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5

일제시대의 지식인 [33]: 김경승 일제 말 친일 논란도 있는 조각가 김경승金景承(1915~1992)은 프로필을 본다. 1915년 경기도 개성에서 출생 1933년 송도고등보통학교를 졸업 1933년 일본 단천화학교川端畵學校 1934-1939: 동경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김경승이 졸업한 송도고보는 당시 명문이다. 이 학교를 졸업한 사람으로 장기려가 있다. 장기려는 송도고보 졸업 후 경성의전에 진학하였다. 김경승은 장기려의 5년 후배. 김경승은 송도고보를 졸업 후 일본유학을 했는데, 바로 진학하지 않고 1년간, 川端画学校를 다닌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학교는 1909년에 설립된 사립이다. 일본화가인 川端玉章[단천옥장, 가와바타 교쿠쇼, 1842~1913]이 세웠다 해서 가와바타 그림학교(화학교)다. 사립학교로서는 유명했던 모양으로 꽤 많은 일본화가.. 2023. 9. 11.
국립춘천박물관 오대산 월정사 특별전 국립춘천박물관이 2023년 강원세계산림엑스포 개최를 기념한 특별전 ‘오대산 월정사’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 대해 박물관은 이 산이 강원의 불교 신앙이 탄생한 곳임을 주목해 자연과 그 오랜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다고 말한다. 오대산은 월정사를 품은 곳. 이에 걸맞게 이 산은 성스러운 사리를 봉안하고 봉우리마다 각자 서린 이야기가 있다. 이번 특별전은 그런 이야기 봇다리를 풀어놓는다고. *** 특별전 🪷 국립춘천박물관 기획전시실 2023. 9. 26.(화) ~ 12. 25.(월) #국립춘천박물관 #특별전 #오대산월정사 2023. 9. 11.
한성백제박물관 강鐵철백제 특별전 #전시 한성백제박물관이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와 함께 2023년 백제문화 특별전시회 「강鐵철백제 : 철, 강한 나라를 만들다」를 개최한다. 고대 검은 금으로 여겨질 만큼 귀한 철을 직접 생산하고 가공하는 기술은 강한 나라를 만들 수 있는 첨단기술. 이 자리에는 충주 칠금동, 탑평리, 문성리에서 생산된 철기를 소개한다. 한강을 이용해 한성으로 운반해 농·공구와 무기로 가공했고 백제가 부국강병을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지금은 비록 녹슬고 작은 조각으로 남았으나, 철로 만든 무기와 농기구에는 강한 나라를 이루고자 한 백제의 열망이 있다. 그 열망을 끄집어내고자 한다고. 🗡️전시장소 한성백제박물관 기획전시실 🗡️전시기간 2023.09.22.(금) ~ 2023.12.17.(일) 이번 전시를 통해 "철鐵 강국" 백제의.. 2023. 9. 11.
미다시에서 시작해 미다시로 끝나는 홍보전쟁, 어느 무덤의 경우 얼마 전 경남 함안군에서 이곳 아라가야시대를 대표하는 무덤을 파헤친 성과를 발표했거니와, 그 홍보 문안은 미다시와 서브미다시, 그리고 첫 두 패러그래프가 이렇다. 함안 말이산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공개회 개최 - 삼한시대 널무덤 8기, 삼국시대 덧널무덤 10기 등 다수의 유구 확인 - 백제 사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은제 허리띠장식 출토 함안군은 오는 8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함안 말이산고분군 도항리 425번지 일원 발굴조사' 현장공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군은 2022년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말이산고분군 북쪽 진입로 정비 사업을 계획했으며, 경남연구원(원장 송부용) 역사문화센터에 사업부지에 대한 시굴조사를 의뢰해 삼한시대 널무덤, 삼국시대 덧널무덤, 돌덧널.. 2023. 9. 11.
김경승이 감독하고 민복진이 조수해서 만든 고려대 본관 인촌 김성수 동상, 그 압도하는 힘! 고려대 안암캠퍼스 본관 앞마당에는 중앙학교와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하고 고려대를 창립한 인촌仁村 김성수金性洙(1891~1955) 동상이 본관을 등지고 남면한 입상立像 형태로 섰으니, 전면에서 바라보면 저 모습이고 본관에서 바라보면 이 모습이다. 이 동상은 작품성에서 압권인데, 저 시대 동상을 이리 만드는 사람은 김경승金景承(1915~1992) 딱 한 명이 있을 뿐이다. 그 압도하는 힘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데, 그의 조각은 뒷면에서 바라볼 때 더욱 빛을 발한다. 저와 비슷한 시기, 김경승은 연세대에서는 김성수에 견줄 용재庸齋 백낙준白樂濬(1895~1985) 동상도 제작하는데, 이건 좌상坐像이라는 점이 다르다. 이 동상 후면에 붙은 제작 내력은 다음과 같다. 높이 3.424m 조각 김경승金景承 조수 민복진 閔.. 2023. 9. 11.
쿠데타 두 번에 물갈이 되어버린 군부 앞에 쓴 바 해방 정국에서 일본군 출신이 몇 명, 만군 장교가 몇 명, 일본육사 출신이 몇 명 따져보고 참모총장, 사단장에 일본군 출신이 있냐 없냐 따져보는 것이 별로 의미가 없다는 것이 군부의 경우 쿠데타 두 번에 왕창 물갈이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첫 번째 쿠데타인 5.16 당시 주체는 육사 5기와 8기로 알려져 있는데 일본군 출신은 초기에 이미 군문에 들어와버려 5기생에는 이미 상당히 희소해지며 이 중 특히 8기 (김종필 전 총리의 기수)는 일본군과는 거의 무관한 기수였다. 두 번째 쿠데타인 80년대 신군부는 잘 알려진 것처럼 육사 11기가 주축이었는데, 이는 정규 4년제로는 제1기로 입학이 1951년이며 일본군 출신은 이미 들어올 사람은 다 군문에 들어와 버린터라 뒤늦게 입교하여 편제된 일본군 출.. 2023. 9.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