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0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32) 로마의 그믐달 달 타령 하면 고향이라든가 떠난 사람이 그립다는 징표라는데, 그런가? 뵈지 않던 달이 동쪽에서 떴다. 이곳 로마 시간으로 2023년 11월 9일 오전 4시50분, 이짝은 음력이 흔적기관처럼 사라졌지만 우리야 그런가? 캘린더 뒤져 오늘이 음력 언제인가를 찾는다. 9월 26일. 그믐이 코앞이다. 태양이 다 갉아먹고 속알 다 빼먹은 수박 껍대기 모양이지만, 그뭄은 보름이 주지 못하는 아련함이 있다. 굳이 잡아먹혔다 해서, 혹은 암흑으로 간다 해서 상실이라거나 아픔이라 할 수만은 없는 법이니, 그러고 보면 저 모습을 보고서는 아미를 견준 이가 많으니, 그렇담 일자 눈썹은 뭐가 된단 말인가? 그건 그렇고 왜 서울보다 달과의 거리가 훨씬 가깝다 느껴지는가? https://www.youtube.com/watch?v=.. 2023. 11. 9.
'튀기기' 그리고 '지지기'의 기원 조리법 중 '튀기기'와 '지지기'가 있다. 둘다 기름을 쓴다. 오늘날 한식 조리법 중 빼놓을 수 없는 방법이다. 튀기기와 지지기 기원은 어찌 될까? 요리에 문외한인 필자가 단언하기는 좀 그런데, 억지로 추리해 본다면 아래와 같지 않을까. 첫째로 튀기기는 의외로 한국에서는 역사가 짧을 수가 있을 것 같다. 튀기기는 기원이 일본의 '덴푸라'일 수 있다고 본다. 기름을 듬뿍 써서 고온의 기름에 식재료를 내어 튀겨 내야 하는데, 일본에서 서양 요리 영향을 받아 '덴푸라'가 나오기 이전, 과연 우리 쪽에서 튀기기가 있었을지 모르겠다. 이에 반해 '지지기'는 역시 불교음식 영향을 받아 기원이 상당히 올라가리라 보는데, 이것 역시 '지지기'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지질 수 있는 도구가 준비되어야 할 것 같다. 전통 음식.. 2023. 11. 9.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31) 로마 상공의 11월 오리온자리 며칠 줄곧 로마 상공 오리온자리 이동 양상을 살피니 자정 무렵엔 티볼리 방향 동쪽에서 보이다가 남쪽 eur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상이 뚜렷하다. 지금 시간 세시반. 세 시간 정도만에 남쪽으로 절반 이상을 이동했다. 11월 별자리는 이짝에선 저리 움직이나 보다. 같은 북반구니 한국 또한 비슷한 양상이리라. 그러고 보니 같은 대도시인데, 서울에서는 별구경이 하늘의 별따기지만, 여기선 별자리가 그런 대로 아주 뚜렷하다. 후한 고문파 경학가 정현은 밤잠 설치며 별자리 동태를 살폈다 한다. 물론 그에겐 오리온자리는 없었다. 그건 양놈 별자리인 까닭이다. 로마 위도는 북위 41도. 중강진이랑 같다. 고국 날씨 소식 보니 기온이 뚝 떨어졌다는데 중강진은 한겨울일 것이다. 로마? 스산하기는 하나, 또 새벽에 비가 뿌리는.. 2023. 11. 9.
삼국시대식 조리법 우리가 그래도 옛 사람들 생활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면 이렇게 한 번은 먹어봐야 한다. 1. 밥: 현미로 지은 찐밥 2. 반찬: 채소절임. 고추가루 없이, 소금으로만 절인 것 3. 생선구이, 소금으로만 간을 할 것 4. 꿩 대신 닭: 꿩고기여야겠지만 닭으로 한다. 삶아 낸것. 5. 사슴 대신 돼지: 사슴고기와 돼지고기는 서로 대체재이다. 사슴 고기를 삼국시대에는 더 먹었겠지만, 여기서는 돼지고기로 대체한다. 고기는 모두 삶아내어 소금에 찍어 먹는다. 양념은 소금, 식초, 그리고 장이다. 장은 콩으로 만든 장으로 현재와 비슷한 간장을 이미 먹었을 것이다. 국은 뭘 먹었을까? 된장국? 2023. 11. 9.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30) 정치랑 담을 쌓으면 인생사 줄거움은 두 배 누구나 해외 머물다 돌아오면 비슷한 경험을 하는데 서울역에서 정치 성토하는 확성기, 무슨 권익 확대 주장하는 째진 목소리, 불신지옥 개독 노래 들으면 산통 다 깨진다. 내가 아무리 저에서 초연하고 싶어도 피할 데가 없는 데가 대한민국이라 하다 못해 시골 마을회관 가도 온통 정치타령이라 내가 아무리 일본어를 몰라도 이태리어를 몰라도 예서 뇐네들까지 가세해 정치 성토하는 말을 듣지 못했다. 그렇다고 이들이 민도가 낮아서일까? 그렇다고 우리가 민도가 높아서일까? 아니면 내가 잠깐의 과객 방랑객이라서 피상만 보았기 때문일까? 나와 있으니 정치는 자고로 이러해야 한다는 헛소리 듣지 않아 좋다. 물론 불편한 점이 한둘이리오만 그래도 저 꼴 안보니 속이나 시원하다. 로마 오니 신통방통하게도 정치 잡소리 지껄이는 페친.. 2023. 11. 8.
윤기가 흐르는 쌀밥 요즘은 윤기가 흐르는 쌀밥 만들기가 쉽다. 물조절만 적당히 해서 전기밥통에 넣어버리면 알아서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필자는 밥은 좀 짓는다. 옛날 학생 때 코펠 하나 들고 안 돌아다닌 때가 없던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코펠로 쌀밥을 제법 잘 지었었다. 그때 느낀 것이 쌀밥이라는 게 의외로 짓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코펠은 바닥이 얇아 당시 석유버너로 밥을 하면 첫째는 뚜껑으로 김이 빠져나가면 밥이 설고, 아래의 불조절이 잘 안되면 이 역시 밥이 설거나 다 태워먹기 때문이다. 밥이라는 게 의외로 상당히 짓기가 쉽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필자가 박물관에서 청동기시대 이래의 토기를 보면 항상 든 생각의 하나가. 과연 저걸로 밥을 쉽게 지었을까 하는 것이었다. 일단 불조절이야 어떻게 한다고 해도, 김이 빠져나.. 2023.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