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40 트라키아 전사들을 위한 목 보호대 트라키아 가슴판 - 칼라, 기원전 350년 Thracian Breastplate - Collar, 350 BC 초승달 모양 이 가슴판은 전사 목을 보호하기 위한 칼라 체어 collar-chair[이게 무슨 뜻인지?] 테두리가 특징이다. 불가리아 메젝Mezek 마을 근처 말테페Maltepe 무덤 돔 모양 방 안에 있는 매장 침대 왼쪽에서 발견된 이 가슴판은 녹슨 천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이는 이것이 2차 매장 의식에서 유골함urn으로 옮겨지기 전에 매장시 처음에는 시신 위에 위치했음을 시사한다. 쇠로 만들고 금박으로 장식한 얇은 은층으로 코팅했다. 이 가슴판은 테두리가 박힌 벨트로 장식한 표면을 보여준다. 이 목 보호대는 사자 머리로 장식하고, 그 다음으로 아래와 위로 잎이 복잡하게 연결된 팔마테palme.. 2024. 8. 1. 다이버들이 발트해 해저에서 찾아낸 19세기 난파선 샴페인 어제인가 이 소식이 외신을 통해 집중으로 소개됐다. 그것을 조금 자세히 정리해 본다. 19세기 난파선 한 척이 100병 이상 되는 샴페인 병을 실은 상태에서 스웨덴 해안에서 발견되었다. 개중에는 아직도 거품이 낀 것으로 보이는 것들도 보인다. 술을 잔뜩 실은 이 난파선은 발티테크Baltitech라고 일컫는 폴란드 잠수부 팀이 발견했다. 이들은 음파 탐지기로 발트해 바닥에서 이 주목할 만한 어선으로 선체를 확인한 것이다. 이 난파선은 스웨덴 섬 욀란드Öland에서 남쪽으로 20해리 떨어진 곳 190피트 물속에 잠겨 있다. 이를 위해 욀란드라는 섬을 찾아보면 이렇다. [욀란드 위치] 욀란드 섬 · 스웨덴★★★★★ · 섬www.google.com 조사 결과 이 난파선은 어선이 아니라 샴페인, 와인, 미네랄 워.. 2024. 8. 1. 사회가 늙으면 백약이 무효 일본을 보고 느끼는 것이지만, 사회가 늙으면 백약이 무효다. 경제 정책으로 끌어올리는 것도 한계가 있고, 특히 일본은 갈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영감님들 목소리가 너무 강하다. 한국이 똑같이 노령화 사회로 가면서 살아 남는 방법? 젊은 친구들이 조금이라도 영감님들 말을 더 안들으면 된다. 가장 빨리 망하는 방법? 노령화 사회가 되었고 일할 사람이 없으니 영감님들 지금 하던 대로 똑같이 일 더하게 해달라는 그대로 해주는 것이다. 그러면 정확히 10년 후 일본처럼 된다. 노령화사회에 노인 인구는 당연히 일을 계속 더해야 그 사회가 돌아가겠지만, 그것이 곧 지금 하던 대로 그대로 하게 해준다는 뜻이 아니다. 이걸 사회가 같이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2024. 8. 1. 나는 공부하러 박물관을 간다? 누가? 한때 우리 사회 일각, 문화재업계를 그럴 듯하게 난무한 구호가 저거다. 저 구호를 팔아 박물관 장사를 했다. 묻는다. 저에서 우리네 박물관이 변한 게 눈꼽만큼이라도 있던가? 그래서 진짜로 공부하러 가는 부류는 딱 두 가지다. 1, 박물관 덕후 2. 엄마한테 끌려가는 아이들 1은 박물관 전국방방곡곡 세계 경향 각지를 돌며 sns로 도배하기에 여념이 없다. 맛집도 곁들이고 해서 모나리자 앞에 가서 기념 사진도 찍고 브리티시 뮤지엄 가서는 런던아이 배경으로 사진을 올린다. 2는 세 번째만 데려가면 이런 말을 듣는다. "엄마 또 박물관이야? 박물관 아니면 안 되?" 왜 박물관이 공부하러 가는 곳인가? 저 구호야말로 박물관이 버림받는 일등공신이며 따라서 원흉이다. 묻는다. 박물관이 공부하는 곳인가? *** 새로운.. 2024. 8. 1. 우리안의 약탈문화재 반환을 무력화하는 국가의 논리 구조 1. 짜가 만들어 세우기 그 대표가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圓空國師塔이다. 이걸 90년대 원주 현지에서 현지로 반환해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거돈사지 현지에는 그 탑비만 덩그러니 서 있고, 저 부도탑은 이쁘다 해서 조선총독부가 뽑아가서 영영 돌아오지 못하고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를 장식하는 야외 장식물로 쳐박아 뒀다. 저건 명백한 약탈품이니 이젠 현지로 돌려달라 하니, 국가에서 무슨 꼼수를 썼는가? 당시 문화재청장 유홍준이 주도해 실물과 100퍼센트 같다고 개뻥 치면서 그것이 있던 자리에는 짜가를 만들어 세웠다. 그 비근한 다른 사례는 월악산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다. 이 역시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내어놓을 생각이 없다. 현지는 사정이 안 된다는 각종 이유를 달아서 말이다. 현지 사정이 안 되면 현지.. 2024. 8. 1. 새로운 시대, 새로운 박물관을 제안하며 *** 편집자주) 조만간 있을 어느 학술대회 토론문에서 일부를 떼어내고, 그에다가 다른 살을 붙였다. 나는 우리 박물관이 탑재한 가장 큰 문제 혹은 현상으로 그 대부분이 버림받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예서 버림이란 간단히 관람객 숫자를 먈한다.물론 그 평가 기준 잣대를 오로지 관람객 숫자로 매김할 수 있는가 하는 근본하는 문제가 돌발하지만, 따져보면 이것만큼 박물관의 존재가치를 증명하는 객관 좌표도 없다. 그렇다. 박물관은 곧 죽어도 관람객이, 그것도 많이 와야 하며, 그래야만 박물관도 산다. 아무리 좋은 박물관이래도 관람객 없는 박물관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그런 점에서 나는 언제나 내가 왜 박물관을 가는가가 아니라 나는 왜 박물관을 가지 않는가를 물어야 한다는 말을 한다. 이런 물음 혹은 지적에 물.. 2024. 8. 1. 이전 1 ··· 605 606 607 608 609 610 611 ··· 33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