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137

돈, 식어버리고 만 쉰살의 꿈 케케묵은 말이지만 언제나 무릎을 칠 수밖에 없는 상투어들이 있다. 쇠뿔은 당긴 김에 빼야 하고 식칼은 들었으면 호박이라도 잘라봐야 한다. 주변 몇 사람은 아는데 나 역시 내가 했으면 하는 일이 있었다. 그렇다고 구체로 딱 이런 일이다 라는 것은 아니었다. 난 입버릇처럼 말했다. 오십이 되어서는 돈을 버는 일을 해보겠다고 말이다. 그렇다고 그 꿈 혹은 생각이 아주 강렬했던 듯 하지는 않다. 무엇보다 그렇다 해서 내가 생각하는 돈이 수천억 수십조 재벌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요즘 기준으로 친다면 예컨대 백억대 자산가? 이 정도였으니 말이다. 또 그렇다고 유별난 길이 있었던 것도 아니다. 변화를 줄 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던 듯하다. 그렇다고 내가 무슨 사업수완이 있는 것도 아니니 어쩌면 그냥 막연한 꿈 아니었.. 2023. 7. 7.
연구실 새 논문: First archaeoparasitological data on the Russian rural population https://www.jstage.jst.go.jp/article/ase/advpub/0/advpub_230314/_article/-char/en The first archaeoparasitological data on the Russian rural population in Western Siberia in the 18th–19th centuries Abstract The life of the long-established Russian inhabitants of Western Siberia has been well described. In fact, archaeological, ethnographic, and other information on its various aspects is abundan.. 2023. 7. 7.
말각 방형 抹角方形, 개 똥폼 고고학(1) 암것도 아닌 걸, 또 개념어도 될 수 없는 걸 전문용어라는 이름으로 만들고 또 그게 무슨 대수가 되는양 그런 말을 남발하면서 그네가 종사하는 학문이 고상한 그 무엇이 되는양 치부하는 경향은 동서고금 막론하고 같거니와 저 말각방형만 해도 그런 대표 증좌라 간단히 말해 특정 구조물이 공중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평면이 방형, 곧 네모꼴이되 그 네 모서리는 직각이 아니라 둥글게 처리했다 해서 흔히 고고학도가 쓰는 말이다. 주로 우물이나 지붕 같은 데서 발견된다. 말抹이란 손으로 목졸라 죽이다는 뜻이니 일상어 중에는 말살抹殺이라는 말로 남았다. 따라서 말각이란 모서리를 죽였다는 뜻이다. 저건 개념어 축에도 못든다. 그냥 한번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평면 네모꼴 정도라 하고 한 번 지나가면 그 뿐이다. 2023. 7. 7.
세계유산 만들겠다고 간판까지 바꾸겠다는 천전리 각석 저 문화재 공식 지정 명칭은 국보 울주 천전리 각석 (蔚州 川前里 刻石) Petroglyphs of Cheonjeon-ri, Ulju 이다. 문화재 명칭이야 실상 행정 문서상에 존재하는 것일 뿐이지만, 저걸 천전리 암각화 로 바꾸겠다고 울산시가 움직이는 모양이라, 오늘자 그네가 배포한 보도자료를 보니 국보‘울주 천전리 각석’명칭 변경 추진 학술 세미나 개최 …‘울주 천전리 암각화’로 변경 문화유산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 증진 도모 울산시는 7월 11일(화) 오후 2시 시의회 1층 시민홀에서 ‘울주 천전리각석의 명칭변경’을 주제로 학술 토론회(세미나)는 개최한다고 밝혔다. 움직임을 어찌 보아야 하는가? 저 움직임은 요컨대 각석刻石이라는 말을 좀 더 익숙한 암각화巖刻畵 라는 말로 바꾸자는 것인데, 그렇게 하면.. 2023. 7. 7.
나이들수록 가슴을 치는 시 落帆逗淮鎭 停舫臨孤驛 浩浩風起波 冥冥日沈夕 人歸山郭暗 雁下蘆洲白 獨夜憶秦關 聽鍾未眠客 唐诗三百首| 29韦应物《夕次盱眙县》 갈 길은 멀고 해는 지는데 홀로 앉아 진관秦關을 꿈꾼다. 이 세상 어떤 사람도 어떤 나이가 되면 느끼지 않았을 리 없는 감회다. 그럼에도 꿈꾸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인간이란 꿈을 잃으면 그 순간 죽은 목숨이기 때문이리라. P.S.1) 그래서 나그네는 진관까지 갔을까? 항상 궁금한 부분이다. *** Editor's Note *** 위응물韋應物(737~791) 저 시 '저녁에 우이현 머물며'를 필자가 번역하지 않았는데 나는 다음 정도로 옮겨본다. 落帆逗淮鎭 돛은 회수 강변 마을에 내리고 停舫臨孤驛 배는 사람 없는 선착장에 댄다 浩浩風起波 출렁출렁 바람 파도 일으키고 冥冥日沈夕 어둑어둑 한.. 2023. 7. 7.
뚝섬과 수도박물관 Ttukseom and Seoul Waterworks Museum 뚝섬의 유래와 수도박물관 개관 Origin of Ttukseom and Opening of Seoul Waterworks Museum '둑도, 독도'라 불리다가 '뚝섬'이 되었다. 이 일대는 조선 태조 이성계부터 왕의 사냥 장소로 이용되었다. 그리고 매년 봄 경칩과 가을 상강에 왕이 직접 군대를 사열하거나 출병할 때 이곳에 둑기纛旗(소 꼬리나 꿩 꽁지로 장식한 큰 깃발)를 세우고 둑제纛祭를 지냈다. 실제 섬은 아니었지만 멀리서 보면 한강과 중랑천으로 둘러싸여 마치 섬처럼 보인다고 해서 '둑기를 꽃은 섬'이란 뜻으로 '둑도, 독도'라고 불리다가 '뚝섬, 뚝도'가 되었다. 뚝섬에서 근대 상수도 역사의 서막을 열다 Ttukseom opens the era of modern waterworks 1903년 12월.. 2023.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