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7 걸신 걸린 듯해야 하는 글쓰기 글쓰기는 퓔이다. 걸신 걸린 듯 해야 한다. 심취해야 하니, 신들듯 해야 한다. 글쓰기는 섹스요 오르가즘이다. 글쓰기는 무아도취요 한식산漢食散 복용 직후 오는 발광이다. 요새 내 글쓰기엔 이게 없다. 식칼 들고 작두 타는 듯한 그 불타오름이 없다. 절필을 선언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2016. 10. 15) #걸신 #발광 #글쓰기 2023. 10. 15. 개성상인의 근대 생존기, 춘포 공성학의 경우 한국의 근대를 살짝 비틀어본다면, 이보다 더 다이나믹한 시대가 있었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오랫동안 차별받던 서얼, 중인, 서북인 등이 기지개를 펴고 출세의 사다리를 올라가 황제의 측근도 되고 나라걱정에 불타는 개화운동가도 되었던 시절이 개화기였다. 고려 500년의 수도 개성 출신도 이때부터 세상에 이름 드날리는 이가 많아져, 김택영金澤榮(1850-1927) 같은 한문학의 대가가 나오는가 하면 한두어 세대 아래 황종하黃宗河(1887-1952) 4형제나 김인승金仁承(1911-2001), 김경승金景承(1915-1992) 형제 같은 예술가, 마해송馬海松(1905-1966) 같은 문인이 등장한다. 그러나 개성하면 뭐니뭐니 해도 상인의 도시 아니던가. 그런 상업의 전통은 근대에도 이어졌는데, 이에 관해서는 양정필.. 2023. 10. 15. 백수의 초기 증상, 자도자도 졸린다 생각보다 내가 생각한 퇴직 시기가 당겨짐으로써, 급해졌으니, 내년까지 소진해야 하는 30년차 휴가랑 연차휴가가 남은 것들을 급하게 쑤셔 박아 실상 한달째 나는 말년휴가 중이었으니 으레 같았으면, 이런 휴가 때는 어디 해외여행을 다녀왔겠지만, 너무나 촉급하게 저런 상황이 주어지는 바람에 이리되고 말았으니, 이는 분명 회사 쪽에서 문제가 있는 결정이다. 대비할 시간을 충분히 줬어야 한다. 암튼 다 지난 일이고, 가뜩이나 체력 저하 등등으로 고전하던 몸뚱아리가 갑자기 풀려버린 탓인지, 또 이 기간 여러 군데 무리하게 싸질러 다닌 탓도 있겠지만, 자도자도 졸리는 나날이 계속한다. 누군가 말하듯이 알게 모르게 그동안 직장생활하며 누적한 피로가 풀리는 과정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운동을 시작할까 해서 적당한 운동을 .. 2023. 10. 14. 단절의 시간 무정한 듯하지만 당연한 수순이다. 끈은 이렇게 하나씩 떨어져 나가고 종국엔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된다. 개인간 관계도 마찬가지라 하나씩 끊어지다 종국엔 그 어떤 연결고리도 남지 않게 된다. 물론 죽자사자 하다 원수보다 못한 관계로 돌변하기도 한다. 2023. 10. 14. 매버릭 maverick 나는 저 말을 천방지축으로 번역한다. 나는 저를 선호한다. 내가 저 부류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내가 겪으면서 저 행태를 선호하게 되었을 수도 있다. 아무튼 지금의 나는 확고한 매버릭주의자다. 나를 반추하고 주변을 보면 언제나 저 반대편에 간섭주의가 발동한다. 그리하여 후배들을 조지고 사사건건 가르쳐야 한다는 주의에 철저한 부류가 있다. 지금의 나는 후자를 경멸한다. 그건 내 경험 때문이기도 하다. 내삐리 두는 것보다 좋은 것 없더라. 그래 나는 황로학 신봉자다. 진평과 주발에 가까운 황로학 신봉자다. 기자로서 후배한테 일을 맡겨본다. 문화재? 학술? 맡기면 열명 중 열명이 다 처음에는 버벅인다. 지금은 문화재 보도자료도 많이 연성화하고 그나마 말귀를 알아듣기 쉽게 하는 방향으로 변화했지만, 십년전만 거.. 2023. 10. 14. 학술대회 보도자료 사례 분석, 문화재청의 경우 (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중원'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고대 삼국 경합의 중심지, 중원」 학술대회 개최 2023-03-13 중원역사문화권 정비사업 전략 및 실천과제 모색 / 3.16. 충주 국제유네스코무예센터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소장 문재범)는 국회의원 이종배(충북 충주시)와 함께 오는 16일 오전 10시 충주 국제유네스코무예센터에서 ‘고대 삼국 경합의 중심지, 중원’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개정안(’22.1./이종배 의원 대표발의)의 시행에 따라 새롭게 포함된 중원역사문화권의 문화유산 정비사업 전략과 실천 과제를 모색하는 자리이다. 학술대회는 1개의 기조강연과 4개의 주제발표, 토론회로 구성하였다. 기조강연은 ▲ 역사문화권 정비법의 제정 의의(노중.. 2023. 10. 14. 이전 1 ··· 1540 1541 1542 1543 1544 1545 1546 ··· 36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