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9

[카자흐스탄] 알마티 가 볼 만한 곳, 제2차 세계대전 기념비 (카자흐스탄) 알마티 가볼만한 곳_제2차 세계대전 기념비 WWII War Memorial (Memorial of Glory, Park Named After Panfilov’s 28 Guardsmen) 과거의 동지가 현재의 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기념비, 또는 소련시절 기념물들은 아마 전 세계에 수백 곳 넘게 존재할 것이다. 알마티 이곳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 나치로부터 모스크바를 방어하다가 군사 28명과 함께 사망한 Panfilov 장군 이름을 따서 만든 공원이다. 전쟁기념물들이 으레 그렇듯, 그리고 구 소련 기념물들이 보통 그렇듯, 선 굵은 대형 청동상, 꺼지지 않는 불꽃 조형물 등과 함께 일명 ‘소비에트의 별’이 곳곳에 새겨져 있다. 한 쪽 섹션은 1917년부터 1921년까지 러시아혁명에 대한.. 2023. 11. 2.
도시화와 고병리 일년간 작업한 일본 "계간고고학" 특집호 "도시화와 고병리". 이제 논문 작성이 거의 끝나고 교정쇄 검토가 진행 중이다. 최종 출판은 12월 중순으로 필자는 특집호 논문 중 5편 집필에 참가했다. 몇년 전 일본에서 같은 제목의 시민 대상 심포지움이 열린 바 있었는데, 그 내용이 특집호로 출판되는 것이다. 12월 중순 정식으로 출판이 완료되면 이 곳에도 소개하겠다. 필자가 그 동안 해온 작업이, 일전에 소개한 미라, 인더스문명에 이어 도시화와 사람의 질병에 대한 역사적 검토가 있었는데 그 부분에 대해 정리하는 작업이기도 하여 필자의 연구 편력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기도 할 것 같다. 2023. 11. 2.
학회지 원문서비스도 하지 않는 학회를 왜 국가가 지원하는가? 한국고고학회 오늘 현재 이 시간 현황이다. 여전히 가장 중요한 대국민 서비스인 기관지 논문 서비스도 하지 않는다. 국가기관이 왜 이런 학회랑 예산을 대서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한단 말인가? 국민세금 단돈 10원이라도 들어가면, 이미 그 학회, 그 기관지는 공공물이다. 도성·왕릉에 깃든 권력의 의미는…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송고시간 2023-11-02 09:00 3∼4일 서울대서 고고학전국대회 열려…최신 연구 성과 한눈에 https://www.yna.co.kr/view/AKR20231101175600005?section=culture/scholarship 도성·왕릉에 깃든 권력의 의미는…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국립문화재연구원은 한국고고학회와 함께 3∼4일 .. 2023. 11. 2.
크레타 섬에서 미노아 왕궁 유적 발굴 Majestic Minoan Palace Uncovered at Archanes, Crete By Tasos Kokkinidis October 27, 2023 사진들 출처는 그리스 문화부 Greek Ministry of Culture 그리스 고고학도들이 미노아 왕궁 유적을 발굴했으니 장소는 크레타 Crete 섬 Archanes라는 데라 보통 때는 크노소스 Knossos 왕궁에서 머물던 왕을 비롯한 지배계층 여름 별장 summer residence 같은 데로 추정한다고. 그리스 문화부는 이번 “Shinning Palace” 발굴을 통해 이쪽 건축물에 대한 많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의미부여를 했다. 가장 흥미로운 대목은 석고 gypsum 라는 빛나는 재료를 사용한 흔적을 찾았다는 점을 꼽는다. 이 건축 재료는.. 2023. 11. 2.
[유성환의 이집트 파적] (1) 이상적인 인간 by 유성환 이집트학 박사 [파적 삼아 끼적인 여적 001] 고대 이집트인들이 생각한 이상적인 인간 고대 이집트인들 역시 자기 자신을 의인으로 어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래야 내세에서 심판을 무사히 마치고 영생을 누릴 수 있었고 또 지상에 세워진 자신의 분묘를 방문하는 사람들로부터 좋은 인상을 주어 공물이나 찬양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고대 이집트인들의 삶은 언제나 공동체와 결부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의로운 삶의 핵심은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과 조화롭게 사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공동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이었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상투적인 문구가 자신을 의인으로 묘사하는 데 천편일률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한번 물어보고 싶습니다. 고대 이집트 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을 막.. 2023. 11. 2.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유물 소개 014] 랜선 도슨트: 텐트-하피의 미라 형태 석관 by 유성환 이집트학 박사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유물 소개 014] 랜선 도슨트: 텐트-하피의 미라형태의 석관 오늘은 고대 이집트의 마지막 토착 왕조였던 제 30 왕조(기원전 380-332년) 혹은 그리스 지배기 초기(기원전 332-30년)에 제작된, 텐트-하피(Tenet-hapi)라는 여인의 검은색 현무암 석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석관은 현재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Musée du Louvre)에 소장되어 있는데 2023년 5월 개관하는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은 이 석관의 정교한 복제유물을 전시할 예정입니다. 폭 길이 높이가 각각 60 x 185 x 34센티미터인 이 석관 세부사진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는데 세부묘사가 매우 아름답고 이집트의 다양한 상징들이 충실하게 재현되어 있으므로 꼭.. 2023.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