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68

부여 고구려는 유목민이 아니다 그리고 원래 유목민이었다가 어영부영 농경문화에 들어온 그런 사람들도 아니다. 부여 고구려는 농경민, 그 중에서도 잡곡을 바탕한 잡곡농경민이다.원래 잡곡농경민이 각종 가축사육이 많다. 황하유역도 용산문화 시기에 이미 우리가 생각하는 농경사회에서 사육하는 거의 대부분의 가축 사육이 완성되었다. 부여 고구려는 삼국지 동이전 보면 없는 가축이 없다. 이 사람들이 유목민이라 그런 것이 아니다. 잡곡농경민이기 때문이다. 잡곡농경민은 원래 가축 사육을 끼고 살았다. 이 부여 고구려 유목민설에 기마민족론을 희안하게 결합하여 탄생한 것이 한국인의 조상이 원래 말타면서 유목했을거라는 건데한국문화는 유목문화에 기원한 적도 없고 유목민이 주류였던 적도 없다. 잡곡농경이냐 도작농경이냐그 차이만 있을 뿐. 중국에서 황하문명이냐 .. 2024. 10. 1.
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이 조선시대 농촌이 아니다 새마을운동은 우리나라 농촌을 엄청나게 바꾸었다. 경지정리부터 주택개량, 도로포장, 종자개량 등등 가난에 찌든 농촌의 모습을 바꾸었다.그런데-.우리는 이 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을 수천년간 이어져 온 한국의 전통적 농촌이라 생각한다.쉽게 말해서 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이 조선시대 농촌의 모습이라 생각한다는 말이다.그런데,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촌은 조선시대 농촌과 같은 것이 아니다.조선시대 농촌과 새마을 운동 이전의 농촌도 사실 알고 보면 다른 것이다.우리가 지지리도 못 살았다고 생각하는 새마을 운동 이전의 농촌.그런데 그 지지리도 못살았던 그 농촌보다 더 못 살았던 것이 조선시대 농촌이다.한국인이 닭고기를 제대로 먹게 된 건 70년대 전기통닭집부터다.돼지고기는 요즘 소고기보다 싸고 하니 옛날에는 많이 먹었을 것.. 2024. 10. 1.
대따시 폼 나는 괴베클리 테페 뭐 볼짝없이 튀르키예 괴베클리테페 Göbekli Tepe인데 사진이 좋아 뽑아다 소개한다. 입 아프게 소개했듯이 이곳은 11,000년을 거슬러올라가는 초초기 신석기 거석기념물.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으로 통용한다. 이 고고학적 경이로움은 조직된 도시가 존재하기 훨씬 전에 발전된 영성spirituality을 보여주며 초기 인류 사회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다시 쓰게 했다. 2024. 10. 1.
나한테 복만 준다면야, 이시스와 아프로디테가 결합한 새로운 여신 이른바 문화융합 혹은 문화교섭은 시간과 공간을 막론한다. 나한테 복을 내려준다는데 그 귀신이 서양귀신이건 무슨 귀신이건 무엇이 문제겠는가?이시스-아프로디테 Isis-Aphrodite. 이시스는 이집트 기반이요 아프로디테는 그리스 기반이다. 둘 사이에는 이렇다 할 공통분모가 크지는 않지만, 이걸 받아들이는 쪽에서는 둘을 착종해서 새로운 신 하나를 만들어냈다. 미와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에다가 다산을 앞세운 이시스를 붙이면? 이시스는 결혼과 출산과 관련하며 환생 또한 연동한다. 누이 좋고 매부 좋고.원반과 뿔로 머리를 장식한 이집트 그리스-로마 신.  이런 짬뽕 양태 여신은 가정집과 무덤에서 모두 발견된다. 이미 기원전 3~2세기에는 저런 짬뽕이 인기를 끌었으며 로마시대가 완전히 개막한 이후에도 인기는 더해.. 2024. 10. 1.
사슴이 사라져갈 때: 왜 소가 소비되었을까 꿩과 닭이 가진 대체재적 성격을 여기 여러 차례 써 보았지만, 이런 대체제 성격을 지닌 또 다른 예가 사슴과 돼지다. 이 둘도 하나가 많으면 다른 하나가 적다. 예를 들어 사슴뼈가 많이 나오는 곳은 돼지뼈가 적다. 사습뼈가 줄면 돼지뼈가 늘어난다. 이 둘은 대체재 성격이 있는 셈이다. 이건 세계적 현상이다. 우리도 발굴현장에서 사슴뼈가 많이 나온다. 사습뼈가 많이 나오는 곳은 단백질 공급을 사슴고기로 하고 있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재미있는 것은 우리나라는 사슴고기 소비가 줄어들면서 돼지 소비가 늘어난 것이 아니고 조선시대에는 소를 잡아 먹었다는 사실이다. 정부에서는 잡아 먹으면 안된다, 농사를 지어야 하니까 라고 했는데 그래도 잡아 먹었다. 소를.이유는? 돼지가 크기도 작고, 성장도 느려서 육고기 공급을.. 2024. 10. 1.
황남대총 앵무조개와 강소성 앵무조개 연전에 국립중앙박물관 쪽에서 경주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앵무배 한 쌍에 대한 보전처리 성과를 발표한 적이 있었다. 사진 위 두 장은 출토된 상태 것이고 아래는 그것을 토대로 원형을 추정한 형태다. 이런 연구성과는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김종우 학예연구사 이름으로 그네들 잡지 '보존과학' 제22집(2019)에 게재한 '경주 황남대총 출토 신라 앵무새'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되었거니와 그에서 김종우는 "1973~75년 조사된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금동제 조개 유물을 분석한 결과 앵무조개 금제와 금동제잔 1쌍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했다. 그에 의하면 종래 그 보고서에서는 금동제 패각 장식구편金銅製貝殼裝飾具片이라고 등록된 한 쌍 조개 유물을 분석한 결과 이 조개장식은 앵무조개과로 확인됐고 금동제와.. 2024.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