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마구잡이로 휘둘러 적의 목을 칠 때 쓰기도 하는 모습을 가끔 보지만 웃기는 소리라저건 순전히 개똥폼 내기용이며 내 방에 개폼으로 걸어두는 장식품이다. 장군이 출전을 하면 저런 부월을 최고권력자한테서 받는다. 예서 문제는 그 장군이 이끄는 군대가 우리 국경 안인가 밖인가가 문제가 되거니와 요새는 원격통신이 발달하는 바람에 저 부월이 지닌 의미가 많이 퇴색해버려 각국을 막론하고 출전한 장군이 전권을 틀어쥐고서 그의 상황 판단에 따라 작전을 수행하는 일은 없다.최고사령관이라 해서 국군통수권자 모든 명령에 따라 움직인다... 2025. 4. 1.
[202501] 쾰른풍경 (4)쾰른 동아시아 박물관 Museum für ostasiatische Kunst Köln(MOK) by 장남원 피셔 부부의 한국미술 컬렉션으로 알려진 곳이다.아돌프 피셔(Adolf Fischer, 1856~1914)와그의 아내 프리다(Frieda, 1874~1945)가 수집한아시아 컬렉션은 박물관의 근간이다. Museum für Ostasiatische Kunst Köln€ 9,50 / € 5,50 Wegen Ausstellungsumbau gilt ab 6.3. bis 4.4..: € 7,50 / € 4,50 KölnTag jeden ersten Donnerstag im Monat (Feiertage ausgenommen): freier Eintritt für alle Kölnerinnen und Kölner (mit Nachweis) mehrmuseum-fuer-ostasiatische-kunst.de .. 2025. 4. 1.
부관참시는 이젠 그만, 고급져야 할 광복 80년 식민잔재 청산의 죄악1. 쇠말뚝 소동 2. 벗나무/금송 뿌리뽑기 3. 남대문 동대문 명칭 없애기 4. 천황봉 말살하기 5. 義旺에서 義王으로 6. 仁旺山 블루스(2013. 4. 1)7. 송진 강탈 신화 (추가)  저 난동들이 식민유산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그리 떠들어도 때만 되면 오뚝이처럼 부활해서 준동하곤 한다. 저에서 자유로워졌는가? 올해 광복 80주년이라 해서 또 다시 저 혹은 저 비스무리한 유령들이 다시 소환되어 춤을 추게 될지도 모르겠다. 좀 고급진 그런 광복 몇 주년이었으면 싶다. 한풀이 하듯이 응어리 풀듯이 없는 유령 있다고 끄집어 내어 부관참시할 것이 아니라 오늘을 반추하며 내일을 내다 보는 그런 자리들 말이다. 언제까지 없던 태극기 내어 꺼내들고 만세삼창을 해야 하겠는가? 광복절에 태극기.. 2025. 4. 1.
연구소식: 일본의 매독과 東海道中膝栗毛 아래 글은 2022년에 이 블로그에 포스팅한 필자 연구 비망기였던 바, 현재 이 내용을 논문화하여 올해 일본 학술지에 싣기 위한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논문은 일본어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지라 일본어로 쓰고 있다. 조만간 출판될 것 같아 미리 다시 주의를 환기 해 둔다 (신동훈 識) ***************** 매독은 1492년, 신대륙발견과 함께 구대륙으로 전파된 이후 아주 짧은 시간에 전세계를 휩쓸었는데 동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일본이 비교적 일찍 전파되었고 한국은 상대적으로 이보다 느리다. 전 세계를 누비던 세계무역의 확대와 매독의 전파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었기 때문에 개항이 상대적으로 늦은 조선이 매독에 상대적으로 늦게 노출된 것은 그런 의미가 크다. 흥미로운 것은 인류학적 연구에 의해 .. 2025. 4. 1.
[마왕퇴와 그 이웃-74] 귀부인에게 있었던 결핵의 흔적 1호묘 귀부인에게는 결핵 흔적이 있었다. 사실 결핵은 인류와 함께 아주 오래된 질병으로 아직도 전 세계에 결핵으로 많은 사람이 죽는다. 이 때문에 옛날 질병을 연구하는 고병리학자들 사이에 결핵은 반드시 규명되어야 하는 질병의 하나이고 많은 연구자가 결핵의 기원 구명에 매달려 있다. 사람 결핵은 사실 그 시작이 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소에도 결핵이 있고 사람 결핵의 사촌쯤 되는 녀석이다. 일반적으로 소의 사육이 시작되면서 소 결핵이 사람으로 넘어 왔다고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었는데이것도 최근 유전학적 연구 발달로 이설이 많다.사람한테서 되려 소로 넘어갔다고 하는 주장도 봤고, 소 결핵과 사람 결핵 사이의 공통 조상이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 어느 쪽이 옳건 간에 어쨌건 결핵은 20세기 초반 동아시아에 아.. 2025. 4. 1.
[마왕퇴와 그 이웃-73] 참외씨가 발견되다 마왕퇴 1호묘의 귀부인에서는 참외씨가 발견되었다.참외씨가 발견된 곳은 식도, 위, 대장, 소장 등지에서 총 138개 정도가 확인된 모양인데, 이 "참외" 씨가 나온 곳이 대장에까지 미치고 있던 것을 보면 돌아가시기 전 한 번만 드신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 나누어 섭취했을 가능성이 있다. 위에서 확인된 것은 그렇다 쳐도 대장에서 확인된 것은이미 섭취한지 상당 시간이 지난 것으로 위에서 확인된 참외씨와는 다른 시점에 드셨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각설하고,이 "참외씨"는 마왕퇴 보고서 등을 보면 甜瓜라고 되어 있는데 사실 이것을 참외라고 번역하는 것이 정확한지는 알 수 없다. 사실 지금 동아시아에서 "참외"는 한국이 가장 많이 먹는다. "참외"와 "멜론"은 학명이 Cucumis melo로 동일하여 같은 종.. 2025.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