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49

남들은 맘대로 욕하면서 스스로는 철옹성을 치는 자들 이른바 전공 혹은 직업이란 가두리 양식장을 나는 혐오한다.이 자리서는 편의상 그 테두리가 어느 정도 성립함을 가정하고 말한다.직업으로 보면 나는 언론인이라(지금은 과거형이다.) 요샌 지나개나 그 언론과 기자를 씹는다.그 씹는 부류에 언론계 내부도 적지 않다.그네들 씹음을 보건대 물론 경청할 만한 내용이 적지 않고 내가 미쳐 돌아보지 못한 측면도 많다.그런가 하면 한심한 소리도 적지 아니하다.그런 소리들에 대해 대개 그런갑다 하고는 흘려버리고 말며 아주 가끔가다 그 분이 강림하시면 주로 해당 논급에 대한 댓글 형태로 확 싸지름이 내 행동패턴 중 하나다.이런 논급들을 보면 어떤 일정한 패턴이 있어 저 가두리로는 언론 혹은 기자랑 관계 없는 직업군 종사자들한테서 유별나게 나타나는 현상이라반면, 내가 가끔 지들.. 2025. 1. 18.
公, 私가 흘린 핏물 인류 역사는 公과 私가 교집한 덕석이요 한산모시다. 公은 속성이 언제나 제국주의라 私는 이익우선이라 하며 언제나 私를 침탈하고 침탈하며 억압했으니 인류 역사는 이 公의 침략에 대한 대항, 혹은 그에 처절하게 좌절한 피의 흔적일뿐이다. 그 피는 私라는 몸통 정수리에서 흘러내렸다. (2022. 1. 18) *** 뭔가 있어 보이는 말인데, 내가 써 놓고도 무슨 말인지 3년 지나 보니 모르겠다. 저때 왜 내가 저 말을 썼던가? 2025. 1. 18.
절대추앙 절대독재의 세 가지 조건, 케말 파샤의 경우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Mustafa Kemal Atatürk(1881~1938년 11월 10일)는 생몰년에서 보다시피 57세에 훅 갔다. 독재자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나이에 훅 갔다.오스만 제국 장교 출신으로 다 스러져가는 제국 황혼기를 함께한 군사영웅으로 그 숨만 깔딱이는 제국을 혁명으로 끝장내고 터키 공화국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때는 1923년 10월.이후 1938년 11월 사망할 때까지 죽 대통령에 있으면서 철권 통치를 구가했으니 절대권좌에는 딱 15년을 있었다. 무엇보다 그는 생평 독신으로 지냈다. 그러니 마누라 혹은 자식으로 인한 부패 스캔들에서는 깨끗했다. 뭐가 있어야 해 먹지? 마누라가 없으니 터키 모든 국민이 마누라였으며, 자식이 없었으니 터키 만민의 아버지였다. 죽을 때 나이, 그리.. 2025. 1. 17.
지원은 쥐꼬리만큼, 간섭은 무한대인 공립박물관 내가 기억하는 역대 어느 정부건 문화정책 근간은 같아서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딱 이거다. 이걸 표방하지 않은 역대 권력은 없다. 하지만 진짜로 그럴까? 블랙리스트 사건이고 나발이 다 집어치고 공립박물관 문제만 보자. 이 공립박물관은 국가가 설립 운영 주체인 국립박물관에 견주어 지방정부가 그것을 하는 박물관 양태를 말한다. 다만, 지방재정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중앙정부 지원없이는 고사하는 일이 대부분이라, 특히 그 설립과정에서는 거의 절대적인 중앙정부 지원에 기댄다.나아가 운영에서도 이런저런 지원을 받아야 한다. 문제는 저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철칙이 공립박물관에 대해서는 유통하지 아니하는 헛구호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공립박물관 운영과 관련해 중앙정부의 시종하는 흐름은 딱 .. 2025. 1. 16.
공립박물관, 언제까지 개인기 의존해 연명할 것인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호령한 알렉 퍼거슨이 맨체스터유나이티드를 이끌던 시절에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두고 한 말이던가?팀보다 위대한 선수 없다. 딱 이 상황에 해당하는 우리네 문화재 현장이 공립박물관이다. 이 공립박물관이 처한 여러 녹록치 아니한 사정은 내가 입이 닳도록 이야기했거니와, 그 무엇보다 나는 그것을 받침하는 법과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관련 학계를 향해서는 어줍잖은 정치경제계 흉내낸답시며 조찬세미나니 하는 짓거리할 때가 아니라 공립박물관 근간을 흔드는 불합리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말을 주구장창했다. 어찌 이 문제가 한두 사람 개인기로 해결될 문제란 말이던가?하지만 그런 움직임을 박차고 일떠서 나서야 하는 사람들이 모조리 출신 성분을 보면 국립이라는 단물이라는 단물을.. 2025. 1. 16.
건축물이 살아남기 위한 제1 조건은 우연, 그다음은 재활용성 누차 이야기했지만, 로마에는 로마가 없다. 우리가 보는 로마는 근현대 로마다. 로마시대 로마? 더욱 구체로는 475년 서로마제국 멸망 이전 로마 공화정이나 로마제국시대 유산이라고는 뼈다귀만 남은 콜로세움과 만신전이라는 판테온, 영묘靈廟라는 산탄젤로 이 정도다. 나머지 로마는? 모조리 고고학 발굴을 통해 땅속에서 노출된 것들이다. 그 막강했던 치르코 마시모라는 벨로드롬도 그곳이 경기장이었다는 희미한 흔적만 남기고 모조리 사라졌으며, 나보나광장 역시 그곳을 장식한 벨로드롬은 흔적도 없이 명멸하고 말았다.위대한 유산?그딴 게 어디있단 말인가?그나마 살아남은 것들은 그것이 위대해서이겠는가? 문화재라는 개념도 없던 시절에 어떤 누가 미쳤다고 역사를 보존하겠다며 그것들을 보존했겠는가? 건축물 자체 만드는 기술이 뛰.. 2025.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