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78

트위터 삼천 구독 분투기 https://m.k-odyssey.com/ K-ODYSSEY The k-wave as a cultural phenomenon is a channel through which Korea and the world communicate. m.k-odyssey.com 불초 소생이 속한 K컬처기획단이 운영하는 한류 전문 K-odyssey 홈페이지라, 누누이 말했듯이 나는 이 홈피를 post-portal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beyond portal을 지향했으니 작금 연합뉴스를 위기로 바라보는 네이버 다음 포털 뉴스서비스 퇴출 결정과는 관련이 썩 없지만 그렇다고 무관계하지는 않으니 꼭 이런 사태가 초래되어 하는 말은 아니거니와 나는 언제나 비단 연합뉴스만이 아니라 전 언론이 포털에 종속하는 일을 경멸 모멸했으니.. 2021. 12. 11.
용인시박물관 <용인아카이브> 공간 용인시박물관에 방문했을 때 인상깊게 본 곳입니다.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록•보고서•사전 등 자료를 관람객들이 볼 수 있도록 마련한 공간입니다. 박물관에 있다 보면 여러 기관에서 학술 도서를 많이 보내 오는데, 그 자료를 정리하는 것 또한 소장품 정리만큼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박물관에 있을 때도 대학생 인턴들이 올 때마다 박물관 자료를 정리해서 관람객들이 볼 수 있는 자료실을 만들려고 했었는데, 지금은 그 공간이 잘 활용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자료 정리까지야 어찌어찌 할 수 있는데, 다들 아시는 것 처럼 보이는 공간까지 만든다는 게 어렵습니다.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자료실에 상주하며 관리할 인력도 필요하고, 관리 시스템도 필요하고, 관람객이 앉아서 편히 볼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 2021. 12. 11.
파고 보니 우람한 예산 가야사지, 문제는 사후처리! 근자 예산 가야사지라는 곳을 올들어 다시 발굴한다는 소식을 접하기는 했지만, 까마득히 잊고 있다가 이런저런 데서 그 발굴성과라 해서 관련 소식이 간헐로 들려오기에 적어도 그 발굴에 관한 한 철저한 甲의 위치에서 조사단 선정해 조사비 농가주며, 이리해라 저리해라 감내놔라 배내놔라 하는 충청남도 예산군청 학예연구사 이강열한테 기별을 넣으면서 이르기를 화질 좋은 관련 사진들과 조사단이 정리한 올해 발굴 약식보고서 부탁하오 하매, 올해 까디빈 성과라며 틱! 하니 저런 사진 서너장을 카톡에 첨부하고는 암말이 없다! 뭐 하도 바쁘신 몸이라 그런갑다 하면서 대뜸 내가 답장하기를 "강열아! 너 X됐다. 저걸 우짤라카노? 니 묘수 있나?" 했으니, 실상 절반은 놀림이었으니, 저가 무슨 용빼는 재주있다고 저걸 어찌할 방도.. 2021. 12. 10.
2021년 겸사겸사 정리 인터뷰 2021. 12. 10.
예산 가야사지 발굴조사 연표(2012~2020) 조사 지역 조사 구분 조사기간 면적 (㎡) 시대 유구 유물 조사기관 예산 가야 사지 중심 사역 추정 지역 시굴 조사 2012. 4. 9. ~ 2012. 5. 25. 4,231 - (추정)불전지 건물지 및 기단석축 금동불두편, 소조나발편 등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1차 발굴 2012. 10. 22.~ 2012. 12. 18. 2,000 통일 신라 ~ 조선 건물지 5동 (불전지, 답도, 배수로, 부석시설 등) 석조불상 8구, 금동불두, “加良岬”名文塼, “加良岬(寺)”名文瓦 등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2차 발굴 2013. 6. 20. ~ 2013. 9. 11. 1,600 고려 ~ 조선 건물지 3동 (답도시설, 연화대좌 등) “四月三日之加良岬寺”銘 명문기와, 석조불상 3구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3차 발.. 2021. 12. 9.
용인시박물관 역사체험실 2021.12.08.(수) 용인시박물관 역사체험실 (3층) 용인시박물관 3층에는 어린이를 대상으로한 역사체험실이 있습니다. 체험은 어린이(미취학아동) 혹은 초등학교 저학년 눈높이에 맞춰져 있습니다. 즉, 제 눈높이에도 아주 잘 맞았습니다.ㅎㅎ 용인시 역사를 체험을 하며 자연스럽게 알아보는 내용입니다. 평일 오후 늦은 시간이라 다행히 어린이 관람객이 없어 양해를 구하고 천천히 볼 수 있었습니다. 발굴단원이 되어 직접 발굴을 해보는 체험입니다. 오! 모자, 조끼, 신발, 유물박스까지~! 풀착장을 하면 정말 잘굴단원처럼 보일 것 같습니다. 꼬마 발굴단원! 아이들이 체험하는 공간이다 보니, 안전에 많은 신경을 쓴 모습이 보입니다. 모서리를 둥글고 부드럽게 마감한다던지, 부딛칠 만한 곳은 쿠션을 설치한다던지요. .. 2021.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