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074

선택받지 못한 책 출판을 담당하는 우리 공장 문화부에선 보도자료로 송부한 출판물을 매주 월욜에 필요한 사원들이 가져가라고 내놓는다. 잠시 성시盛市가 이뤄지고 나면 아무한테도 선택받지 못한 책만 남는다. 이 책은 신간 소개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기억한다. 출판 담당 책상에서 보이기에 내심 저건 내가 가져갔음 했더랬다. 어제 경매에 나왔는데도 선택받지 못한 채 그 자리에 남아 있어 퇴근길에 내가 거뒀다. 선택받지 못한 책은 사장되고 만다. 이런 교양서가 누군가한테도 간택받지 못했음이 나는 못내 가슴 아프나, 그래도 나한텐 필요한 책이다. 요행이라 할까? 몹시도 씁쓸하다. (2018. 7. 31) *** "게르만족의 침공이 거듭되고 로마제국이 멸망할 무렵 단 하나의 기관, 즉 교회가 파국에서 살아남아 라틴어 문화권의 영속을 보장.. 2020. 7. 31.
[독설고고학] (8) 족보없는 분류 명명의 참사 호우壺杅 1946년 박물관에 의한 발굴조사 결과 출토한 청동그릇이다. 보다시피 뚜껑과 몸통 분리형이고 뚜껑엔 꼭지가 있다. 똥구멍에 해당하는 바닥엔 이런 글자들을 돋을새김했다. 乙卯年國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 마지막 十은 글자가 아닌 부호라는 논란이 있지만 나머지는 이론이 없는 판독이라 을묘년 광개토왕 호우 란 뜻이다. 이 그릇에 한국고고학은 꿀먹은 벙어리다. 호우壺杅 라는 글자 때문이다. 호우란 壺 & 杅, 혹은 壺之杅지만 물건이 하나이므로 이 경우 무게중심은 말할 것도 없이 杅다. 다시말해 壺杅란 모양은 壺인 杅라는 뜻이다. 우杅란 물을 담거나 국을 끓이는 그릇이란 뜻이다. 결국 호우壺杅란 모양은 壺인 물(국) 그릇[杅]이란 뜻이다. 壺는 모양, 杅는 기능에 따른 그릇 구분인 것이다. 한국고고학은 왜 등신인가?.. 2020. 7. 30.
[독설고고학] (7) 세금의 분류와 토기의 분류 조세, 곧 세금은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세 가지로 분류하곤 한다. 첫째 과세 주체가 누구냐에 따른 분류니, 중앙정부가 주체인 세금을 국세라 하고, 지자체가 주체인 세금을 지방세라 한다. 두번째는 세수의 용도에 따라 특정한 목적을 동반하지 않고 그냥 나라 발전을 위해 내는 보통세와 특정한 목적을 위해 납부하는 목적세로 구분한다. 세번째는 조세의 독립성 여부, 곧 다른 세금에 부가되는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 독립세와 부가세로 나뉜다. 저런 세금은 다시 하부에서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니와 예컨대 국세는 다시 국경을 기준으로 그 안에서 징수하는 경우를 내국세라 하고 국세청이 징수를 담당하며, 국경에서 징수하는 경우를 관세라 하며 관세청서 징수한다. 우리가 이에서 착목할 점은 분류는 철저히 준거를 따른다는 점이.. 2020. 7. 30.
한국에 갇힌 한국고고학 뉴스라는 관점에서 보면 세계시장에 먹히는 한국 혹은 한반도 기사는 현재로서는 딱 두 가지다. 1. 김정은 2. BTS 그렇다면 이를 한국은 효율적으로 팔아먹는가? 유감스럽게도 그러지 못한 듯하다. 김정은은 세계 유수 통신사나 일본 언론이 대개 선도하고, BTS는 자체 소비한다. 시장이 아주 작기는 하나, 틈새 시장은 있다고 본다. 나는 한국고고학 역시 강력한 상품 중 하나라 본다. 이렇게 찾아보면 어디 한두군데겠는가? 다만 이런 틈새시장 중 한국고고학을 보면, 이건 뭐 지들끼리라 이게 상품이 되는 줄도 모르며, 그것을 어찌 장사해야하는지도 모른다. 첫째, 영어 까막눈이요, 둘째, 세계와 소통할 줄도 모르며 셋째, 그 학적 수준이 프리머티브이기 때문이다. 고작 한다는 일이 일본 애들 불러다 놓고 노닥거리면.. 2020. 7. 28.
가지 않은 길 아직 미답지 천지이나, 문득문득 가본 데라도 체계화의 욕망이 아직은 있다. 남들처럼 여행후기니 해서, 먹방 소개하고 교통편 어쩌니 하는 일은 나랑 천성이 맞지 않는다. 그렇다 해서 내가 저들이 블로그 후기에 써놓은 저런 글들에 도움이 받지 않는 건 아니라, 외려 반대로 절대적 도움을 받기도 하니, 나 역시 그런 데다가 한 숟가락 얹어야 그 신세에 한 줌 보태는 일이 아닌가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이건 내 적성과도 맞지도 않아 내가 할 일은 아닌 듯하다. 체계화란 무엇인가? 하지만 그 체계화가 어디 쉬운가? 이번 이태리 답사에서 나는 키츠와 셸리를 만났고, 그 감흥이랄까 하는 것들을 한 때는 영문학도를 꿈꾸었던 사람으로서 자못 비장하게 썼지만, 그 팩트 자체는 전연 자신이 없어, 하다 못해 영문학 개론서.. 2020. 7. 28.
일제 소행으로 굳은 송진 강탈의 신화 곳곳에 남은 이 상흔을 일제말의 공출 유산으로 보는 시각이 압도적이다. 마치 쇠말뚝을 그렇게 보듯이 말이다. 하지만 우리가 맞닥뜨리는 이 송진 채취 흔적 대부분은 해방 이후다. 사실 관계를 밝힐 수 있는것은 밝혀야 하지만 잘못된 상식이 한치 의문도 없이 통용되는 일은 막아야 한다. (2018. 7. 27) *** 이 문제는 입이 아프도록 지적했다. 이럴 때마다 꼭 따라붙는 말.. 그렇담 일제가 잘했단 말이냐? 2020.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