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36

둔芚과 동구미, 상장례의 필수품 둔(芚)이 무엇일까? 전근대 기록에는 유둔(油芚)이니 초둔(草芚), 지둔(紙芚) 같은 것들이 많이 나오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이르는지 알기 어렵다. 의궤에 많이 나오는데, 이는 상장례에 필요한 물품이었기 때문이다. 둔(芚)은 오늘날 동구미라는 뜻으로 풀이하는데, 동구미는 짚으로 둥글고 울이 깊게 결어 만든 그릇으로 주로 곡식이나 채소 따위를 담는 데에 쓰인다. 어쩌다가 둔(芚)이 동구미를 이르게 되었을까? 《세종실록》 5년 1월 9일에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좌대언(左代言) 권도(權蹈)의 어머니 숙경 택주(叔敬宅主) 이씨(李氏)가 죽으니, 부의(賻儀)로 종이 1백권, 초 열 자루, 초둔(草芚) 【띠[茅]를 엮어서 덮기도 하고 깔기도 하는데, 민간에서 이를 초둔이라고 한다. 】 과 관곽(棺槨)을 내.. 2021. 6. 4.
고려사를 읽다가 - 화가의 대우 이광필이라는 화가가 있었다. 고려 무신정권기를 살았던 인물인데, 초상화와 산수화에 능했다고 전해진다. 그런 그의 아들이 9품 군직인 대정에 올랐다. 그런데 이에 딴지를 건 인물이 있었으니... 이광필의 아들이 서경(西京)을 정벌한 공으로 대정(隊正)에 임명되자, 정언(正言) 최기후(崔基厚)가 잘못을 지적하며 말하기를, “이 아이의 나이가 겨우 20세인데, 서경 정벌 때에는 10세에 불과하였다. 어찌 10세의 어린아이가 종군할 수 있었는가?” 라고 하며 자기주장을 고집하며 서명하지 않으니, 왕이 최기후를 불러 꾸짖으며 말하기를, “너는 이광필이 우리나라를 빛낸 사실을 생각하지 않는가? 이광필이 아니었다면 삼한(三韓)에 그림의 명맥이 거의 단절되었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에 최기후가 서명하였다. 여기에.. 2021. 6. 4.
애꿎은 낙타 굶겨죽인 왕건 권13, 고려 태조 25년의 史贊. 忠宣王이 일찍이 臣 이제현에게 묻기를, ‘우리 태조 때에 거란이 보내온 낙타를 다리 아래에 매어 놓고 꼴이나 콩을 주지 않아 굶어 죽게 하였기 때문에 그 다리 이름을 '낙타다리'라 하였다. 낙타가 비록 中國에서 생산되지 않지만 중국에서도 일찍이 낙타를 기르지 않은 것이 아니다. 나라의 임금으로서 수 십 마리의 낙타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 피해가 백성을 해치는 데에는 이르지 않을 것이며, 또 이를 물리치면 그만이지 어찌하여 굶겨서 죽이기까지 하였을까?’ 하므로, 대답하기를, ‘創業하여 왕통을 전하여 주는 임금은 그 보는 것이 멀고 생각하는 것이 깊어서, 후세 사람으로는 따를 수가 없습니다. ... 우리 태조께서 이렇게 한 까닭은 장차 오랑캐의 간사한 계책을 꺾으려 함이었는.. 2021. 6. 4.
지자체 학예사와 문화재 전문가 지자체에서 문화재 지정 신청을 올리면, 소위 말하는 문화재 전문가, 교수, 박사, 문화재위원 등으로 조사위원이 꾸려집니다. 그리고 잘 아시겠지만 그동안 이 과정에서 지자체 학예연구사가 전문가로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경우가 극히 드뭅니다. 저는 지자체 학예연구직만큼 문화재 전문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현장에서 만나는 위원분들 눈에는 그저 실무 담당자일 뿐이죠. 학술적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도 중요하지만, 당해 문화재 가치뿐만아니라 거기에 따른 행정, 예산, 실무까지 알고 있는 학예연구사들이 더 현실적인 자문과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요즘엔 박사급 학예사들도 늘어나고 있어, 지자체 학예직들이 그 누구 못지 않은 전문가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경륜과 전문성을 갖춘 지자체 학예연구직들도 전문성을 .. 2021. 6. 3.
김유신이 울고 간 기괴 시체 옆방 힌두 결혼식 혼례 중 신부 숨지자 옆방 옮겨두고, 처제와 결혼한 인도 신랑 2021-06-03 16:21 신부는 결혼식 후 장례식 신부측, 지참금 때문에 결혼 동의한 듯 경사와 애사가 겹쳐 신부측 큰 혼란 혼례 중 신부 숨지자 옆방 옮겨두고, 처제와 결혼한 인도 신랑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인도의 한 남성이 결혼식 도중 신부가 사망하자 시신을 옆방으로 옮긴 뒤 그 신부의 여동생과 결혼식을 그대로 강... www.yna.co.kr 본래 땅덩어리가 크거나 인구가 많은 나라에선 상식이 용납하기 힘들 일이 빈발햐는 법이다. 결혼식 도중에 하필 신부가 사망한 일이 얼마나 황망하겠는가만 그걸 타개하는 방식이 참말로 기괴하다. 죽은 사람이야 어쩔 수 없으니 시신은 치우고 그 사이 구수대책회의가 있었던 모양.. 2021. 6. 3.
연천에서 막국수 먹고 동네 한 바퀴! 2021년 6월 2일 수요일 날씨 맑음, 기온 높음(29도!) 전곡선사박물관 이한용관장님의 추천으로 막국수집에 다녀왔습니다. 이 무더운 여름날 정말 딱 이었습니다! 신탄리역은 경원선의 종착역이었는데 지금은 폐역이 된 곳이라 합니다. 분단 이후 용산역에서 백마고지역을 오가는 열차로 바뀌었는데, 지금은 동두천에서 연천 구간의 전철화 공사로 인해 버스로 대체되고 있다 합니다. 평양메밀막국수 경기 연천군 신서면 연신로 1604 http://naver.me/GywVvjJx 평양메밀막국수 : 네이버 방문자리뷰 39 · ★4.35 · 매일 11:00 - 18:00 m.place.naver.com 사실 원래 가려고 했던 막국수 집입니다! 간판에서부터 메밀향 막~~ 맛집 포스가 느껴집니다. 하지만 하필 오늘 문을 닫았네.. 2021.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