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844

아키야마 요시후루 秋山好古 (1859~1930): (2) 전술한 아키야마 요시후루의 프로필에서 우리가 알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아키야마는 육사 졸업때 까지 정규교육은 거의 날림으로 다녔다. 국가가 육사 졸업때까지 이런 날림교육에도 졸업장을 줄 수 있도록 방조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 당시엔 다 이랬다. (2) 아키야마는 자기 돈 땡전 한푼 안내고 유학까지 마쳤다. 그는 국가의 엘리트였기 때문이다. 그는 이런 국가의 도움에 러일전쟁의 기병전 승리로 갚았다. (3) 아키야마는 메이지 유신 당시, 신정부군에 맞서 막부편에 섰던 번의 최하급 무사였다. 그런데도 메이지 유신 기간 내내 승승장구하여 육군의 최고직위인 대장까지 올랐다. 군부는 사쓰마 죠슈 출신이 독점하고 있었다고 하는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일본인이라면" 능력만 있다면 승진에 있어 유리천장은 거의.. 2023. 5. 6.
아키야마 요시후루 秋山好古 (1859~1930): (1) 흔히 일제시대를 "식민지근대화"론으로 바라보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이 시대에 한국에 소학교가 몇 개가 지어졌다던가, 연평균 성장률이 몇 프로였다던가, 이 이야기를 가지고 자신의 주장을 옹호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가 식민지시대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한국이 독자적 근대화를 하고 있었다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보여드리겠다. 아래는 일본 메이지시대 군인 아키야마 요시후루 秋山好古이다. 시바료타로의 "언덕위의 구름"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의 연보를 아래에 써 본다. 安政6年(1859年)1月7日(1859年2月9日): 시코쿠 마쓰야마번의 무사계급 3남으로 출생. 이 집안은 아시가루보다 겨우 한단계 높은 최하급 무사집안이었지만 사무라이는 사무라이였다. 藩校인 明教館에 입학하여 배웠고, 목욕탕인부로 일했다. 明治8年.. 2023. 5. 6.
낙양 한위고성漢魏故城을 마주하는 문장론 강화講話 일례 洛阳市文物管理局、汉魏古城保管所热忱欢迎您的到来 중국어는 몰라도, 한자만 대강 읽을 줄 알면 무슨 뜻인지 짐작한다. "낙양시문물관리국 한위고성보관소에서는 당신의 왕림을 열렬히 환영합니다" 물론 이에서 열렬히는 '졸라리'의 다른 이름이다. 한데 이 문장은 한국어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사족이 있다. 내가 환영하는 객체는 당신이지 당신의 도착이 아니다. 그러므로 저 문장 중 '的着來'는 필요없다. 함에도 이것이 왜 붙었는가? 첫째, 수식의 욕망이다. 너 당신 이라고만 하면 왠지 허전한 까닭에 저리 사족을 단 것이다. 둘째, 이것이 중요한데 저 문장 대표적인 가분수다. 문장 구조를 보면 '낙양문물관리국 한위고성보관소'가 주어요 그에 대한 빈어가 '졸랄 환영 블라블라'다. '的着來'를 빼어 버리면 문장 균형이 안맞는다.. 2023. 5. 6.
글은 미다시와 첫 줄이 생명을 좌지우지한다 "1938년 4월 4일 새벽, 피레네 산맥의 눈이 녹아 수량이 불어난 스페인의 에브로 강둑 위로 물에 흠뻑 젖은 두 남자가 차가운 물속에서 나와 기어 올라온다. 둘 다 미국인이다." 이제 펼치기 시작한 애덤 호크실드 지음, 이순호 옮김 《스페인 내전》(갈라파고스, 2018) 본문 첫 줄이다. 우리네 직업적 학문종사자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이렇게 글 못 쓴다. 강렬하지 아니한가? 이 한 줄은 독자들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다. 논문이 글을 죽이고 말았다. (2018. 5. 6) **** 나처럼 한때 혹은 제법 길게 영문학과 연이 있는 사람들에게 스페인 내전은 《두 팔이여 안녕》으로 수렴하니, 기타 그에 더해 나는 20세기 신종 독재의 한 형태로서 파시즘을 떠올리곤 한다. 이 사건이 참전용사이기도 한 어네스트 헤.. 2023. 5. 6.
식민지 청년의 비애 흔히 식민지 청년의 비애라는 말을 쓴다. 일제시대를 수식할 때 흔히 들어가는 말이다. 식민지 청년의 비애라. 말은 그럴 듯한데 구체적으로 뭐를 이야기 하는 것일까? 실생활에서 와닿지 않는 이야기란 아무 소용도 없다. 식민지 청년의 비애라는것이 뭔가 하면, 결국 내가 이렇게 똑똑한데 왜 이 이상 출세를 못하냐. 이게 식민지 청년의 비애다. 일제시대 조선인은 똑똑 한 사람일수록 민족 차별을 많이 느낄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이병도를 봐라. 그는 한 나라의 역사학계를 이끌수 있는 인물이었지만 해방 이전 그의 신분은 학사출신 시간강사였다. 조선이라는 나라의 망국을 가장 슬퍼했을 사람들은 누구일까? 농민? 애석하게도 우리나라는 해방이후 농지개혁이 있기 점에는 농민의 생활수준, 경제수준은 달라진 것이 없었다. 조선.. 2023. 5. 5.
신라는 왜 1만 군사를 내주었는가를 다시 묻는다 앞서 나는 순망치한이라는 논리로 475년 신라가 쓰러져가는 백제를 구원하고자 1만 명에 달하는 대군을 백제로 파견했다고 했다. 그걸로 모든 의문이 명쾌히 해명되는가? 앞서 말했듯이 저 파견이 신라로서는 실상 고구려와의 전면전 선언이었다. 고구려가 7일 낮 7일 밤만에 백제 왕도 한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참수한 다음 그대로 한성에 주둔한 상태였다면 한성에서는 2차 대전이 벌어질 것임은 한밤중 불을 보듯 뻔했다. 그걸 모를 리 없는 신라 조정과 자비마립간은 왜 고구려와의 전면전을 불사했는가? 첫째 신라 내부의 자신감이었다. 우린 어느 누구와 붙어도 그네들을 깨뜨린다는 자신감이 있었고 그것이 아니라 해도 이참에 고구려를 확실히 꺾어놔야 한다는 매파가 득세했다. 나는 그 진원지로 벌지와 덕지를 주목해야 한다고 .. 2023. 5.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