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21

불교에 되치기 당한 박연암[2] 신흥사 중들한테 쫓겨나고 연암집 제3권 공작관문고孔雀館文稿가 수록한 박지원 공문서 중에는 그가 양양부사 재직 시절 직속 상관인 강원도순찰사한테 올리는 글이 있으니 연보에 따르면 그가 양양부사가 된 시점은 1800년, 64세 때라, 그해 6월에 정조가 승하하고 두 달 뒤인 8월에 양양부사가 되었거니와 이 글은 부사 취임 100일이 지난 새해에 올린 문서라 하니, 순조 1년, 1801년 새해 벽두임을 추찰한다. 이에서 연암은 관내 신흥사가 각종 불법을 자행하고 있지만, 그것을 제어해야 할 상부, 특히 강원감영과 중앙정부가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그들을 두둔하고 있다면서 그것이 불합리하다는 감정을 격정적으로 토로한다. 지금 예조의 관문關文에 “신흥사神興寺의 잡역을 경감한 뒤로 종이에 먹도 마르기도 전에 불법 징수.. 2025. 1. 26.
50년전 100년전 글을 인용하는 한국학계 100년 전, 50년전 글을 참고문헌으로 다는 작태는 그만 해야 한다.한국 고대사를 보면 아직도 이 짓거리를 일삼는다. (2016. 1. 26)***아직도 금서룡今西龍 이병도가 참고인용문헌에 오르는 일을 어찌 봐야 할지 모르겠다.얼마나 연구에 진전이 없으면 백년 전 이마니시 류 글이 인용문헌에 오른단 말인가?도대체 세월이 얼마나 흘렀는데 여직 금서 이병도 주변을 얼쩡인단 말인가?백년전 오십년전 글은 참고인용문헌이 아니라 이른바 원전이다.어느 시대인데 고릿적 글을 끄집어 내어 그 가부를 논한단 말인가? 2025. 1. 26.
[사금갑射琴匣을 심판한다](2) 궁주宮主 vs. 왕비 이를 위해 위선은 삼국유사가 저록한 사금갑 이야기를 보고, 나아가 이와 삼국사절요 및 동국통감이 저록한 사금갑 사이에 어떤 차이는 없는지, 그 차이는 무엇이며, 그 차이가 무엇을 의미한지를 분석해야 한다. 이 기초작업이 놀랍게도 김태식 이전엔 없었다.믿기는가?암튼 삼국유사 기이 편이 사금갑射琴匣이라는 제목으로 저록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제21대 비처왕毗處王[소지왕炤智王이라고도 한다] 즉위 10년 무진戊辰에 (왕이) 천천정天泉亭에 거둥하였다. 이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우는데, 쥐가 사람말로 이르기를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찾아가 보시오.”했다[혹자가 말하기를 신덕왕神德王이 흥륜사興輪寺에 행향行香하고자 하여 [가는데] 길에 꼬리를 [서로] 물고 가는 한 무리의 쥐들을 보고 그것을 괴이하게 여겨 돌아와 .. 2025. 1. 25.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21): 즉신불을 슈겐도 이야기로 풀어간 까닭 일본에 가 보면 즉신불은 대개 밀교진언종 사찰에 모셔져 있다. 사실 밀교진언종 자체에 즉신불이 확고한 교리로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 밀교진언종은 개창자인 구카이 당대에 즉신불 비스무리한 이야기가 잠깐 나올 뿐에도시대까지 진언종에서 즉신성불을 목표로 수행했다는 뚜렷한 증거가 없는 듯 하기 때문이다. 한편 슈겐도의 경우-. 그 기원은 명확히 불교와는 무관한 자연숭배의 원시적 종교에서 발전해 나온 것이 분명한데이 슈겐도는 수련의 최종 목적을 즉신성불에 두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즉신불은-. 슈겐도의 전통에 따라 즉신성불 수행을 하여 만들어진 즉신불이 밀교진언종 사찰에 모셔지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즉신불이 한 쪽 다리는 슈겐도에 두고또 다른 다리는 불교 진언종에 두고 있는 것-. 이는 바로 일본 특.. 2025. 1. 25.
[사금갑射琴匣을 심판한다](1) 아무도 쳐다보지 않은 삼국사절요 동국통감 소지왕 시대 왕실을 뒤흔든 초대형 로맨스 스캔들, 이른바 사금갑射琴匣 사건을 내가 일전에 다시금 살핀 적 있거니와 이 사건을 논하는 전배前輩한테서 나타난 기이한 현상 중 하나로, 오로지 삼국유사 기이紀異 편이 저록한 그 증언만 착목한다는 대목이었으니오매불망 이것만 쳐다보고서는 이 사건을 다룬 다른 문헌은 전연 쳐다보지 아니했다는 현상이 나로서는 기이할 수밖에 없었다. 저 사건은 삼국유사 말고도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 그리고 기타 다른 문헌에서도 자주 언급했거니와, 명색이 고대사를 연구한다는 자들이 그네들 문헌에서 보이는 상이점들을 전연 논급조차 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나로서는 더욱 기이했다. 왜 이런 현상이 빚어지는가?  아무도 안 봤기 때문이다. 명색이 고대사를 연구한다는 자들이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은 .. 2025. 1. 25.
야호 신난다, 신년하례 해방한 기쁨 만끽하는 백운거사 동국이상국후집 제2권 고율시古律詩무술년 설날에[戊戌元日]설날 세배받는 일 모두 없애니 正朝拜賀禮皆刪 늙은 몸 편하기 위함일 뿐 / 只爲殘身自要安 문밖엔 참새 그물 칠 만한데 / 門外雀羅方可設 왜 손들이 와서 서성대는가 / 如何賓客立盤桓 잠이 좋아 그믐밤도 제끼고선 嗜睡輕抛守歲宵 해 중천이라도 자빠져 음냐음냐 / 日高猶臥放長謠 이제야 여유롭게 눌루랄라 콧노래 / 如今時得閑中詠 눈바람 추운 날 조회도 면했네 風雪天寒免會朝 (이날 눈이 내렸다.)[주-D001] 참새 그물 칠 만한데 : 벼슬에서 물러나와 한가하게 삶을 표현한 말. 사기史記 급정전汲鄭傳에 “적공翟公이 정위廷尉로 있을 때엔 손님들이 문에 가득하더니 퇴직한 후에는 문 밖에 새 잡는 그물을 치게 되었다.” 하였다. ⓒ 한국고전번역원 | 김학주 (역) .. 2025. 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