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11

밤송이 가득한 가을 제아무리 찐다한들 오는 가을 여름이 막을 수는 없다. 꿩 잡는 이 매 여름 잡는 이 가을이라 살피니 밤송이엔 이미 가을이 한가득이라 성하면 기울기 마련이다. 시간이 이럴진대 하물며 사람임에랴 2024. 8. 3.
권상하 초상 권상하 초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Portrait of Gweon Sang-ha 권상하(1641-1721)는 송시열의 수제자로 79세 때 모습을 화원화가 김진여가 그린 것이다. 옷의 질감과 입체감을 표현한 흰색 물결 모양의 무늬는 다른 초상화와 다른 독특한 점이다. 황강서원(현 황강영당)에 안치되었던 초상화다. 비단에 채색ㅣ안동권씨 문순공파 종중 기증 Kim Jinyeo (17-18c) | Joseon Dynasty 1719 Ink and Light Color on Silk Donated by Andong Kwon's Family Chungcheong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333 제천 의림지박물관 소장 2024. 8. 3.
Made in Japan을 쓰시던 동래부사 부산은 일본과 가깝다. 그러므로, 당연히 예부터 어떤 식으로든 일본과 영향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었다. 임진왜란 시작이 부산진 전투였던 것만 봐도 알 만하지 않은가.임진왜란으로부터 200여 년 뒤,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아버지 친구인 참판 윤필병(1730-1810)에게 시를 한 수 지어 바친다. 윤필병은 동래부사를 지낸 인물이었던지라 동래부사로서의 모습을 형상화하는데...붉은 줄 그어진 미농지에다 시를 베끼고  詩寫米農紅搨紙에도의 녹자 술잔에다 술을 따라주누나  酒傳江戶綠瓷杯- 권3, 시, 시를 적는 '미농지'가 뭔가 하면 (아마 써보신 분이 있지 싶은데) 먹지를 대고 뭔가를 베끼거나 문을 바르는 데 쓰는 꽤 두꺼운 종이다. 그런데 이것은 일본 기후현岐阜縣 미노美濃 지방 특산물이라 '미농지'.. 2024. 8. 3.
문자가 죽으니 글이 소비되는 역설 신문 방송이 버려졌다지만 뉴스 시장은 인류 역사 이래 이런 활황이 없다. 글 또한 마찬가지라 글을 안 읽는다지만 엄밀히는 읽지 않는 건 책이지 글이 아니다. 글? 단군 조선이래 문자가 이리도 폭발적으로 소비된 적 없다. 신문을 보지 않고 방송을 듣지 않는데서 착을 읽지 않고 잡지를 보지 않는데서 사람들이 뉴스를 소비하지 않고 글을 읽지 않는다는 인과관계는 성립할 수 없다. 둘은 전연 별개고 실은 반비례한다. 더 간단히 말해 채과 신문이 누린 활자매체시대가 저물었을 뿐이다. 언뜻 이 역설을 어찌 설명할 것인가와 더불어 이 시대를 어찌 대처할 것인가 하는 물음을 던진다. 나는 문자에 대한 질식이 작금의 흐름은 그에 대한 레지스탕스라 본다. 문자는 태생 자체가 인간 생각 감정이라는 추상을 어떡해든 구상으로 해.. 2024. 8. 3.
라피스 라줄리 풍댕이 꽂은 파라오의 황금팔찌 셰숀크Sheshonq 또는 쇼센크Shoshenq 2세라는 고대 이집트 제22왕조 파라오다. 그는 이 왕조 유일한 통치자로, 그의 무덤은 도굴되지 않았다. (이 분 정확히 외래어 표기법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일단 저리 적어둔다.) 그의 마지막 안식처는 1939년 피에르 몽테Pierre Montet가 타니스Tanis에 있는 프수센네스 Psusennes 1세 무덤 뒷방antechamber에서 발견했다. 그의 관 뚜껑은 그해 3월 20일 이집트 파루크Farouk 왕이 보는 앞에서 열렸다. 아름다운 매 머리 은관과 황금제 장례용 마스크와 함께, 많은 보석으로 장식한 팔찌와 장식품이 껴묻거리로 발견됐다. 가면은 왕 얼굴에 씌워진 상태였다. 사진은 그의 팔찌 bracelet 다. 금으로 제작했고 라피스 라줄리 lap.. 2024. 8. 3.
2천년 전 로마에 피노키오 인형? 이는 한때 크레페리아 트리파에나Crepereia Tryphaena라는 젊은 로마시대 여성이 소유한 까닭에 크레페리아 인형 Crepereia doll이라 일컫는 유물이다. 그는 약 20세로 추정되는 젊은 로마 여성으로, 1889년 정의궁Palace of Justice 기초와 로마 티베르 강을 가로지르는 움베르토Umberto 1세 다리 건설을 위해 시작한 발굴에서 그의 석관이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높이 약 23cm인 이 고대 바비 인형은 물을 먹어 어두운 색깔을 띠지만 상아로 만들었다. 팔다리는 움직이는 관절로 디자인한 반면, 머리와 몸통은 한 조각으로 조각했다. 그 수준이 놀랍기만 하다. 이 인형은 코와 달리 손, 발, 머리가 아주 세부적으로 조각되어 있기 때문에 원래 옷을 입었을지도 모른다. 그 인형 머.. 2024.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