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9

연희전문이 4년교육을 한 이유 이 부분에 대해서 필자의 생각을 써 본다. 연희전문이 3년이 아니라 4년 교육을 한 이유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유가 추정된 것이 있는데, 필자 생각으로는 연희전문이 대학 승격을 노리고 있었다는 설이 옳다고 본다. 왜냐-. 연희전문이 4년 교육을 택한 것은 조선교육령에 의한 것이다. 조선교육령에 의하면 전문학교는 3년 혹은 4년 교육을 한다고 되어 있다 하였다. 3년이건 4년이건 선택해서 할 수 있다는 이야긴데 이 경우 대개 3년 교육을 택했다. 수업 연한이 짧을수록 빈궁한 조선에서는 많은 지원자가 올 것은 당연한 이야기다. 앞에서 쓴 것처럼 전문학교는 의대를 제외하면 거의 3년제였고 의대는 전문학교이건 경성제대 본과이건 간에 모두 4년 제였다. 일본에서는 1919년 대학령 발효 이후 전문학교가 대학으로 .. 2023. 6. 4.
일제시대의 지식인: [11] 이효석과 [12] 유진오 메밀꽃 필 무렵의 이효석은 당대 최고의 학벌을 가진 사람이었다. 평창공립보통학교 (1914-1920년) -- 경성제일고보 (1920-1925) -- 경성제대 예과 (1925-1927) -- 경성제대 본과 (법문학부 문학과, 영문학) (1927-1930) 이효석의 프로필은 일제시대 조선 교육이 완성되었던 당시의 교육제도를 잘 보여준다. 보통학교 6년 -- 고등보통 5년 -- 제대 예과 2년 -- 제대 본과 3년이다. 그 당시 이 정도로 순탄한 교육과정을 조선 땅에서 밟아 졸업 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의 1년 선배라는 유진오 정도가 아마 그 예가 될것이다. 유진오의 프로필은 다음과 같다. 재동보통학교(1914-1918) --경성고등보통학교 (1919-1924)-- 경성제대 예과 (1924-1926) --.. 2023. 6. 4.
일제시대의 지식인: [10] 시인 이상 시인 이상은 잘 알려진대로 정식으로 문학을 공부한 사람은 아니며, 오히려 당시 공업전문을 졸업한 엔지니어 출신이다. 신명학교(新明學校) (1921) -- 보성고보 (1926) -- 경성고등공업 건축과 (1929) -- 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 (기사?) 이것이 그의 프로필이다. 신명학교는 보통학교인데, 이상이 졸업할 때까지만 해도 4년제였다. 4년제 보통학교-5년제 고보를 졸업하면 고등학교 (전문학교)를 입학하는데 필요한 수업연한에서 2년이 모자라는데, 아마 이 당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떠한 형식이라도 경과조치가 있었을 것 같다. 아무튼 보성고보 5년 졸업 후에는 중졸 학력이 되어 경성고등공업에 입학했다고 한다. 경성고등공업은 전문학교로 고등학교 과정이다. 당시 경성고등공업은 3년제였으니 정확히 3년.. 2023. 6. 4.
돌아가는 삼각지는 소음천국 내가 사는 용산 남영동은 대통령실이 옮겨온 국방부 땅이랑은 빈껍데기만 남은 미군기지랑 전쟁기념관을 사이에 둔 지척이라 요샌 데모대가 이짝으로 몰려들어 걸핏하면 삼각지 로터리를 중심으로 교통 마비 내지는 체증이 벌어지거니와 평일 주말 가리지 아니하고 매일 저 꼴이 벌어진다. 가뜩이나 내가 근무하는 공장은 광화문이고 개중에서도 주한일본대사관이랑 그 공장 건물이 마주하는 바람에 집회시위가 잦으니 저 확성기 소리는 오나가나 참말로 고역이다. 이 삼각지로터리에는 용산초등인가 암튼 학교까지 있는데 매일매일 저 시끄러운 소리를 감내해야 하는 학교도 못할 짓인가 싶기도 하다. 삼각지 시위현장 한 켠을 보니 그 시위장 맞은편 인도에서 경찰 쪽에서 확성기 소음을 측정 중이다. 기준 소음이란 게 있는 모양이라 것도 주거 학.. 2023. 6. 4.
연희전문 문과 4년의 미스터리 이 부분이 참 미스테리인데. 연희전문이 당시 조선 유일의 문과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도 신기하지만, 그 조선유일의 문과를 4년제로 유지한것은 더 신기하다. 왜냐. 일제시대에 구제 전문학교는 3년 혹은 4년제로 되어 있었는데여기서 4년이란건 의대 때문에 만들어진 규정이란 건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립전문학교 중 경성의전은 4년제였다. 나머지 기타 전문학교는 거의 모두 3년제였다. 심지어는 대학 본과도 일제시대에는 3년이었다 (의대 제외). 사실 연희전문이 4년제로 문과를 유지하더라도 문제될 것은 없다. 왜냐하면 4년짜리 전문학교도 있었기 때문에.. 그런데 그 4년짜리 전문학교는 의대나 특수목적 학교 때문에 만들어 놓은 규정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일설에 의하면 연전은 1920년대 당시 민립대학, 즉 .. 2023. 6. 3.
고보高普와 중학中學 일제시대 고보와 중학 이야기를 좀 써보겠다. 일제시대에는 중등교육기관으로 중학과 고보가 병존하고 있었다. 대개 중학은 일본인이 다니는 학교였고, 여기를 졸업하면 큰 예외가 없는 한 더 공부하겠다면 일본 본토의 고등학교로 진학했다. 조선에는 고등학교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경성제대 예과로 갈수도 있겠지만 그 기회는 넓지 않았을 것이다. 고보는 반면 조선인들이 주로 다니는 학교였다. 일제시대 고보는 공립과 사립이 있었는데 여기서는 공립학교의 이야기를 해보자. 조선에서 가장 먼저 생긴 고보는 경성고보이다. 이 경성고보가 나중에 경성에 공립 고보가 하나 더 생기면서 경성제일고보가 된다. 지금의 경기고로 이어지는 학교이다. 나중에 생긴 경성제이고보가 지금의 경복고이다. 경성중은 어찌 되었을까? 이 학교는 해방과 .. 2023.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