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30대의 1년은 10년이며 2년이면 20년이다 30대에 1년을 허비하는 일은 내 인생 10년을 갉아먹고 2년이면 20년을 허탕친다. 그만큼 인생 삼십대는 중요하다. 내 주변을 봐도 이 시기에 미래가 결단 났다. 본인 심정이야 처지야 어떠하건 징징거리지 않고 좌고우면 하지 않고 꾸준히 내 길 가는 친구랑 그렇지 아니하는 친구가 갈라지는 시간은 불과 2년이면 충분하다. 비슷한 시기에 비슷하게 출발했는데도 후자는 일취월장해서 이미 대가 반열을 준비하는데 후자는 퇴보에 퇴보를 거듭해 꼬꾸라져 있다. 이 차이가 무얼 말하는가? 30대면 뭔가 안착하고 쏟아내거나 쏟아낼 준비를 해야 하는 시기다. 내 경우를 봐도 가장 참신한 글은 이때 쏟아냈다. 서른넷에 단행본 내고 이듬해 서른다섯에 두 번째 책 냈다. 삼십대면 자기 책을 내야 한다. 징징거릴 시간 없다. 30.. 2023. 12. 15. 서울역사박물관 임인식 기증사진 특별전 <그때 그 서울> 📢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임인식 기증유물특별전 展을 개최합니다.🎉🎉 🔈 6·25전쟁 종군기자이자 다큐멘터리 사진가 임인식(1920~1998년) 선생님의 기증 사진 1,000여 점 중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에 촬영된 희귀 사진 140여 점을 선보입니다. 🔈 6·25전쟁의 상흔 속에서도 삶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은 서울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 1950년대 서울 항공사진을 비롯해 고궁, 한강, 남대문시장, 골목길 등 다양한 모습을 조명해 봅니다. 🔈 23.12.15(금) ~ 24.3.10(일)까지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니 많은 관심과 기대 부탁드립니다.👏👏 📆 전시기간: 2023년 12월 15일(금) ~ 2024년 3월 10일(일) 📌 전시장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 2023. 12. 15. 장원정리령과 과전법 延喜の荘園整理令 902年(延喜2)醍醐天皇 この整理令以後の荘園を「格後の荘園」と呼び、整理の対象にした。 永観の荘園整理令 985年(永観2)花山天皇 延喜整理令以後のものを整理 長久の荘園整理令 1040年(長久元)後朱雀天皇 寛徳の荘園整理令 1045年(寛徳2)後冷泉天皇 前任の国司の在任中に立てた荘園だけ停止。 天喜の荘園整理令 1055年(天喜3)後冷泉天皇 延久の荘園整理令 1069年(延久元)後三条天皇 承保の荘園整理令 1075年(承保2)白河天皇 寛治の荘園整理令 1093年(寛治7)白河天皇 康和の荘園整理令 1099年(承徳3)堀河天皇 新立の荘園の停止(同年、康和と改元)。 天永の荘園整理令 1111年(天永2)鳥羽天皇 保元の荘園整理令 1156年(保元元)後白河天皇 荘園で使役できる農民の数を制限、「保元新制」。 일본의 장원정리령은 덴노가 명령하는데.. 2023. 12. 15. 일생의 향방은 30대에 결판난다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내 경험을 보면 이 30대가 이후 모든 일생을 결정한다. 요새는 취직이라는 관념이 평생직장과 동일시하는 시대는 아니기는 하지만, 또 극심한 취업난에 생평 계약직이나 보따리장사를 전전하는 사람이 많아지기는 하더라만 이 30대가 되면 어느 정도 안정된 직장 혹은 그 비스무리한 정착을 하는 단계라, 이때 내가 어떤 결정을 하느냐에 따라 일생이 정해진다. 이후 시간은 쏜살과도 같아 우사인 볼트 백미터 달리기보다 빨라서 어어 하다 금새 정년이 코앞에 닥쳐온다. 40대? 못 옮긴다. 내가 좋아하는 일? 마흔에 어떻게 찾는단 말인가? 불러주는 데도 없고 갈 데도 없다. 그렇게 30대는 내가 어떤 방향을 잡느냐가 중요해서 이때 내 갈 길을 확실히 정해야 한다. 그저 그런대로 주어진 삶을 산.. 2023. 12. 15. 한국과 일본: 운명의 14세기 한국과 일본은 일견 문화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 같지만 그 속을 곰곰히 들여다 보면 이러한 차이의 상당부분은 중세-근세이후 만들어진 것이라는 확신을 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인 도작 문명을 근거로 발전했으며 일본의 국가성립기인 5-7세기에 상당한 문화적 영향력이 한반도에서 작용했기 때문에 7세기 말경에는 양국의 사회문화적 토대가거의 통일하였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양국의 동질성이 8세기 이후 크게 차이가 나기 시작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일본 헤이안시대에 중국 당나라의 문물이 직접 수입되면서 일본이 한반도와의 동기화가 끊어진 한편 헤이안시대 말 (한국은 라말여초)의 혼란을 수습하는 국면에서 양국의 대응이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전자는 언젠가 다시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 .. 2023. 12. 15. [그때 그 시절] 선거개표 오늘 개막한 임인식 기증전에서 발견한 사진. 선거 개표 알림을 이렇게 수작업으로 일일히 만들다니! 이걸 보려고 모인 사람들도 엄청나다! *** 서울역사박물관 황해진 선생 소개다. 저 시절 불과 반세기 전인데 견주건대 구석기시대랑 철기시대 차이다. 2023. 12. 15. 이전 1 ··· 1415 1416 1417 1418 1419 1420 1421 ··· 36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