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9

구기동에 있었다는 통일신라 귀부 일제강점기 기록을 보면 이전 번역원이 있던 종로구 구기동에는 통일신라 때 귀부龜趺가 있다고 하였다. 1930년 2월 4일자 《조선일보》에 그 사진이 있다. 도대체 지금 어디에 있는 것이냐? 이번 종로구 신영동에서 발굴된 고려 건물터 바로 뒤 산등성이에 이 비가 있었다. 거리는 50미터쯤인 듯 *** 편집자주 *** 귀부 양식을 보면 통신보다는 고려 초 냄새가 난다. 2023. 3. 28.
전통시대 문화적 역량과 문맹률은 별개 한국과 중국은 오랜 문화적 전통이 있는 나라다. 중국은 말할 것도 없고 한국도 문자 사용의 증거는 2000년을 넘는다. 오랫동안 책을 펴내 읽었고, 고려시대에는 8만매가 넘는 목판 인쇄를 두 번이나 감행했고, 금속활자까지 발명해서 썼다. 조선시대에도 이러한 지적 전통은 계속 이어졌다. 일정숫자의 독서인구가 없이는 작동할 수 없는 과거제가 고려시대 이후 거의 천년이 이어졌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역사적 평가에 인색할 필요는 전혀 없다. 하지만 여기서 한가지 착각하면 안되는 것은, 근세-혹은 근대의 "문맹률" 혹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지식의 보급"은 이러한 전통시대 문화적 역량과는 완전히 별개의 물건이라는 것이다. 낮은 문맹률은 국민국가의 수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제조건이며, 근대국가가 작동하기 위해.. 2023. 3. 28.
일본의 식자율은? 에도시대 식자율이 엄청 높았다는 이야기를 일본인들 스스로도 이야기 하는데 그 근거는 의외로 박약하다. 개인적인 생각에는 에도시대 개항 전 일본인 전체 식자율은 조선과 별차이 없었을 것이라 본다. 에도시대는 분명히 동시기 조선보다는 경제사정이 훨씬 나았던 것은 분명한데, 조선과 질적으로 다른 사회는 아니었다. 앞으로는 이에 대해 후술하겠다. 에도시대에 대해 평가할 것은 평가해주지만, 필요 이상의 과대평가는 제3국 연구자 입장에서 무리할 필요 없는 것일 테니. 양국 식자율에 결정적 차이가 발생한 것은 메이지 시대 이후부터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20세기 들어 1925년 경에는 군대 징집병의 90프로 정도가 글을 읽을수 있었다고 하니, 20세기 초반에 일본도 급속도로 문맹률의 개선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3. 3. 28.
중국 문맹률 변화의 추이 다음은 중국의 문맹률이다. 중국의 경우, 문맹률의 변화를 보면, 지속적으로 떨어지지만 한국보다 문맹률 감소의 추세가 완만한 것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중국 문자체계의 문제, 그리고 60-70년대 문혁기간 때문이라고 본다. 2023. 3. 28.
학생부군신위, 내가 한문을 할 수밖에 없던 이유 앞선 글에 이어진다. 큰집에 가서 큰아버지께 지방을 받아오는 심부름이 내 차지였는데 나는 그게 그리 귀찮았다. 마침 1921년생인 선친보다 열살이나 많은 큰아버지도 연로하기 시작하셨으니 더 싫어졌다. 지방이라 해봐야 꼴랑 현고 학생부군 신위 현비 유인 성산배씨 신위 이것뿐이었으나 큰아버지는 글자를 아주 잘 썼고 나는 지금도 그 큰아버지 글씨를 따를 수 없다. 결국 어느 시점엔 내가 볼펜으로 쓰야 했다. 내 손으로 처음 쓰는 지방 글씨가 그리도 두려울 수 없었다. 그때가 내가 막 중학교 입학해 한문 이라기보다는 한자를 배우던 시절이었다. 교재라 해봐야 수욕정이풍부지 양약고구이어병 블라블라하는 교과서가 전부였지만 중삼 때인가 고등학생이 배우는 한문2인가 하는 교재를 입수하고는 춘야연도리원서며 적벽부를 읊조리.. 2023. 3. 28.
까막눈 천지였던 내 고향 이 블로그 필진인 畏友 신동훈 교수께서 이 즈음 계속 문맹률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주제인지를 설파하는 시리즈를 계속 중이라, 내 고향 이야기를 하려한다. 여러 번 썼지만 내 엄마 선친은 까막눈이셨다. 선친은 까막눈으로 살다 까막눈으로 가셨고 어머니는 지금은 까막눈은 아니시고 기본 한글은 비록 맞춤범은 엉망이나 쓸 줄도 알고 숫자도 쓸 줄 안다. 어머니가 까막눈을 면한 계기는 조카딸이었다. 이 조카딸이 외손녀라는 이유로 친손자에 견주어 갖은 차별을 받기는 하나 어이한 셈인지 천성이 그러한 것도 있고 해서인지 몰라도 툭하면 김천으로 행차해 할머니한테 아주 잘하는데 어느날은 보니 할머니한테 한글을 가르치고 있더라. 엄마가 까막눈을 벗어나기는 순전히 이런 조카딸 덕분이다. 문제는 김녕김씨 집성촌인 내 고향에서 .. 2023.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