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76

애완의 시대에 넘쳐나는 동물, 강남을 활보하는 당나귀 강남 한복판서 당나귀 2마리 출몰…"네번째 탈출" 2021-09-14 21:32 문다영 기자 강남 한복판서 당나귀 2마리 출몰…"네번째 탈출"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14일 강남구 논현동 학동역 사거리에서 당나귀 2마리가 도로를 누비다 신고 5분 만에 포획됐다. www.yna.co.kr 뭐라나 관찰 예능이라나 하는 프로그램들을 멍때리다가 접하곤 하는데, 옛날엔 그런 데 등장하는 동물이라 해 봐야 맨 개새끼 천지였지만, 요새는 그런 흐름도 급속도로 변해 별의별 동물이 다 등장하거니와, 파충류 키우는 건 요즘은 예사요, 그제인가 본방인지 옛날 방송인지 기억에는 없지만, 암튼 그를 보니 호주에서 들여온 난생 처음 보는 모가지 긴 사슴 같기도 한 동물을 키우는 사람도 있더라. 저와 맥락은.. 2021. 9. 15.
철창 사이로 보는 블루하우스 쇠창살이라 보기에 따라 혹은 역사가 저 집은 감옥이라 명명했다. 그래도 그리 좋은갑다. 수감기간은 최장 오년, 드물기는 하지만 일년 조기 출소한 이도 있다. 다른 감옥과 다른 점은 재소기간 연봉이, 것도 고액으로 나오고 퇴직금도 짭짤하단 말이 있지만 몰수되기도 한다. 그래도 좋은갑다. 너도나도 입소희망자가 줄서서 기다리니 말이다. 제 명에 간 사람도 드문 저 집이 왜 그리 좋을까? 하긴 불나방은 죽을 줄 알면서 불구덩이 돌진한다니 저들은 불나방인가 보다. 2021. 9. 14.
조선인이 왜 더 악랄했는가? 태평양전쟁기 조선인 일부는 연합군 포로감시원으로 갔다. 이들은 열라 열심히 일했다. 어떻게? 악랄했다. 일본놈들보다 서너배, 아니 몇십배 악랄했다. 그래야 살아남고 그래야 대접받았기 때문이다. 식민지시대 짭새 혹은 면서기 등으로 진출한 조선인이 꽤 된다. 이들한테 붙잡혀 취조 받은 사람들 증언을 보면 일본놈 순사보다 조선놈 순사들한테 이를 더 간다.(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취조 당한 국어학자 일석 이희승 회고록을 보면 조선인 순사한테 이를 더 간다.) 일본놈 순사들보다 졸라 더 악랄했다 한다. 그래야 대접받고 그래야 승진했기 때문이다. 왜 그랬을까? 이를 묻는 과정은 시덥잖은 변방 오스트리아 치하 독일인이 히틀러가 왜 극렬한 게르만 민족주의자였는지를 이해하는 첩경이다. 프랑스 중에서도 왜 알자스 로렌 지방이.. 2021. 9. 13.
변경에서 태어나는 내셔널리즘, 히틀러의 경우 며칠 전까지만 해도, 히틀러에 대한 상식은 여타 한국인과 그다지 다를 바가 없었다. 나쁜 놈, 콧시염, 나찌즘, 하이 히틀러...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간단히 말해 히틀러에 대해서는 내가 거의 관심이 없었던 까닭에 이렇다 한 주의를 하지 않았다. 그렇다 해서 그 며칠 사이에 무슨 거대한 변화가 있었던 것도 아니다. 오직 하나의 변화랄까 하는 계기라면, 《나의 투쟁》을 비로소 접어들고 앞 부분과 그리고 소제목들을 훑어가며 내가 관심이 있을 만한 곳을 random picking 식으로 듬성듬성 읽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왜 히틀러가 그토록이나 혈통과 언어에 기반하는 격렬한 민족주의자였는가 하는가에 대한 일말의 단서를 나름대로는 발견했다. 물론 이것이 내 오판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19.. 2021. 9. 12.
족보가 조작됐다를 증명하는 것이 역사학은 아니다 역사학은 조작됐다 아니다를 증명하는 학문이 아니다. 이건 개돼지도 3년만 교육하면 하는 일이다. 한국 역사학은 팩트를 史實로 호도했으며, 죽을 때까지 이 팩트를 밝히는 것이 역사학의 본령으로 알았다. 족보에 대한 글을 읽어보면 요약하자면 족보는 조작이 너무나 많아 믿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역사학은 조작됐다 아니다를 판정하는 학문이 아니다. 조작됐었다면, 누가, 왜, 무엇 때문에 이런 일들을 했는지를 밝히는 데서 비로소 역사학이 시작한다. 누가, 왜 조작했는지를 궁구하는데서 역사학은 비로소 휴머니즘의 문턱에 들어선다. 족보 조작은 조선후기에 빈발했다고 알지만, 실은 그 극성은 식민강점기였다. 단군 이래 족보 발간이 가장 왕성했던 시대가 바로 식민지시대였고, 그에 따라 조작한 족보 역시 이 시대에 쓰나미처.. 2021. 9. 11.
국감族, 국회를 이용해 정보를 빼내 이용하는 사람들 어느 분야나 이렇게 분류할 만한 자들이 준동하기 마련이다. 문화재도 이런 족속이 더러 있어, 매년 국감 시즌이면, 준동의 나래를 펼치곤 한다. 이들은 국회와 국감장 주변을 기웃거리며, 각종 정보라 해서 이 의원실, 저 의원실을 찾아다니며, 정보라 해서 캐다가 끼워팔기를 하니, 그렇게 해서 존재를 각인하고는 하니, 나는 이런 者들을 일러 국감족이라 한다. 국회는 또 이런 자들을 적절히 이용한다. 그래서 국회와 국감족은 카르텔을 형성한다. 무론 국감의 순기능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것이 행정부의 무차별한 횡포를 견제하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한다는 점을 나는 인정한다. 하지만 철만난 망둥이처럼 언제나 국감을 기다리며, 그리고 툭하면 국회로 달려가 무엇을 꼰지르고, 그리하여 그 사실 여부와는 별도로 누군가를 .. 2021. 9.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