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20 초콜릿이 되어 세계를 정복한 신대륙 코코아 고대 올멕인Olmecs, 마야인Mayans, 아즈텍인Aztecs이 코코아cocoa를 신성하고 권위 있는 음료로 소중히 여겼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20세기 들어 초콜릿chocolate은 Joseph Storrs Fry와 같은 기업가가 재창조되고 특허를 받아 시장성 있는 상품으로 변모시켰다.코코넛이 초콜렛으로 변화하고 그것이 무한급성장한 산업화 과정도 거대한 인류사 드라마다. 2024. 7. 4. 헤르쿨라네움 넵튠 모자이크 집 폼페이 말고도 헤라쿨라네움Herculaneum 마을도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 Mount Vesuvius 폭발로 파괴되어 66피트 화산재 아래에 묻혔다. 헤라쿨라네움에서 가장 유명한 집 중 하나는 넵튠 모자이크 집 House of the Neptune Mosaic이다. 이 집은 꽤 작지만 잘 꾸몄고 부유한 집안의 것처럼 보인다. 2024. 7. 4. 몬테 테스타치오 Monte Testaccio, 로마의 난지도 로마에는 남다른 언덕이 있다. 5천300만 개 올리브 오일 암포라 olive oil amphorae 가 퇴적한 쓰레기 언덕 말이다. 몬테 테스타치오 Monte Testaccio 라는 쓰레기장이 그것이다. 이 인공 언덕은 좋은 샐러드 드레싱과 같은 삶의 더 나은 것들에 대한 로마의 사랑과 일상 쓰레기를 역사적 랜드마크로 바꾸는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만하다. 옛날의 쓰레기장이 또 다른 문명의 보물, 즉 관광 명소가 되고 있는 것이다. 위치는 아래 https://en.wikipedia.org/wiki/Monte_Testaccio#/map/0 Monte Testaccio - WikipediaWaste mound made from broken Roman pottery Monte Testaccio (I.. 2024. 7. 4. 시체 머리맡 신라 약절구 파는 게 능사가 아니다. 시체 머리맡 약절구를 보고선 이 사람이 생전에 병을 많이 앓아서.. 이 딴 헛소리나 싸지르는 언필칭 고대사 대가가 있었다. (2023. 7. 5) 모르면 모른다 하고 모르는 데는 아예 나서지를 말며 정 나서야거든 이에 대해선 선학의 이런 연구가 있다 소개해야지 않겠는가? 무슨 헛소리란 말인가? 2024. 7. 4. DNA가 바꾼 혁명, 이집트 미라의 경우 고대 이집트 왕비 티예Tiye 라는 분 미라시다. 이 미라는 파라오 아멘호테프 2세 Amenhotep II 무덤 두 번째 측면 방 side chamber 에서 발견됐다. 발견 시점은 아주 일러 1898년으로 거슬러 간다. 빅터 로레 Victor Loret 라는 이가 발견한 아멘호테프 2세 무덤은 나중에는 고대 이집트 성직자들이 18왕조와 19왕조에 걸쳐 많은 왕실 미라를 보관하는 창고로 썼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티예의 긴 머리카락은 이 미라의 아주 분명한 특징이다. 아울러 이 미라 정체를 증명해 준 것이 바로 이 머리카락이다. 왕비 이름이 표시된 4개 미니어처 석관 중 하나가 투탕카멘 왕묘에서 발굴됐다. 그 미니어처 관에는 투탕카멘한테는 할머니인 티예의 머리카락 다발이 있었다. 이 머리카락 분석을 통해 .. 2024. 7. 4. 흑요석 거울을 박은 폼페이 저택 이게 뭔가 하겠지만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장렬하게 산화한 폼페이 중에서도 황금 큐피드의 집 House of the Golden Cupids 이라고 명명한 저택 비름빡에 박아 놓은 흑요석이라 그 기능은 거울이었다. 이 흑요석 거울 obsidian mirror은 이 저택만 해도 하나가 아니라 여러 비름빡 중에도 페리스타일 벽 peristyle wall 에서 나왔다. 이 페리스타일이 뭔가 궁금하겠거니와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건물이나 안뜰을 둘러싼 현관을 말한다. 기둥이 죽 둘러친다. 저 비름빡에 박았으니, 지나는 사람들이 얼굴 보며 혹 밥띠끼 얼굴에, 혹은 고춧가루 이빨에 찡기지 않았나 보란 배려다. 흑요석 여러 기능 중 하나에 거울이 있다. 이 점이 한국고고학에서는 거의 고려하지 않는데, 이것도.. 2024. 7. 4. 이전 1 ··· 683 684 685 686 687 688 689 ··· 33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