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35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백의리층 백의리층 한탄강 일대는 우리나라 최초로 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질공원으로, 2020년 7월 7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승인되었습니다. 임진강으로 흘러드는 한탄강은 용암대지로 하천 경계부에 주상절리가 발달해 있고, 그로 인해 단애가 형성되어 협곡과 절벽을 이룹니다. 그 중 한 곳으로 백의리층을 보고 왔는데요, 전곡선사박물관 이한용관장님 덕분에 볼 수 있었습니다. 여송 : 백의리층? 왜 이름이 백의리층일까요? 이한용관장님 : 아~~ 백의리는 지명이에요. 이 지질층이 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한탄강변에서 처음 발견되어 지질학적 명칭으로 ‘백의리층’ 이라 부르게 되었어요. 이한용관장님 : 연천지역에서는 20~30m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 아래에 아직 암석화 되지 않은 퇴적층이 분포하는데, 이러한 퇴적층을 백의리층.. 2021. 6. 3. 엄마야 누나야 같이 살자던 강변 백사장은 산림파괴의 유산 이명박이 대통령이 되어 이른바 사대강운하를 건설하네 마네 하다 결국 어정쩡한 사대강사업으로 귀결했거니와 내가 이해하는 한 이 사업은 강 준설과 강변공원 및 걷거나 자전차 타는 강변도로 건설로 드러났으니 어째 이 사업 그리도 비판하던 사람 중엔 걸핏하면 이명박도로 따라 자전차 타는 이가 많더라만 암튼 이 사업이 한창 진행할 적에 주로 환경보호론자들을 중심으로 그 반대논거 중 하나로 자주 내세운 것 중 하나가 모래무지였으니 이들은 굴삭기 굉음하는 모래사장 준설장면을 자극적으로 제시하면서 그렇지 않은 시대의 평화롭다던 백사장 사진을 대비하면서 이르기를 봐라, 이 아름다운 백사장이 사대강사업으로 이리 만신창이다 는 여론을 환기했거니와 그리하여 걸핏하면 그 강변에서 떼죽음했다는 물고기떼를 그 방증자료로 첨부하기도.. 2021. 6. 3. 2021 부산민속문화의 해 기념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 이 소식은 아래와 같이 우리 공장에서는 박상현 기자 손길을 거쳐 가공되었다. 왜관부터 자갈치까지…항도 부산의 과거와 현재를 보다 박상현 / 2021-06-02 15:14:23 국립민속박물관,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 특별전 개막 역사와 민속 알려주는 유물·자료 320여 점 선보여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61754833083 왜관부터 자갈치까지…항도 부산의 과거와 현재를 보다 국립민속박물관,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 특별전 개막역사와 민속 알려주는 유물·자료 320여 점 선보여(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한반도 동남쪽 끄트머리에 있는 대한민국 제2의 도시 k-odyssey.com 그 보도자료를 첨부한다. “어서 오이소! 진짜.. 2021. 6. 3. 산악인, 국가를 탈출한 사람들 서문이 강렬하다. 예일대 인류학 정치학 교수인 저자는 동남아시아 고산지대를 지칭하는 조미아 Zomia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일컬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늘날 평지의 왕국들은 그들을 "살아있는 조상"이라 생각하고 "논농사와 불교와 문명을 발견하기 전 우리의 모습"이라고 바라본다. 이런 인식과는 달리, 나는 산악민들을 지난 2천년 동안 노예제와 징병, 과세, 부역, 질병, 전쟁 등 평지의 국가만들기 과정의 폭정에서 달아난 탈주자, 도피자, 도망노예들로 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조미아, 지배받지 않는 사람들 - 동남아시아 산악지대 아나키즘의 역사 제임스 C. 스콧 지음 | 이상국 옮김 | 삼천리 | 2015년 06월 05일 출간 (2015. 6. 3) **** 이 책에 대한 다음 출판사 서평을 소개한다. ‘문명.. 2021. 6. 3. 혼동하는 king과 kingship, 내 아들이어야 하는가 나는 지금보다 훨씬 시간 격차가 지는 시간을 무대로 삼는 역사, 흔히 고대사나 상고사라로 일컫는 무대를 궁구하는 가장 큰 이유로 현재의 상대화를 꼽는다. 우리가 철석 같이 절대선이라 믿는 지금의 도덕은 시대를 조금만 거슬러 올라가도 허무하게 무너지는 일을 너무도 자주 경험하니 내가 한국사에서 흔히 드는 예화가 근친상간이다. 고모 이모 조카 그리고 애미 애비 중 한 쪽이 다른 친형제자매와도 결혼이나 성적 접촉은 흔했다. 아니 장려했다. 저에서 말한 내 아들이어야 하는 논제 역시 똑같아 권력 지위 재산 따위의 제반 일체 내가 소유한 모든 것을 내 자식, 특히나 아들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 지금의 신념 혹은 도덕도 한국사를 볼진댄 적어도 고려시대 이전엔 결코 성립할 수 없다. 정실에게서 적통 왕자를 두지 못한 .. 2021. 6. 3. 장이 약했던 고려말 임박林樸 선생 고려 말을 살았던 임박林樸이라는 사람이 1367년 제주안무사가 되어 바다를 건넜다. 그때 그가..... 도중에 나주(羅州)에 이르러 물을 항아리에 가득 채워 돌아갔으나, 비록 차 한 잔이라도 먹지 않았으니 민(民)이 크게 기뻐하면서 서로 이르기를, “성인(聖人)이 와싱가. 조정 관리들이[王官] 다 임선무(林宣撫) 같암시면 우덜이 무사 반란을 일으키잰 햄실건고?”라고 하였다. 그러나 제주 사람들 가운데 혹 물을 길어 온 것을 비난하는 자도 있었다. - 권111, 열전 24 임박전 뭍에서 온 관리가 물마저도 길어온 것을 누구는 백성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는 어진 마음씨로, 누구는 육지가 그리 좋더냐 하는 고까움으로 해석했다. 그런데 내 생각에는 아무래도 임박 본인이 물갈이가 꽤 심했던 게 아닌가 싶다. 2021. 6. 2. 이전 1 ··· 1871 1872 1873 1874 1875 1876 1877 ··· 32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