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22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깡패영화 공식 매일 한 번, 혹은 하루 걸러 한 번씩은 보는 덴젤 워싱턴 주연 헐리웃 깡패영화 The Equalizer 3 클라이막스로 가기 직전 한 장면이다. 덴젤이한테 동네서 공개 망신 당한 나폴리 기반 그 이름도 유명한 초거대 범죄 마피아 조직 카모라Camorra 두목이 내일밤 그 미국놈을 죽여버리겠다면서 푸줏간에 졸개 시다들 모아놓고선 전의를 불태우는 장면이다. 보통 저런 깡패영화를 보면 오야붕 두목은 항상 거사를 치르기 전날 부하들을 잘 먹인다. 한데 저 영화 저 장면은 약간 가오상하게도 고깃덩어리는 천장에 매달아놓고선 두목이 스파게티를 우거적우거적 씹어먹는다. 복수를 다짐하는 자리에 스파게티가 뭐냐? 또 하나 그 어떤 깡패 영화나 드라마를 봐도 오야붕 두목 옆에는 한상 떡대 시다들이 중무장 혹은 야구방망이 .. 2024. 7. 14.
[스톤헨지 패러독스] 웬 위험에 처한 유산 타령? 바로 앞 사진은 구글어스로 내려다 본 스톤헨지Stonehenge다. 워낙 유명한 유적이라, 저곳이 어떤 데인지는 건너뛴다. 저곳은 1986년 유네스코 제10차 세계유산위원회WHC 회의에서 기준 i, ii, iii 세 가지를 충족한다 해서 '스톤헨지, 에이브버리, 그리고 관련 유적[Stonehenge, Avebury and Associated Sites]' 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우린 저 무렵 세계유산을 뒷집 똥개 이름으로 알 때다. 이론의 여지가 없는 저 위대한 유산 스톤헨지Stonehenge가 느닷없는 위험에 처한 유산[World Heritage in Danger] 논란에 휩싸였다. 들려오는 소식들을 종합하면, 오는 21일 인도 뉴델리에서 개막하는 제46차 세계유산위원회WHC 회의에.. 2024. 7. 14.
조선시대 신권臣權이라는 용어는 타당한가 조선시대의 정치체제를 설명하는 용어로 왕권과 신권이라는 것이 있다. 여기서 신권이라는 것이 좀 모호한데, 신권이 신하의 권력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신하의 권리를 의미하는 것인지가 모호하다. 대개 인권이라고 하면 시민의 권리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신권이라고 하면 후자, 신하의 권리를 떠올리기 쉬운데 신권이라는 용어를 쓰는 측에서는 신하의 권력을 생각한 것인지 아니면 신하의 권리를 의미한 것인지 아리송하다. 간단히 말하면 신하의 권리라는 것은 동아시아의 왕조 체제에서는 출현하기 어렵다. 신하가 왕에게 적극적으로 간하고 정치결정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해도 이것은 어디까지나 절대권력인 왕권을 보필하기 위한 명분이지 신하의 권리라고 주장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당시 사람들은 신.. 2024. 7. 14.
베수비오가 집어삼킨 헤르클라네움의 링 레이디 Ring Lady 베수비오산이 폭발하면서 헤르클라네움이 묻힐 때 에메랄드와 루비색 반지를 낀 채 매몰된 까닭에 소위 "헤르쿨라네움의 반지 부인"이라 일컫는다.영어로는 The Ring Lady of Herculaneum 혹은 The “Ringed” Lady라 표현하곤 하는 듯한데 우리 말로는 반지 부인 정도로 하면 어떨까 한다.  반지만 아니라 이 여인은 금팔찌와 귀걸이도 2개도 착용한 상태였다.  ​1982년 삼백 구에 이르는 해골이 함께 발견된 헤르클라네움 '보트 셰드Boat Sheds' 곧 선착장에서 출현했다.  ​반지를 낀 그는 죽을 때 마흔두살이라는 기록이 보이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지 내가 찾지 못했다. ​발굴 당시 촬영한 사진은 아주 상태가 좋지 않으나 AI 증폭 기술을 동원해 고화질로 복원했다. 저를 포함한 현.. 2024. 7. 14.
니덤 퀘스천과 라이프워크 학자는 평생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쓴다. 이 논문이 산만하게 주제가 흩어지지 않고 하나의 실로 꿰어낼 수 있으면 큰 주제가 만들어진다. 사실 이 정도 하기도 쉽지 않은데, 이보다 더 높은 단계의 연구라면과학사로 유명한 조지프 니덤의 소위 니덤퀘스쳔 (Needham Question)을 참고할 만 하다. 니담은 자신의 연구에 대한 평생의 주제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주제는 다음과 같다. "Needham's Grand Question", also known as "The Needham Question", is this: why had China been overtaken by the W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despite their earlier successes? 쉽게 말해서 .. 2024. 7. 13.
40대, 관성이 지배한 무기력의 시대 30대가 겁대가리 없던 시절이라면 40대는 저랬다. 그 사십대가 시작하기 전엔 이젠 황금기가 올 줄 알았다. 하지만 사십대 나는 족적이 없다. 책을 낸 것도 아니요 기자로서는 관성과 관록만 지배했다. 훗날 지금 생각하니 삼십대가 황금기였고 실상 내가 이룰 만한 건 그 시절어 다 이뤘기 때문이었다. 기자 생활만 해도 벌써 십년은 훅 지나 이십년째 접어들기 시작했으니 직급도 평기자를 탈출해 차장 대우 차장이 되어 있었다. 노력하지 않아도 정보는 들어왔고 현장은 나가지 않아도 훤했다. 더는 습득할 것이 없었고 사회 역시 나를 중견으로 대접했으며 그래서 그에 쩔어 살았다. 무엇보다 확실히 체력도 떨어졌고 열정도 눈에 띄게 줄었다.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가고픈 생각도 없고 돌아간다한들 이미 한 번 겪은 그 삶이랑 .. 2024.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