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67

이토 히로부미 글씨라서 가리거나 지운다고? 100원짜리 동전에 새긴 이순신 영정 바뀌나 송고시간 2020-11-10 06:01 문체부, 장우성 화백 그린 충무공 영정에 대해 표준영정 해제 심의 중 100원짜리 동전에 새긴 이순신 영정 바뀌나 | 연합뉴스100원짜리 동전에 새긴 이순신 영정 바뀌나, 성서호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20-11-10 06:01)www.yna.co.kr 이놈의 친일놀음은 언제까지 봐야하며, 언제까지 해야는지 지긋지긋하거니와, 장우성이 친일행적이 있거나 명백하다 해서 이순신 영정을 표준영정에서 해제해야 한다는 발상을 나는 동의하지 못하거니와, 예술가적 감각과 독립의식은 전연 별개라, 저 논리대로라면 안중근이, 김구가 초상을 그려야 하겠는가? 나는 저 표준영정제도 자체가 국가폭력이라 언제나 주장했으며, 그런 신념에는 하.. 2020. 11. 10.
번역 역주는 찬撰이다 撰이라는 말이 흔히 통용하기를 편찬, 창작에 가깝지만 중국에서는 고래로 자기 작품이 아닌 남의 작품을 편집하는 일도 이 말로 표현하곤 했으니, 이런 전통이 지금도 남아있다. 한데 이 말이 대체로 순수한 창작물을 선호해서 사용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중국 위진남북조 양나라 태자 소통이 자기집을 드나드는 문사들과 함께 묶은 시문 엔쏠로지인 문선文選을 보면 판본에 따라 소통 撰이라 적은 일이 많거니와 이 대목에 고래로 문선 주석서가 옛날에는 순수 창작이 아닌 자료 편집 정리에도 찬 이라는 말을 썼다는 언급이 보이는 점이 그 한 증거다. 우리 지식인 사회에선 역주나 번역 같은 데다가 저런 식으로 그런 결과물을 찬이라 표현하는 일은 드물다. 나는 이것이 번역 역주에 대한 사회 전반의 아직은 낮은 평가와 연결.. 2020. 11. 9.
4년전 트럼프 당선을 돌아보며 우리는 미국 대통령을 한국 대통령을 바라보는 시각으로 보지는 않는가? 저네들 대통령 역시 권한이 막강하기는 하나, 대통령은 항상 의회의 통제 아래 있다. 그 어떤 대통령도 의회를 넘어선 적이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미국의 권력은 언제나 언론의 감시와 견제 아래 있다. 주구 노릇하는 언론이 판치는 한국과는 사정이 왕청나게 다르다. 이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미국은 연방제 국가다. 우리 대통령은 지 꼴리는대로(지금 대통령은 꼴릴 게 없지만) 하고, 그가 하는 기침 소리에 전국이 요동치지만 미국은 다르다. 미국 대통령은 수퍼맨이 아니다. 이 점을 하시何時라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2016. 11. 9) *** 4년전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을 적에 뇌까린 글이다. 당시 대한민국은 박근혜 집권.. 2020. 11. 9.
농사農事란? 농업農業이란? 지은 모습 지어가는 모습이 한없이 아름다우나 결코 내가 직접할 수는 없는 직업이다. 이 괴리에서 무수한 낭만과 얼토당토 않은 개소리가 넘쳐난다. 내 꿈은 그런 농촌 탈출이었고 그런 농사로부터의 회피였다. 2020. 11. 7.
배우기 쉽다는 말과 한글의 과학성 흔히 한글이 과학적이라는 근거로 가장 수이, 그리고 가장 빨리 배운다는 점을 든다. 하지만 배우기 쉽다 해서 그것이 과학적이라는 근거는 되지 못한다. 배우기 쉬운 것과 과학은 눈꼽만큼도 상관이 없다. 그건 그냥 배우기 쉬울 뿐이다. (2012. 11. 7) 2020. 11. 7.
가을은 붕알이다 2016. 11. 7 창덕궁 낙선재에서 2020.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