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91 그로부터 10년, 공주는 또 변했다 오늘 오랜만에 공주를 다녀왔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공산성 성벽 붕괴 발굴현장 취재를 위해서였다. 이곳도 지금 때이른 여름 날씨에 이미 봄꽃 상당수는 진 상태였다. 하지만 이보다 나를 더욱 슬프게 만든 풍광은 경주와의 오버랩이었다. 경주는 볼짝없이 지금이 미어터지는 시즌이지만 같은 시각 공주는 한량하기 짝이 없다. 공주는 백제의 수도라 해서 고도古都로 지정된 곳이다. 하지만 고도의 풍광은 빈약하기 짝이 없어 그 면모야 공산성과 무령왕릉이 포진한 송산리 고분군, 그리고 그 인근 뼈다구 앙상한 정지산 유적이 있을뿐이다. 하지만 공주에는 비단 백제가 아니라 해도 고도의 면모라고 할 만한 유산이 제법이니, 공주 도심에는 대통사지와 그곳 당간지주가 있거니와, 하지만 아쉽게도 이곳은 이런 곳이 있다는 사실 자체도.. 2023. 4. 1. 이시다 미키노스케石田幹之助와 데루오카 야스타카暉峻康隆를 추억하며 한국을 반추하노라 이시다 미키노스케石田幹之助...1891년 지바 태생으로 도쿄제국대학 사학과 출신이다. 1974년 沒한 그는 국내에도 번역된 《장안의 봄》이라는 문체 유려하기 짝이 없는 역작 중의 역작을 남겼다. 石田幹之助 石田幹之助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 ja.wikipedia.org 데루오카 야스타카暉峻康隆...1908년 녹아도 태생인 일본의 근세 문학도다. 와세다대학 출신으로 그곳에서 교편을 오래 잡은 그에게는 역시 한국에는 《일본인의 사랑과 성》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日本人の愛と性》가 문체가 화려 찬란하기 짝이 없다. 暉峻康隆 暉峻康隆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 ja.wikipedia.org .. 2023. 4. 1. 조선 세조 연간의 불상 복장腹藏 도난 사건 세조 6년 경진(1460) 12월 25일(정유) 도적이 대자암大慈庵의 두 불상佛像의 복장腹藏을 훔쳤으므로, 명하여 도성문都城門을 닫고 수색하여 잡게 하였다. 【원전】 7 집 440 면 【분류】 사법-치안(治安) / 사상-불교(佛敎) [주-D001] 복장(腹藏) : 불상(佛像)을 만들 때에 가슴이나 배 속에 넣어 둔 금ㆍ은ㆍ칠보(七寶) 따위의 물건.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이식 (역) | 1978 ○丁酉/有盜竊大慈庵二佛像腹藏, 命閉都城門搜捕。 【태백산사고본】 8책 22권 35장 B면【국편영인본】 7책 440면 【분류】 사법-치안治安 / 사상-불교佛敎 *** 이 사안은 불상 도난에서 집중적인 강탈 대상이 되는 데가 그 복장腹藏임을 새삼 확인한다. 불상 자체가 도난품이 되는 일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적거나 .. 2023. 4. 1.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 포로 심문 자료 해방 후 5년이 지난 상태에서 20대 한국인 문맹률 상황을 볼 수 있는 자료다. https://db.history.go.kr/item/powr/main.do 포로신문보고서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현대사 포로신문보고서 ATIS Interrogation Reports 「포로신문보고서」는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미국 맥아더 사령관 예하의 「연합국번역통역국(ATIS)」이 1950년~1952년 사이 제작하 db.history.go.kr 당시 심문대상인 3천626명 중 무학이 724명, 소학교 졸업 이하가 1449명 (중퇴 포함)로 전체의 60-70프로를 차지한다. 소학교 졸업 이하는 대략 졸업과 중퇴가 반반 정도 되는 것 같다. 대학재학 이상은 193명이다. 50년대 한국군 군대 입영보도를 보면 전체.. 2023. 4. 1. 고려왕조를 증언하는 사료史料들 https://db.history.go.kr/KOREA/ 고려시대 史料 Databasedb.history.go.kr 고려사를 증언하는 자료집으로 가장 기본은 말할 것도 없이 고려왕조 멸망 뒤에 편찬된 기전체 고려사高麗史와 편년체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다. 두 사서는 요점을 축약했다는 절요節要라는 말에 이끌려 전자를 축약한 것이 후자 아닌가 하겠지만, 그것을 토대로 하기는 했지만 실상 별개다. 같은 사건을 전하는 것이 분명한데도 세밀한 차이가 나는 곳이 적지 않아 이런 차이나는 대목이야말로 그 사서가 무엇을 겨냥했는지를 파악하는 데도 중요하다. 각 시대 사료를 국사편찬위원회가 의욕으로 집성하기 시작했으니, 이 사업은 단군조선 이래 편수국이 수행한 가장 빛나는 사업 목록 중 하나로 꼽아야 한다. 저에는 고려시대.. 2023. 4. 1. 고구려 공략 유주자사는 관구검? 무구검? 2008.10.05 08:00:05 "고구려 공략 유주자사는 '무구검'" 日역사학자 '무구검 비석' 분석 소위 '관구검' 기공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 장수로 지금의 베이징 일대를 통치하던 지방장관이자 주둔군 사령관인 유주자사幽州刺史로 있으면서 동천왕東川王이 재위하던 서기 244-245년 고구려를 침공해 초토화시킨 사람은 '관구검'이 아니라 '무구검毋丘儉'임을 입증하는 자료가 중국에서 발견됐다. 일본의 한국고대사 연구자인 다나카 도시아키 田中俊明 일본 시가현립대학 교수는 최근 발간된 계간 '한국의 고고학' 2008년 가을호(통권 9호)에 투고한 '유주자사 이름은 '관구검'이 아닌 '무구검'이다'는 글에서 중국 산시성山西省 성도省都인 타이위안太原 소재 도관道觀(도교사원)이.. 2023. 3. 31. 이전 1 ··· 1867 1868 1869 1870 1871 1872 1873 ··· 364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