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61

카메라 부작용이 포착한 첨성대 야경 요새 폰 카메라에는 이런 현상이 거의 보정됐다고 안다. 초창기 혹은 그 이후까지 갤럭시 계열 폰 카메라 야간 촬영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폰 기능이 향상하면서 저와 같은 부작용? 도 만힝 개선되어 이제는 저런 일이 거의 없을지 모르겠다. 2013년 4월 1일 경주에 있을 적에 갤럭시로 촬영한 것이라 야릇한 현상이라 외려 저 기능을 활용하는 시대로 가지 않을까 한다. 혹 저런 기능을 살릴 수 있다면 말이다. 사진이 실사實寫를 대표하는 시대는 갔다. 뽀샵이라는 이름으로 하도 꼬아 대고 화장칠 짙게 하기 때문이다. 하긴 눈을, 카메라를 어찌 믿는단 말인가? 2025. 4. 1.
여자란? 외출할 때면 항상 입을 옷이 없는 사람이다.By 울 동네 미장원 사장님 2025. 4. 1.
[어떤 독서일기] (5) 새벽을 위한 증언이 촉발한 코펜하겐 앓이 나는 이상한 습성이 있어 도서관에서 대출해서 책을 읽지 않는다. 반납해야 하는 그 일이 번거롭기도 하거니와 무엇보다 내것이 아닌 데 대판 반발이 있어 더 그렇다.내가 다른 수집벽은 없어도 책 만큼은 산더미처럼 쌓아둔 까닭이 저 대출비피증 때문이다.나 같은 놈만 있음 전국 도서관 세겨 도서관은 망한다.연세대도서관...아마 장서 규모가 역사만큼 대단할 것이로대 그래서 내가 필요한 책은 웬만큼 다 있었겠지만, 나는 예서 책을 대출해 본 적이 거의 없다. 그 재학 4년 동안 저에서 빌려본 책 열손가락에 꼽힐 것이다. 내가 기억하는 유일한 대출 목록이 김중배 선생 논설집 《새벽을 위한 증언》이었다. 아주 짧은 문고본이었다고 기억하며 선생은 언론인 출신으로 동아투위 해직기자 출신이며 훗날 한겨레 대표까지 지내게 된.. 2025. 4. 1.
서양에 완패하고 박물관에 쳐박힌 다리미와 인두 전통 다리미 혹은 숯다리미로 검색하니 이 사진이 걸려드는데 숯다리미와 인두(사진출처 전주역사박물관)라 뜬다. 왼쪽 세 개 편편넓적 자루 달린 철제 기구가 철제 다리미요, 그 오른쪽 두 점 똥꼬 쑤심용 기구가 인두다. 저 두 가지 모두 옷감을 다림할 때 썼다. 아버지 외출할 때 우와기 가다마이 걸칠 때면 엄마가 입에다 냉수 뿜뿜 뿜어 다렸으니, 저 인두질 다리미질 할 때 나는 누나랑 양쪽에서 옷감을 당겼다. 그 물 뿌리는 장면이 저걸 사용하던 시대를 배경으로 삼은 영화나 드라마에 더러 보이는데 결국 저 다리미 인두도 양놈산과 쟁투랄 것도 없고 처철히 패배하고선 모조리 박물관이나 가 있는 신세다. 전기가 없던 시대, 옷감을 다림은 해야겠고 해서 개발한 것이 저 다리미 인두다. 저것도 불조절 잘못하면 시커멓게.. 2025. 4. 1.
이빨이 부정한 아메리카 원주민 조몽 기원론 유물 눈대중 기초한 이주론? 믿을 수 없다고대 치아 분석, 아메리카 원주민이 일본에서 유래했다는 이론에 의문 제기 생물학적 증거는 고고학적 발견과 "전적으로 일치하지 않아" 아메리카 인디언은 흔히 말하기를 아시아계 몽골인, 특히 일본 열도 조몽인과 연결하지만, 기원은 여전히 확실치 않다. 치아 분석 결과 아메리카 원주민이 고대 일본 조몽인과는 직접 연결점이 없다는 연구성과가 2021년 10월 13일 온라인 공개된 PaleoAmerica에 탑재됐다.수년 동안 고고학자들은 북미에 살았던 최초의 사람들이 약 1만5천년 전에 고대 일본을 점령한 조몽족 후손이라고 예측하곤 했다. 이 무렵 저들이 베링해를 건너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했다는 것이다.물론 당시 베링해는 베링 육교Bering Land Bridge라 해.. 2025. 4. 1.
워털루 이빨, 죽은 병사 이빨은 보철이 되고 뭔가 하겠지만 워털루 이빨TEETH OF WATERLOO이다. 도대체 뭐가 특별할까? 1815년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패배했지만, 영국과 프랑스 양쪽에서 군인 약 5만 명이 사망한 대참사다.  죽은 병사들은 매장하기 전에 건강한 병사들 치아는 뽑아서 영국에 보냈다. 이 치아는 틀니(의치) 제작에 사용되었니 이를 "워털루 치아"라고 불렀다.  그 뒤에는 워털루랑 상관 없이 실제 치아로 만든 모든 보철물은 이렇게 일컫게 되었다.   이런 거 보면 참말로 인간이란 존재가 알다가도 모르겠다.   좀 더 상세한 내용은 아래 bbc 기사 참조  https://www.bbc.com/news/magazine-33085031 The dentures made from the teeth of dead soldiers .. 2025.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