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201 와비-사비 [わび・さび] 잘 아시겠지만, 일본에는 와비-사비라는 미의식 개념이 있다. わび・さび(侘《び》・寂《び》)は、慎ましく、質素なものの中に、奥深さや豊かさなど「趣」を感じる心、日本の美意識。美学の領域では、狭義に用いられて「美的性格」を規定する概念とみる場合と、広義に用いられて「理想概念」とみる場合とに大別されることもあるが[1]、一般的に、陰性、質素で静かなものを基調とする[2]。本来は侘(わび)と寂(さび)は別の意味だが、現代ではひとまとめにして語られることが多い[3]。茶の湯の寂は、静寂よりも広く、仏典では、死、涅槃を指し、貧困、単純化、孤絶に近く、さび(寂)はわびと同意語となる[4]。人の世の儚(はか)なさ、無常であることを美しいと感じる美意識であり、悟りの概念に近い、日本文化の中心思想であると云われている[5]。 사실 한국의 질그릇에서 미를 발견했다는 것도 바로 이러한 미의식.. 2024. 6. 2. 자연과의 조화는 가낭뱅이들의 자기합리화 쥐뿔은 쥐불알이다. 쥐는 어릴 적 수십 마라 잡아봤지만 그 불알 제대로 본 적 없다. 그래서 가진 것 없을 때 쥐뿔이라 한다. 자연과의 조화? 쥐뿔도 없는 사람들의 자기변명 자기만족이다. 창덕궁이 자연과의 조화? 그럼 경복궁은? 본래 창덕궁은 골방 늙은이 요양원이었다. 생전에 물러난 이방원이 아들놈 이도 가오 세워주겠다 해서 골방으로 마련한 데가 창덕궁이다. 경복궁보다 크면 아들놈 가오가 상한다. 또 크게 지으면 국가재정이 버텨날 수 없다. 돈도 없고 아들놈 가오세워준다 해서 대강 지어 들어간 데다. 자연과의 조화? 그딴 게 어딨어?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해? 쥐뿔도 없는 놈들이 자기 만족 자기 변명한 데 지나지 않는다. 땅도 없고 돈도 없고 무엇보다 기술도 없고 자재도 없으니 그냥 눌러산 데 지나지 않.. 2024. 6. 2. 폼페이 희생자들은 석고로 재현한 모습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에 희생당한 사람들 아비규환을 증언하는 실물 증거로 흔히 첨부 사진 위쪽 같은 장면이 제출되거니와 저걸 보고서는 많은 이가 인골이 저런 식으로 발견된다 생각하기 십상인데, 여러 번 말했듯이 저건 실은 석고상이며, 그 현장에서도 물론 인골이 출토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화산재에 거의 다 삭아 없어졌다. 대신 인골은 그 사람이 있던 자리는 화산재 퇴적 더미에 구멍으로 남게 되는데, 바로 이 점을 이용해 사람이 있던 자리에다가 발굴조사자들이 석고를 쏟아부어 버리면 그 빈 속만 꽉 차게 된다. 저 방식이 이미 19세기인가 개발됐다. 간단히 말해 주물 기법을 응용해 석고를 부어서 재현한 것들이 우리가 폼페이 희생자들이라 생각하는 그 모습이다. 첨부 사진 아래는 그 석고 반죽을.. 2024. 6. 2. "자연과의 일체"라는 한국미를 의심한다 흔히 한국미는 인공미 대신 자연미, 인공을 가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에 맞추는 것을 한국미라고 설명한다. 주변국가인 중국과 일본처럼 화려하지 않고, 꾸불꾸불한 나무까지도 베어 기둥이나 서까래로 쓰고, 휘황찬란한 장식 없는 것, 번듯한 사통팔달 조방제 도심이 출현하지 않은것도 전부 그렇게 설명하는 것 같다. 그런데, 자연과의 일체라는 것이 과연 한국사상의 흐름속에 정확히 있었는가? 물론 도연명이나 도가 류의 사상이나, 홍수를 억지로 막지 말고 흐름 대로 가게 놔두어 치수했다는 우임금의 설화를 보면, 도가나 유가에 이런 흐름이 있었던 것은 분명한데, 문제는 조선시대에 이런 물아일체, 자연과의 융합을 강조하는 미적 흐름이 있었느냐 하는것이다. 오히려 일본의 경우는 와비-사비 사상이라는 것이 이에 매우 가깝다. .. 2024. 6. 2. 대따시 모자이크 바닥 규모가 무엇보다 압도한다. 이 넓은 바닥을 채운 건물이 있었다는 사실도 놀랍다. 튀르키예 안타키아 Antakya 라는 데서 발굴조사를 통해 노출됐다는 모자이크 바닥이라 넓이가 836제급미터라 하며 후기 로마 서기 4세기 유산이랜다. 이짝에 하타이 고고학 박물관 Hatay Archaeology Museum 이란 데가 있어 그대로 현장 박물관 아닌가 한다. 2024. 6. 2. 교토 염불사 念仏寺 템플? 1,200 stone sculptures with different facial expressions at the nenbutsu-Ju Buddhist temple in Kyoto이리 설명하는데 교토 주 템플이라면 어디를 말하는가?염불사 念仏寺인 듯하다고 신동훈 선생이 교시함 2024. 6. 2. 이전 1 ··· 759 760 761 762 763 764 765 ··· 33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