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8

우카이, 가마우지를 이용한 은어 사냥 어느 채널에서 일본 기후현岐阜県 '우카이'란 습속을 소개한다.가마우지를 길들여 물고기를 잡는 어법이라는데, 그에 등장하는 한 일본 현지인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가 목표라 한다.찾아보니 이를 표방한 공식 사이트가 보인다. https://www.ukai-gifucity.jp/ukai/ ぎふ長良川の鵜飼①体調が悪い方、体温37.5℃以上の方は乗船いただけません。 ②大声での会話はご遠慮ください。 以上、ご協力をお願いいたします。 (※今後の感染拡大状況等により、変更となる場合がごwww.ukai-gifucity.jp 이를 보면 우카이 うかい 를 鵜飼 혹은 う飼い 혹은 鵜飼い라 하는 모양이라, 상술하기를 가마우지를 길들여서 여름밤에 횃불을 켜 놓고 은어 따위 물고기를 잡게 하는 일이라 하며, 그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 또한 그.. 2023. 10. 30.
세계유산 영향평가 지침서 공식 한국어본 번역 출간 세계유산 영향평가 지침서 공식 한국어본 번역되어 출간 완료. 완료된 7개 언어 외에 약 10개 언어 번역 계속 추진 중이니 계속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링크는 아래 https://www.iccrom.org/publication/guidance-and-toolkit-impact-assessment-world-heritage-context?fbclid=IwAR1JUB2rZjppWNXLkRMQqNZZMDjuOVSBHqne4cRJTI4ECAXzqQoilIFJVHsGuidance and Toolkit for Impact Assessment in a World Heritage ContextOur World Heritage faces threats – Impact assessments offer solutions As.. 2023. 10. 30.
윤두서 손자가 모사한 한성부판윤 구택규 초상 한성부 판윤 구택규 초상 漢城府判尹具宅奎肖像 Portrait of Gu Taek-gyu, Mayor of Hanseong Magistracy 18세기, 윤위尹幃 서울역사박물관 한성부 판윤을 지낸 구택규의 초상화 윤위尹幃(1725-1756)가 그린 구택규(1693-1754)의 초상화다. 구택규는 1753년(영조 29) 1월 17일부터 3월 25일까지 한성부 판윤으로 재직하였다. 한성부 판윤이 되기 전에 그는 1748년(영조 24) 영조의 명으로 우리니라 실정에 맞는 법의학서인 증수무원록을 편찬하기도 했다. 구택규 행적은 아래 사전을 참조토록 하고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6086 구택규(具宅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그의 다.. 2023. 10. 29.
조선시대 한양도성 안 마을 조선시대 한양의 도시공간은 한양도성漢陽都城을 기준으로 도성 안과 도성 밖 성저십리城底十里 지역으로 나뉩니다. 여기에 한성부의 행정편제로 도성 안팎 지역에 동부·서부·남부·북부·중부의 오부五部를 두었습니다. 한편 한성부의 공식 행정 구역인 오부와는 별개로 도성 안은 지세地勢와 수계水界를 중심으로 북촌北村·남촌南村·중촌中村·동촌東村·서촌西村(웃대)·아랫대의 지역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백악산 아래인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지역을 북촌, 남산 북쪽 기슭 아래를 남촌, 광통교에서 종묘 앞 효경교에 이르는 개천 양안 지역을 중촌, 경복궁 서쪽의 개천 상류 지역을 서촌(웃대), 효경교에서 오간수문에 이르는 개천 하류 지역을 아랫대, 낙산 서쪽 기슭을 동촌이라 했습니다. 이들 지역은 자연 경관과 입지 조건, 거주자들의.. 2023. 10. 29.
한양의 궁궐들 경도京都의 시설 중 가장 중요한 공간은 궁궐이다. 경복궁은 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처음 지어진 조선 왕조의 법궁이었다. 그 후 태종이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한 후 이궁離宮으로 창덕궁을 새로 지었다. 창경궁은 왕위에서 물러난 태종이 거주할 목적으로 지었던 수강궁 터에 성종이 1483년(성종 14) 정희왕후, 인수대비, 안순왕후를 위하여 건축한 궁궐이다. 임진왜란으로 조선의 궁궐은 모두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에 창덕궁이, 1616년(광해군 8)에 창경궁이 재건되었다. 법궁인 경복궁은 이때 재건되지 않고 1868년(고종 5) 대원군에 의해 중건되었다. 경희궁은 1616년(광해군 8) 정원군(인조의 아버지, 원종으로 추존)의 옛 집에 세워진 궁궐이다. 경희궁이 창건되면서 법궁은 창덕궁, 이궁은 .. 2023. 10. 29.
조선왕조의 중추, 궁궐과 육조거리 수도 한양은 유교적 도시계획의 기본원칙에 따라 계획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왕이 거주하는 궁궐과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종묘·사직, 국가 통치를 위한 관청거리를 조성했습니다. 궁궐은 임금이 사는 공간이며, 신하가 임금을 뵙고 국가의 정책을 결정하고 선포하는 통치의 공간입니다. 따라서 한양의 도시구조는 궁궐을 축으로 형성되고 운영되었습니다.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 나라에서 가장 큰 길을 내고 좌우에 의정부, 육조를 비롯한 국가 경영의 핵심 관청들을 배치하여 육조거리를 조성하였습니다. 육조거리는 궁궐과 연결되는 어가御街인 동시에 정치·행정의 중심지였으며, 조선 8도로 들고나는 모든 도로의 원점이기도 했습니다. 이로써 조선왕조 왕권의 상징이자 국가 통치의 중추 공간이 완성되었습니다. Royal Palace .. 2023.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