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78

이역만리 페르시아 문물을 수입한 북극 영구동토층 지역사회 Scientists this week opened the mummified child's remains cocooned in birch bark and copper which - combined with the permafrost - produced an accidental mummification. 'The body was covered with copper or bronze plates on the face, chest, abdomen, groin - and bonded with leather cords' 과학자들이 자작나무 껍질과 구리로 고치를 만든 미라화한 한 아이 유해를 열었는데, 이는 영구 동토층과 결합되어 우연히 미라화한 사례다.'시신은 얼굴, 가슴, 복부, 사타구니에 구리나 청동 판으로 덮.. 2025. 3. 13.
말퀴Mallqui, 후손의 번영을 보장하는 잉카의 조상 미라 Mallquis or Mummies: Mallquis were the mummified remains of Inca rulers during the height of the Inca Empire (Tawantinsuyu). 말퀴mallqui는 잉카 제국(타완틴수유Tawantinsuyu)이 절정에 달했을 때 잉카 통치자들의 미라화한 유골을 말한다.미라화는 모두에게 흔한 관행은 아니었지만 큰 의미가 있는 조상들을 위해 예약되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잉카 파차쿠텍Inca Pachacutec이 말퀴나 미라 전통을 시작했다.그는 쿠스코 왕국 Chiefdom of Cusco 아홉 번째 사파 잉카 Sapa Inca(최고 지도자)이자, 잉카 제국 첫 번째 황제로 재위 기간은 1418~1472년으로 여겨진다. 그 유명한.. 2025. 3. 12.
[그 시절 무령왕릉 공부](1) 경복궁 국립문화재연구소 한때 무령왕릉을 제대로 공부 혹은 이해하고 싶다 해서 닥치는 대로 자료를 긁어 모으던 시절이 있었다.그때 인터넷 시대에 막 돌입하기는 했지만 지금과는 사정이 또 왕청나게 달라 근간은 필요한 자료 논문 자료집은 일일이 도서관 가서 대출하거나 복사 혹은 스캔을 하던 시대였다. 그 무렵 자주 이용한 데가 국립문화재연구소, 지금의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자료실이었다. 난 여기 가서 살다시피 했다. 물론 기자질을 해야 했으니 여가엔 이 자료실을 그만큼 자주 이용했다는 의미다.당시 자료실장이 성함이 각중에 안 떠오르는데 안 머라 하던 분이었으니 이 즈음 퇴임했거나 앞두고 있을 것이다.참 신세 많이 진 분이었다.그 연구소가 지금의 경복궁 안 국립고궁박물관 북쪽 인접 지점에 있던 시절이었다. 지금은 대전으로 내려가면서 건물.. 2025. 3. 12.
마왕퇴 무덤 판대기 앞에서 촬영 시점은 2007년 10월 25이라, 20년 가까이 되어가는 과거의 시점이다. 중국 호남성湖南省 성도省都 대표 장사長沙 소재 호남성 대표 박물관인 호남박물원湖南博物院이 호남성박물관湖南省博物館이라는 명패를 단 시절이다.뒤 배경이 그 유명한 마왕퇴 한묘馬王堆漢墓 중에서도 이른바 마왕퇴 귀부인으로 알려진 그 유명한 2200년 전 습시濕尸 미라가 발견된 그 무덤 이른바 매장주체시설인 목곽木槨이다. 놀랍게도 저 목곽 목부재가 새로 나무 짜르고 다듬어 재구축한 신삥이 아니라 진짜로 그 현장에서 나온 2천 년 전 그 시체 매장 시설이라는 사실이다. 이곳에서 많이 나는 녹나무로 기억하는데, 확실치는 않다. 촬영은 조선일보와 월간조선 사진부장을 역임한 이오봉 선생이 해주셨다. 그러고 보니 이 선배님 요새 근황을 모르.. 2025. 3. 12.
100년 전 제주 신동 1913년 12월 5일자 매일신보 박스기사를 훑어보다 보니 '제주' 두 글자가 콕 박혀 들어온다.냉큼 읽어보니 제법 흥미로운 이야기이다. 여섯살바기 신동이 났다지 않은가.전라남도 제주군 서문 밖 진성동에 사는 강석균 씨의 아들 강철수는 태어난지 30개월이 못 되어 글자를 3,000자 이상이나 알고 고시와 당음(필자 주: 중국 한시)을 능히 기억하더니 작년부터는 처음으로 붓을 잡는데 필법이 신기하여 서화를 무불통지하므로 주변 사람들이 신동이라 일컬어 글씨와 그림을 받아가는 자가 매일 구름 같이 모여들며, 지금 나이 여섯 살 된 아이로 문필이 이와 같이 구비된 것은 처음이라고 소문이 낭자하더라.진성동은 아마 제주 읍성 안 '무근성'일 텐데 "서문 밖"이라 하였으니, 아마 "서문 안"의 오식이지 싶다.그런데 .. 2025. 3. 12.
[전주 상림리 중국 동검] (2) 모든 칼이 중고품 이 상림리 동검 뭉치를 접근하는 키워드, 곧 왜 저곳에 묻혔을까? 왜? 왜? 왜? 를 접근하는 핵심 루트는 중고품이다. 하나 자끈동 부러져나간 1점을 제외하고서는 비교적 온전하게 보이는 저 칼 25자루도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나 칼로서는 쓰임을 다한 중고품들이다. 저런 중고품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첫째 갈아서 날을 세우거나둘째 녹여서 다른 기물을 만들어 쓰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물론 아예 폐기하는 방법이 있지만 저 시대 청동은 훗날 금과 같아 귀하기 짝이 없었으니 그럴 수는 없었다. 다행히 청동은 녹는 점이 낮아 웬간한 군불 장작물로도 녹일 수 있으니 그 점에서 저 또한 실은 간단해서 녹여서 새로 쓸 중고품들이었다. 모든 정황 증거가 그쪽으로 향한다. 이것이 바로 삼척동자가 보는 방식이다. 고도로 훈련된.. 2025.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