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6

[202401 독일풍경] (1)함부르크 ①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from 장남원 집을 떠나온 지 며칠이 지났다. 비껴가지 않은 여행의 복병을 만나 ‘눈 떠보니 잠시 파리’였지만 이제 독일로 들어와 적응 중이다. 하지만 어제 밤 공연생각에 마음이 눅눅하다. 함부르크의 엘프 필하모니 콘서트홀에서 열린 https://www.elbphilharmonie.de/de/Elbphilharmonie Laeiszhalle Hamburg - ElbphilharmonieMerkliste Anmeldung erforderlich. Wenn Sie noch kein Elbphilharmonie-Kundenkonto besitzen, können Sie sich schnell und einfach registrieren.www.elbphilharmonie.de 침머만(Bernd Alois Zimmermann.. 2024. 1. 22.
민족이라는 틀안에서 한국사를 사고 하면, 도달할 결론은 사실 뻔하다. 최근 한국사의 논의가 조금 슬럼프에 빠진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도 필자가 보기엔 개별 학자분들의 문제라기 보다는 지금 한국사가 설계된 파라다임이 시효를 다한 결과라 본다. 지금 한국사는 해방 이후 한 손에는 식민사관의 극복, 다른 손에는 민족주의라는 쌍칼을 들고 설계된 사유체다. 이 틀로는 더이상 발전이 어렵다고 본다. 한길사 한국사는 이제 무덤 안에 넣어버리고, 민족주의로 부터 자유로와져 한국사를 바닥부터 뒤집기 전에는 슬럼프에서 쉽게 빠져나오기 어려울 것이라 본다. 고조선을 한민족국가의 첫머리에 올려놔서 그 실체를 파악하는데 도움은 좀 되었는가? 필자가 보기엔 전혀 그렇지 않다. 민족으로 현대사를 설계하니 미래가 보이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자유로운 사고가 혁신과 발전.. 2024. 1. 22.
고조선과 낙랑은 분리하면 안 될 것 지금 한국사에서는 고조선과 낙랑을 분리하여 고조선은 한국사, 낙랑은 중국의 식민지로 정의하여 한국사에서 사실상 퇴출된 상태이다. 심지어는 낙랑 대방 등 군현이 들어간 지도 한 장도 변변히 교과서에 들어가 있지않다. 이런 건 좋다. 문제는 고조선이라는 실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부분인데, 언젠가 썼지만,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문명에서 고조선과 비슷한 종말을 겪지 않은 문명이 별로 없다는 것이 문제다. 예전에 예를 들었지만 그리스 문명, 이집트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페르시아 문명까지도 문명의 끝은 모두 이민족 지배로 끝났다. 낙랑은 그 고분에서 나오는 유물들을 보면 알 수 있지만, 고조선 멸망 이후 낙랑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문화적으로 과도적인 변화를 겪는 양상이 역력하며 군현 자체도 .. 2024. 1. 22.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IGC) 8월 부산 개최 최대 규모 지질과학의 올림픽!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IGC)가 올해 8월 부산에서 개최됩니다. 1878년 부터 전 세계를 돌아가며 4년마다 열리는, 지질과학을 대표하는 가장 큰 학술대회로 6000명 정도의 학자들이 참여해 왔는데, 팬데믹으로 8년만에 열리게 되었고, 한국에선 이번이 처음입니다. 인류세, 화산이나 지진 등 자연재해, 희토류 등 자원개발, 탄소중립, 원자력 안전, 우주지질 등의 주제로 지질계 이슈 토론의 장이 될 것입니다. 여러 지질학자들과 함께 저도 조직위원회 집행위원으로서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학술대회 외 지오필름 페스티벌, 필드트립 등 다양한 지질 관련 행사가 준비되어 전문가 뿐만 아니라 지질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 청소년도 참여할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참여하셔서 함께 즐기는.. 2024. 1. 21.
심곡서원과 조소앙 [2021. 1. 21.] 평상시 눈여겨 보지 않았는데, 오늘 용인 심곡서원 교육관에 걸린 역대 원장 사진을 쭉 보다가~ 조소앙 선생님이 계신 걸 알게 됐다. 이전에 기록으로 보았을 때는 주로 해외에 계셨던 걸로 알고 있어서 동명이인이 아닌가 했는데, 사진을 보니 같은 분😳 어떻게 1942~1945년 사이에 심곡서원 원장이신 거지....!? 당시 이 포스팅을 보고 안중근의사기념관 이주화 선생님께서 이런 의견을 주셨었다. “조소앙 선생 관련 기록은 크게 세 가지인데요. (소앙문집이라고도 함)과 은 중국에서 33년에 간행하였고요, 는 37~40년 사이의 기록이예요. 심곡서원 연혁에는 43년에 원장을 맡은 것으로 되어 있는데 그 시기에는 조소앙이 남긴 기록이 없습니다. 그래서 당시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회의록과.. 2024. 1. 21.
산릉山陵을 구현하는 방법이 다른 백제와 신라 대략 4~6세기 동시대 왕릉 혹은 왕릉급 무덤을 비교하면 백제와 신라는 저렇게 대별할 수 있겠다는 말을 여러 번 했으니, 다시금 간단히 정리하면 백제가 구릉에 가까운 산을 파고 들어가 묻으면서 봉분은 있는둥마는둥 하고 마는 반면 신라는 평지에다가 거대한 봉분을 인공으로 쌓아 만든다. 그래서 그 무덤 자체를 비교하면 크기가 비교가 되지 않으리만치 신라 쪽이 압도적으로 크고, 그만큼 껴묻거리도 많을 수밖에 없다. 왜? 산을 파고 들어가서 신라만한 규모로 무덤을 만드려면 얼마나 많은 공력이 더 필요하겠는가? 한데 우리가 잊은 점이 있다. 백제의 무덤을 논할 때 그 배경이 되는 산을 곧잘 망각한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저 산이 있음으로써 저 산을 포함하는 전체 구역이 묘역墓域이 되는 것이며, 그런 묘역이 바로 다.. 2024.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