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1 [귀주대첩] (2) 거란 버리고 宋에 접근했다 쌩까인 고려 그나마 전쟁 속에서도 이어지던 거란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해 버린 고려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宋과 붙어야 했다. 하지만 宋도 문제였다. 거란 대신 파트너로 선택하려 했고, 실제 993년 제1차 고려거란전쟁 직전까지는 고려의 종주국이었지만, 이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어서 무엇보다 송 역시 거란에 대항할 힘을 상실하고 만신창이 난 상태였던 까닭이다. 거란의 사신 입국과 고려에 의한 송으로의 외교 사절 파견은 동시였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그것이다. 이런 양태가 훗날 동파 소식한테서 고려는 쥐새끼 같은 놈들이며 믿을 수 없다는 사자후를 토하게 하는 바탕이 된다. 간에 붙었다 쓸개 붙었다 하는 고려가 송으로서는 얼마나 얄밉겠는가? 하지만 송 또한 고민이 적지 않았으니, 그렇게 필요하다고 찾아온 고려를 내칠 수.. 2024. 2. 19. 지질이 복도 없고 재수없는 시대를 살고 간 고려 현종 왕순 고려 제8대 임금은 죽은 뒤에 받은 정식 시호가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이다. 현종은 묘호廟號라 해서, 죽은 뒤에 사당에 신주가 안치되면서 얻는 이름이니 그는 생전에 그가 이런 이름을 얻을지 알 수 없었다. 그 생전 업적에 따라 신하들이 논의해서 후임 왕한테 올리면 크게 이변이 없는 한 그렇게 확정한다. 그는 태조 왕건 손자라 당연히 성씨는 王이다. 이름은 순詢이라 풀네임은 왕순王詢이다. 보통 18세 무렵 어른이 되면서 새로운 이름을 얻는데 이를 자字라 해서, 이때부터는 보통 이 이름으로 행세한다. 사람들이 그런 이름으로 불러도 시례가 아니다. 다만, 왕순은 성인이 될 무렵에 안세安世, 곧 세상을 평안하게 했다는 자를 얻기는 했지만, 자로도 일컬을 수 없었다. 왜? 왕이니깐. 그는 왕건 손자라 하지만 왕위.. 2024. 2. 19. [백수일기] 사대보험과 경조사비 이건 내가 일찍이 경험했고 또 선배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라 깊이깊이 새겼다. 백수가 힘든 까닭이 바로 저 두 가지라 때가 때이니만큼 요샌 툭하면 날아드는 경조사에 정신을 차리지 못할 지경이다. 사대보험이야 그런대로 해결은 했지마는 저 경조사비는 실은 현직에 있을 때도 적지 않은 부담이었으니 백수가 된 지금은 그 부담이 열배로 늘어난다. 아참 백수라 하지만 난 정식 피고용인이다. 사대보험은 그짝에서 해결하고 쥐꼬리 만한 봉급도 받으니 엄밀히 백수는 아니다. 그럼에도 쓰던 가락이 있어 줄인다 하지만 그것도 한계가 뚜렷해서 꼭 챙겨야 하는 자리를 마다할 수 없고 그 꼭 챙겨야 하는 자리가 항하사 모래알 숫자보다 많다는 데 심각성이 있지 않겠는가? 그래 가랭이 찢어진다. 맞다. 그래서 알고도 넘어가는 경조.. 2024. 2. 19. [귀주대첩] (1) 파탄난 고려-거란 외교 고려와 거란 두 왕조가 직접 대규모로 충돌한 이 전쟁을 흔히 3차라 해서 세 시기로 분기하지만, 이는 근현대 사가들이 규정한 것일뿐 그 사이에 직접 군사충돌만 해도 무수했으니, 특히 그 충돌은 이른바 제2차와 제3차 전쟁 사이에 빈발했다. 이들 전쟁을 개괄하면 서기 993년, 성종 재위 12년 이른바 1차 전쟁이 물경 80만(물론 개뻥이다. 수십 만에 지나지 않았다)을 주장한 그 군사력 동원 규모를 볼 때 비교적 순조롭게 끝난 까닭은 양국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외교협상이 빛을 발한 까닭이다. 당시 거란이 원한 것은 동아시아 세계의 맹주 패권국가 공인이었고 그 완결은 고려의 신속臣屬이었다. 당시 고려는 여전히 宋과 내왕하며, 송을 종주국으로 섬기면서 그쪽에서 책봉을 받아오고 조공했으며, 연호 또한 송나라 .. 2024. 2. 19. 창의創意가 없는 글은 쓰지 마라 나손 김동욱(1922-1990) 선생 글이다. 당연한 듯 싶으면서도 참 어려운 목표다. *** 편집자 코멘트 *** 글쓰는 이들은 새기가 새겨야 할 말이다. 창의가 없는 글은 쓰레기에 지나지 않는다. 지금 나는 쓰레기를 양산하지 않는가 묻고 또 물어야 한다. 2024. 2. 19.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본 조선 임진왜란 주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말년에 조선침공을 하는 바람에 그 자신의 인생과 도요토미 가문의 미래가 꼬였다고 해도 좋다. 아마 조선침공을 하지 않았다면? 알 수 없었을 것 같다. 그런데-. 도요토미는 도대체 조선을 어떻게 보고 침공했을까? 점쳐볼 수 있는 근거가 몇 개 있다. 우선 히데요시가 조선 정벌 후 조선을 나눠 다스리려 했다는 계획이 위 저 그림인데 저기서 "쿠니"를 유심히 봐야 한다. "쿠니"란 일본의 영제국令制國 하의 "쿠니" 바로 그것이다. 그 쿠니를 보면.. 이때는 홋카이도가 없을 때인데 일본 혼슈와 시코쿠, 큐슈에 영제국 68국이 들어간다. 이때 조선땅은 혼슈 크기와 거의 비슷하므로 조선땅에 쿠니를 넣으면 대략 68 - 9 (큐슈) - 4 (시코쿠) 해서, 대략 55개 정도 쿠니가 .. 2024. 2. 19. 이전 1 ··· 1256 1257 1258 1259 1260 1261 1262 ··· 36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