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9 파주 오두산성 2차 학술발굴조사(상보) 아래 소식에 대한 상보다. 깨뜨린 그릇·성벽 배수구 확인한 파주 오두산성 2차 조사 깨뜨린 그릇·성벽 배수구 확인한 파주 오두산성 2차 조사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기 파주시 오두산성에 대한 두 번째 발굴조사에서 처음 쌓은 성벽과 고친 성벽이 교차하는 양상을 비롯해 성벽과 관련된 배수구 흔적을 확인했다고 historylibrary.net *** 개요 ○ 조 사 명 : 파주 오두산성 2차 학술발굴조사 ○ 조사지역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662번지 일원 ○ 조사유형 : 발굴(문화재청 허가 제2022-0968호) ○ 조사면적 : 140㎡ ○ 조사기간 : 2023년 04월 10일 ~ 5월 12일(실조사일수 19.6일) ○ 시 행 자 : 파주시청 ○ 조사기관 : (재)가디언문화유산연구원.. 2023. 6. 5. 깨뜨린 그릇·성벽 배수구 확인한 파주 오두산성 2차 조사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기 파주시 오두산성에 대한 두 번째 발굴조사에서 처음 쌓은 성벽과 고친 성벽이 교차하는 양상을 비롯해 성벽과 관련된 배수구 흔적을 확인했다고 조사 의뢰기관인 파주시가 5일 밝혔다. 문화재청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한 이번 조사를 어디에서 실시했는지 파주시 보도자료는 침묵하는데, 저번 조사를 실시한 데가 (재)가디언문화유산연구원(원장 오승환)이었음을 고려할 때 아마 이쪽이 아닌가 한다. 사진을 통해 발굴양상을 본다. 이 배포사진이 성안에서 성벽을 통해 물을 빼내는 배수구 시설일 것이 확실하다고 본다. 이것이 이번 발굴조사 양상인데 아마도 이것으로써 초축성벽과 보축성벽 교차 양상을 운위했을 것이다. 위쪽에 보면 파삭 내려앉은 그릇 하나가 보인다. 아래에서 자세히 본다. .. 2023. 6. 5. [전시소식] 서울역사박물관 찬란한 은빛보물 전 저번주 개막한 상해역사박물관 교류전 일환이라 저곳 소장품 중 주로 은제품을 잔뜩 가져다 놓았다. 하나하나 살필 여력이 되지 못해 위선은 전시장 풍경만 사진으로 소개한다 생각해줬음 한다. 보니 근현대기 가까운 시대 세공품이 많다. 2023. 6. 5. 원주 용수골꽃양귀비축제[with 서곡사지 석탑] 계절은 이미 여름으로 들어선지 오래다. 오늘 한낮의 뜨거운 햇살은 누가 뭐래도 여름이었다. 여름꽃 축제는 6월 말 쯤에나 볼 수 있을 듯하여, 거의 마지막 봄꽃 축제 현장 한 곳을 찾았다.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용수골마을에서 개최하는 '용수골양귀비축제'는 자연 경관이 뛰어난 마을에 매료되어 귀농한 마을주민이 평소 꽃을 너무 좋아해서 2005년, 300평의 작은 밭에 취미삼아 심었는데 의외로 많은 관람객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 각광을 받게 되자 2007년부터 마을 주민과 ""대표축제""로 키워보자며 시작하였고, 올해 제16회째라고 한다. 홈 | 꽃양귀비마을 (modoo.at) [꽃양귀비마을 - 홈]강원도 원주 서곡리에 위치한 용수골 꽃양귀비마을입니다poppystore.modoo.at 축제 마감 이틀 전이라,.. 2023. 6. 4. [전시소식] 대구근대역사관 ‘대구大邱에서 만나자 -1910년대 광복光復을 꿈꾼 청년靑年들’ 특별기획전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박물관운영본부 소속 대구근대역사관은 오는 9일부터 11월 5일까지 ‘대구大邱에서 만나자 -1910년대 광복光復을 꿈꾼 청년靑年들-’ 특별기획전을 2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대구지역 독립운동사 돋보기’ 전시로, 1910년대 대구를 중심으로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광복회’를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했다. 1915년 8월 25일(음 7.15.) 국권 회복과 독립을 꿈꾸던 청년들은 대구 달성공원에서 광복회를 결성했다. 광복회(대한광복회로 불리기도 함)는 1910년대 독립운동을 대표하는 비밀결사조직으로, 대구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추고 가장 격렬히 행동했던 단체였다. 대구근대역사관에서는 이번 전시에서 ‘열린 도시’ 대구가 만들어낸 독립운동인 ‘광복회’ 활동을 통해.. 2023. 6. 4. 노필盧弼과 [삼국지집해] by 김영문 *** 이하는 삼국지 배송지 주 완역을 앞둔 김영문 선생 페이스북 글이다 *** * 노필은 중국 근현대 시기 정사 [삼국지] 고증과 연구에 막대한 공적을 남긴 유명한 장서가 겸 고증학자다. 그는 1876년 중국 후베이성(湖北省) 셴타오(仙桃)에서 태어나 1967년 텐진(天津)에서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후베이의 유명한 서원인 경심서원(經心書院)과 양호서원(兩湖書院)에서 공부하고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했다. 한 때 중화민국 정부 국무원 비서로 재직하며 정치에 발을 담그기도 했으나, 평생 고서를 모으고 고증하는 훈고 작업에 전념했다. * 노필의 스승 양수경(楊守敬)은 청말 민초 시기에 금석, 서예, 여지, 화폐, 장서 등 부문에서 83종의 저서를 남긴 대학자다. 양수경의 대표저서.. 2023. 6. 4. 이전 1 ··· 1765 1766 1767 1768 1769 1770 1771 ··· 36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