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069

쑥대밭 재동국민학교와 명동, 6.25가 남긴 상흔 폐허로 변한 명동. 1952. 임인식 촬영 쑥대밭 재동초등학교. 1953. 임인식 촬영 한국전쟁 서울 피해상황 이런 데서 일어난 나라는 기적이라 불러야 한다. 예수도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고 어벤져스 군단도 이룩할 수 없던 일이었다. 기적 그 이상의 기적이다. 2023. 6. 27.
6.25 난리통에 불타버린 보신각 이 보신각 종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있다. 이걸 왜 제자리 돌리지 않는지도 수수께끼다. 또 하나 1950년 6.25 난리통에 보신각이 불탔는데도 어찌하여 살아남았는지도 불가사의하다. 동이 아니란 말인가? 화력이 세지 않았다는 말인가? 임인식 촬영으로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된 상태다. 2023. 6. 27.
왜 해방은 도둑처럼 왔는가 해방에 대한 증언 중에 "도둑처럼 찾아왔다 (함석헌)" 던가 "아닌 밤중에 찰시루떡 받는 격 (박헌영)" 이라던가 하는 표현이 있다. 해방이 불시에, 예측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찾아왔다는 뜻이 되겠다. 최근에는 이를 은유적인 표현이거나, 해방이 올 것은 알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올지 몰랐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보는데, 필자의 생각으로는 그럴 필요 없이 2차대전 당시 전황을 보면 알 일이라고 본다. 필자가 이전 2차대전 전황도에서 1942년 전황을 보여드렸었는데, 이 지도는 1943년에서 1944년의 전황을 모두 포함한 지도이다. 여기서 눈여겨 볼 부분은 미드웨이 해전 (1942년 6월) 이후, 과달카날 전역 (1942년 8월-1943년 2월)에서도 미 해군이 승리를 거두긴 했지만, 여전히 전선은 별 .. 2023. 6. 27.
부리다? 시키다? 어처구니 없는 해설 한문 “孔子下車而問其故”의 “下車而問其故”를 언해에 “술위 브리샤 무르신대”라고 하였는데, 저 ‘브리샤’를 해설자가 각주에 ‘부리시어, 시키시어’라고 하였다. ‘부리다.’ 이건 촌 사람들만 아는 낱말일까? 짐을 부리다. 짐을 내리다. 수레를 부리다. 수레를 멈추고 짐을 내리다. 여기서는, 수레를 세우고 내리다.라는 뜻으로 쓰였다. 국어사전에 없다. *** 고전번역원 박헌순 선생 글이다. 해설자가 어처구니 없는 오역을 했다. 부리다는 내리다는 뜻이다. 경상도에선 일상어다. 2023. 6. 27.
사진 한 장이 응축한 6.25 이 사진 한 장이 6.25 참상을 응축한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 2023. 6. 27.
당간을 어찌 볼 것인가? 당간지주. 당간은 절입구에 세워진게 아니라 경내에 세웠다. 절 입구에 세워 사찰의 경계나 법회 혹은 종파를 알리는 현수막이 아니라 도량을 장엄하는 용도였다. 축소된 폐사나 현재의 사찰 경내만 보고 절 입구에 세워졌다는 얘기는 전부 구라다. 하나만이 아니라 여러 개 세운 경우도 있다. 바로 잡아야 될 당간지주의 설명들. 우리 세대에 올바른 사용처나 설명을 정립하지 않으면 당간지주는 영원히 현수막 게시대에 불과할 것이다. *** 이상은 송광사 성보박물관 김태형 선생 글이다. 나 역시 저런 식으로 설명하는 일이 많았다. 당간은 동남아에 남아 있는 일이 제법 있는데 한국의 당간과 위치상 차이는 있다. 동남아 당간은 사찰 중심 구역에 설치된다. 다만 한국의 당간은 그에서 상당히 벗어나는 지점에 서는 일이 많아 저.. 2023.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