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25

인재 확보 전쟁 시대에 한국이 살아남는 방법 최근에 미중간 경쟁을 보면 결국 요점은 누가 인재를 한 명이라도 더 확보하느냐에 사활이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필자가 보건데, 어떤 나라나 어떤 사회나 유능한 인재가 생산되는 비율은 거의 비슷하다. 이들을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 그리고 완성된 인재풀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심지어는 어떻게 다른 사회가 만들어 낸 인재를 효과적으로 뺏어 올 것인가가 그 사회의 성패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가 배출하는 인재를 한 명이라도 우리 사회에 어떻게 더 붙잡아 두고나아가서 해외의 인재를 어떻게 한국에 한 명이라도 더 끌어올 것인가, 이 부분에 대한 국가적 어젠다 공유가 현재 거의, 아직 시작도 안한 상태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 사회는 인재를 붙잡아두기는커녕 있는 인재도 도망갈 판이다. 이런 것은 인.. 2025. 2. 1.
[외치이야기-37] 왜인은 한반도 남부에서 형성되었는가 외치의 고대 DNA 연구의 이해를 위해 야요이인의 SNP의 결과에 대한 설명을 더 써 본다.필자가 이전에 올렸던 글을 조금 수정하여 다시 등재한다.****최근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나온 기술에 착안하여 한반도 남부에 왜인이 살고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최근 일본에서는 아예 왜인, 이때는 도래계 야요이인이 합쳐져 만들어진 현대 일본인의 조상을 말하는 것이지만, 왜인 그 자체가 한반도 남부에서 형성되었다는 주장이 인류학자들 일각에서 주장되기 시작했다. 사실 이러한 주장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비슷한 이야기가 반도왜인설이라는 주장으로 외국학계에서 이미 나온 것으로 안다.그 주장이 인류학적, 유전학적 연구에 의해 새롭게 주장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때 "왜인이 한반도 남부에서 형성되었다"라고 하는 주장은 우.. 2025. 2. 1.
[외치이야기-36] 야요이인과 SNP SNP은 에스-엔-피라고 읽기도 하지만전공자들은 스닙이라고도 많이 읽는다. 독자분들도 스닙이라고 읽어주셨으면 한다. 아래는 필자가 이전에 올린 글로 야요이인의 기원에 대한 글인데일본 국립과학박물관 시노다 박사라는 분이 발표한 것으로 현재 일본의 분자인류학계에서는 가장 자주 인용되는 결과이기도 하다. 여기 인용된 내용이 바로 SNP을 이용해 계산한 것이다. 요약하면, 일본의 고인골에서 추출한 고대 DNA에서SNP정보를 다수 획득하여 이를 통계처리 한 다음 2차원 그래프에 표시한 것이 아래 그림이다. SNP을 인류이동사의 규명에 사용한 예로서아래 설명을 읽어주시기 바란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SNP을 분석한 결과 도래계 야요이인은 현대 일본인과 동일하다. 원래 일본열도에 살던 선주민인 조몽인과.. 2025. 2. 1.
네덜란드선 유물 털리고, 한글박물관은 화마에? 박물관 수난시대 작금 박물관계는 암울하다.네덜란드에서는 한 박물관이 야음을 틈타 도둑님들이 폭발물을 터뜨려 문을 따고 들어가시고선 그곳에 대여 전시 중인 루마니아 국보급 문화재 넉 점을 싸서는 유유히 사라진 일이 전해지더니 오늘 아침 나는 내 눈을 의심했으니, 서울 용산 국립한글박물관이 화마에 휩싸였다는 급보가 타전된다. 처음 나는 저 소식을 들으면서 그 인근 어딘가에서 불이 났다는 말로 들었지만, 이내 TV 화면을 보고선 내 눈을 의심했으니 옥상으로 검은 연기가 모락모락도 아니요, 옛날 석탄을 때던 공장 굴뚝에서나 볼 법한 시커먼 연기가 거대한 규모로 치솟는 장면이 아닌가? 듣자니 박물관은 지난 10월 이래 리모델링을 위해 휴관하고서는 관련 공사 중이었다 하거니와, 아마도 이 공사 과정에서 불길이 일었는지 하겠거니와,.. 2025. 2. 1.
[외치이야기-35] SNP: 우리를 다르게 만드는 차이 인류는 같은 종이다. 그럼에도 서로 다르다. 피부색도 다르고 머리카락도 다르다.심지어는 같은 인종끼리도, 같은 나라 사람들끼리도 모습이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이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라는 것이 있다. 인류의 유전학적 연구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이라 여기서 간단히 설명한다. 인류에 대한 유전 정보가 급증하면서 전 세계 인류는 서로 거의 비슷한 DNA를 공유하지만 아주 아주 미세하게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보듯이 거의 동일하게 가던 유전 정보가 어느 지점에서 한 군데 서로 다른 정보를 갖는 곳이 있다. 이러한 개체간 변이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최근 유전학적 연구에서 각광을 받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2025. 2. 1.
[외치이야기-34] 미토콘드리아 DNA 고대 DNA에 대한 기사를 볼 때,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미토콘드리아 DNA가 무엇일까? 일단 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유전을 보는 것이다. 이것을 기억해 두자. 미토콘드리아는 우리 몸의 세포 안에서 에너지 생산을 담당하는 소기관이다. 아래 그림을 보자.   우리 몸의 세포는 핵 (nucleus)과 세포질(cytoplams)으로 나누어진다. 위 그림에서 핵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세포질이다. 세포질안에 mitochondria라고 적어 놓은 누에 모양 구조물이 보일 것이다. 이것이 미토콘드리아다.미토콘드리아는 원래 독립적 생활을 하던 박테리아로 생명체의 진화단계 어느 시기인가에 세포 내로 들어와 공생관계를 형성했다고 생각하는 소기관이다. 이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를 생산해 생명.. 2025. 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