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7

‘창녕 계성고분군 1호분 발굴성과 공개 창녕군에서는 오는 16일 오전 10시 ‘창녕 계성고분군 1호분 및 주변 발굴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및 현장공개회를 개최해요. 🙄 군은 2023년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창녕 계성고분군 정비사업을 계획, 경남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해 조사를 진행했는데요. 발굴조사는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지난 5월부터 착수해 10월 중순에 조사가 완료될 예정이에요. 👍🏻 창녕 계성고분군은 계성면 일대에 축조된 고분군으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보다 이른 시기에 축조됐어요. 5세기부터 가야가 신라로 병합된 7세기까지 지속해서 축조된 계성고분군은 비화가야의 성립, 발전과 쇠퇴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됐어요. 👏🏻 ▶더 자.. 2023. 10. 15.
(단상) 현장에서 미친 것 같았던 어떤 문화재전문기자를 추억한다 by 김충배 (단상) 현장에서 미친 것 같았던 어떤 문화재전문기자를 추억한다 맞습니다. 김태식 기자님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그 김태식 기자가 10월 16일자로 백수가 된다고 합니다. 다들 뭍습니다. 왜 김충배 선생님 같은 점잖은 분이 천둥 벌거숭이 같은 김태식 기자같은 사람과 어울리느냐고. ㅎㅎㅎㅎ 나라고 처음의 만남이 아름다웠겠읍니까? 딱 처음 대면한 순간 사람을 빈정상하게 만드는 비상한 재주를 가진 분이라는 것을 그를 아는 대부분은 공감하실겁니다. 연천 호로고루 발굴현장에서 잠시 후 진행될 발굴현장 공개 행사장에 아침 일찍부터 와서는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왜 무조껀 파고 보냐,. 고고학자들은 무조건 째고 보냐 등등 막말을 쏟아내는 이와의 첫 만남이 아름다울리가 있나요. 그래서 저는 오히려 이 사람을 연구하기 시작했.. 2023. 10. 15.
이용자 설문조사가 아니라, 비이용자 설문조사가 필요하다 꼭 문화기관이 아니라 해도 항용 하는 조사로 저런 게 있다. 이용자 혹은 참여자 조사라 해서 그 반응을 봐서 개선을 위해 반영한다 뭐 이런 취지를 표방하며 하는 일인데, 그 자체 나무랄 데 있겠는가? 박물관 같은 문화 관련 시설에서도 이런 일은 항용 있다. 설문조사는 각 잡고 하기도 하나, 상시로 이뤄지기도 하니, 그런 설문지는 항용 출입구 시설에 비치해 둔다. 요새는 비름빡에 써서 붙이게 하기도 한다. 다 좋다. 이제 우리한테 필요한 것은 저뿐만 아니라 그런 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할 때다. 미술관이야 요새 사정이 달라져서 이용자가 계층을 불문하고 늘었으니, 예외로 치고 박물관은 여전히 이용이 지극히 한정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거니와, 이 문제는 왜 박물관이 버려지는가.. 2023. 10. 15.
발굴체험, 혹 나만 좋은 고고학 교육 프로그램 아닌가? 나는 그리 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반대했는데, 그렇게 어케든 시작한 일이 이른바 성공할 때 나는 뻘쭘해진다. 경험이라는 이름으로, 또 그에서 비롯된 예지 능력이라 해도 좋겠지만, 암튼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 했지만 막상 그런 일이 호응이 좋을 때 나는 머쓱해진다. 이런 일이 내 근자의 경험에서 보면 아주 젊은 친구들과 일하게 되면서 뼈저리게 경험했으니, 그래서 늙으면 입은 다물고 지갑은 열라 하는지 모르겠다. 요새 내가 문화재 현장을 돌면서 부쩍 자주 나만 좋은 전시라는 말을 한다. 주로 고고학 발굴현장이라든가 박물관 같은 데를 돌면서 더 절감하게 된 것인데, 나 역시 어느새, 혹은 본래부터 그랬는지 모르지만, 그런 내 눈에는 참 그럴 듯하다, 이 정도면 괜찮다 하는 데지만, 조금만 그 자리를 비켜나서 .. 2023. 10. 15.
그 탈 많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이명박 표석 2013. 10. 14 내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사진이다. 기록용으로 남겨둔다. 이 이명박 표석을 두고 오죽 말이 많았는가? 저 표석이 무슨 죄가 있다고 정권에 따라 뽑았다가 세웠다가 하는 일을 되풀이했다. 정권이 바뀌면 또 뽑을라나? 저걸 뽑는다 해서 저 박물관을 이명박이 만들어 세웠다는 사실이 없어지지는 않을 터인데, 모르겠다 지금이야 그걸 기억하는 생존자가 많아 그렇지 않을지 모르지만, 세월이 흘러 그런 기억 그런 기록조차 깡그리 사라지고 말지는 말이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명박표석 *** related article *** 사라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이명박 표석, 이젠 도로 끄집어낼 때다 사라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이명박 표석, 이젠 도로 끄집어낼 때다국정원, 61년 전 원훈 '음.. 2023. 10. 15.
중구난방 개족보 고고학용어 왕릉군 무덤은 사비시대 백제 여타 고분이랑 마찬가지로 구조로 보면 모두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이다. 나아가 시신을 안치하는 무덤방인 석실石室은 편편 넓적한 돌인 판석板石으로 마치 상자처럼 짜서 만들었다. 횡혈식 석실분이란 무덤방은 돌로 쌓되, 바깥에서 무덤방으로 통하는 길을 별도로 마련한 무덤을 말한다. 그 무덤을 측단면으로 보면, 무덤방으로 통하는 무덤길이 마치 수평을 이루는 까닭에 ‘횡혈식’이란 수식어를 단다. 횡橫이란 수평을 의미한다. 한자어로는 흔히 ‘연도羨道’라고 하는 무덤길은 거의 예외 없이 무덤방 남쪽으로 연결된다. 하긴 무덤 역시 다른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남향을 하고, 북쪽에는 대체로 기슭이나 구릉 쪽이니 남쪽으로 마련할 수밖에 없는 숙명이 있다. 다만, 무덤방 남쪽 벽면 중에서도 무덤길 .. 2023.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