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6

[당시] 問劉十九: 白居易 綠蟻新醅酒 紅泥小火爐 晩來天欲雪 能飮一杯無 인상파가 따로 없다. 당시가 동아시아 문학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을지 짐작하기 어렵다. 딱 20자로 추운 겨울날 눈이 내리려는 저녁 술이나 한 잔 할까 싶은 심정을 카메라처럼 찍어냈다. 2024. 1. 20.
선과 관련이 있는 조선 막사발의 미 조선 막사발의 미는 불교 선과 관련이 있다. 유교와는 관련이 없다. 불교의 선에서 일본의 다도가 나왔는데 조선 막사발이 일본의 국보가 된 것은 바로 그러한 일본 다도의 흐름에서 막사발이 가지고 있는 위치 때문이다. 조선의 미가 아니다. 이 말에 분개한다면. 찾으면 된다. 이쪽에서도. 조선 막사발의 미가 한국 역사의 흐름에서 나왔다는 것을. 그런 것을 찾을 수 있다면 필자도 물론 기쁘겠지만. 그런 확률은 별로 높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생각해 보자. 코카콜라 병이 있다. 코카콜라 병을 하늘에서 조종사가 먹다가 버려 그것이 부시맨의 손에 들어가 이것이 하늘이 준 엄청난 선물로 간주되어 숭상되더라도 그 코카콜라 병은 조종사 나라의 역사책에 기술될 수는 없다. 코카콜라 병은 부시맨들의 역사에서 의미가 있을 것.. 2024. 1. 20.
쿄토의 현재모습에서 과거를 보기 (1) 지금 쿄토의 현재 모습은 800년대 헤이안쿄의 모습이 아니다. 헤이안시대 왕성 구역이 전국시대를 거치며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가 오다 시대 이후 다시 일어나 자연적인 도시의 팽창을 경험한 결과가 지금 쿄토이다. 간단히 설명해 보면, 위 지도의 화면 중간 약간 우측에 강이 하나 보일 텐데 이 강의 동쪽은 원래 헤이안쿄가 아니다. 헤이안쿄는 이 강의 서쪽에만 있었다. 강의 동쪽은 헤이안시대 후반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쿄토의 중심지역 중 일부가 되었다. 일본의 국보로 유명한 "낙중낙외도"라는 그림이 있는데, 여기서 "낙외"가 바로 저 강의 동편이다. "낙"이란건 "낙양"의 뜻이다. 헤이안시대 왕성의 경내에 있었던 지역이 "낙중"이다. 따라서 "낙중낙외도"의 "낙외"지역은 원래 헤이안경이 아니었던 곳이다. 2024. 1. 20.
형식이 내용을 구속한다, 부장품의 경우 이른바 닌토쿠천황仁徳天皇이 묻힌 곳이라 하는 오사카 다이센능고분大仙陵古墳이다. 간단히 다이센고분大仙古墳이라고도 한다. 이 무덤을 일컬어 피라미드를 능가하는 전 세계를 통털어 옛날 무덤 왕릉 중에서는 최대 규모라 선전하곤 하는데 어느 정도인가 하면 2018년 4월에 궁내청宮内庁 3차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봉분과 해자 합치고 바깥 경계 구역까지 포함한 최대 길이 840m에, 너비 최대 654m 봉분만은 길이 486~525.1m 봉분 아래쪽 기준 면적 103,410~121,380㎡ 뒤쪽 원형 봉분만 지름 249~286.33m, 높이 35.8~39.8m 앞쪽 네모난 모양 전방부前方部가 너비 307~347m에 길이 237~257m, 높이 33.9~37.9m 에 달한다고 하니 그 규모가 엄청남을 보겠다. 흔히 황남.. 2024. 1. 20.
쿄토의 마지막 장면: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 이제 쿄토의 마지막 장면으로 히데요시 시대. 임진왜란 직전인 16세기 후반 모습이 되겠다. 이 시대가 되면 헤이안쿄平安京 시대 조방條坊의 모습은 남아 있고 전국시대 말이 되면 시가지 규모도 상당히 회복했지만 성 외곽 모습은 이미 헤이안쿄와 같은 정방형은 아니다. 히데요시는 쿄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성 둘레에 해자를 파고 그 흙으로 토담을 쌓았는데 이를 오도이御土居라 한다. 그런데 오도이로 둘러싸인 쿄토 모습이 뭔가와 닮지 않았나? 결국 도시가 위치한 자연적 지리적 공간을 찾아 안착하면 이런 모습이 되지 별 뾰족한 수 없다 이거다. 이것을 자연과의 융합을 꾀한 뭐 어쩌고 하는 식으로 미화할 수도 있겠고, 또 조방제를 강력한 왕권의 상징으로 미화할 수도 있겠지만 진실은 이도 저도 아닌 전제왕권 이데올로기의.. 2024. 1. 20.
전국시대의 시작과 쿄토: 오닌의 난[応仁の乱] 전후 (1467) 쿄토 이야기를 시작하는 김에 좀 더 써 본다. 오닌의 난 (1467)은 우리나라 조선 세조 때 해당하는 사건으로 일본에서 무로마치 막부가 사실상 붕괴하고 전국시대가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때가 되면 쿄토가 어떻게 바뀌는가. 이렇게 바뀐다. 지금도 쿄토에 가면 상경上京과 하경下京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데, 원래 헤이안쿄平安京 시대에는 상경과 하경이라는 지명은 없었다. 이 지명이 나오게 되는 것은 대략 오닌의 난 전후한 시기부터로, 무사들 사이에 싸움이 시작되니 쿄토가 초토화해서 시가지가 전부 사라지고 성채에 둘러싸인 두 개 시가지만 남게 된다. 이 중 북쪽의 상경과 남쪽의 하경인데 북쪽 상경이 바로 덴노가 살던 쿄토고쇼[京都御所]가 포함된 지역으로 지금도 쿄토 가면 볼 수 있는 니조성二条城이 있는, 쇼군 저.. 2024.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