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98

남자 시신 머리맡에 다리미는 왜? 1988년 영남대박물관이 조사한 경산 조영동 E2-1호분이다. 환두대도가 나온 걸로 보아 남자다. 축조연대는 조사단이 5세기 후반으로 봤다. 이제 다리미가 칠성판이라는 내 주장 어느 정도 수긍하리라 본다. 뭐 다리미로 머리카락 다릴 일은 없을 테니깐 (2016. 3. 23) *** 이 그림은 졸저 《직설 무령왕릉》(메디치미디어, 2016)에도 사용한 것으로 김해경 김선 두 선생이 맹글었다. *** 저 자리 저 시대에 일부 무덤에서는 약절구가 출토되기도 한다. 따라서 약물을 가공하는 도구일 가능성도 내치지 못한다. 이는 오세윤 선생이 지나가며 한 말인데, 고려할 만해서 적어둔다. (2022. 12. 9 추기) 2021. 3. 25.
돌 끝에서 오는 힘-전곡선사박물관 안녕하세요, 뮤지엄톡톡 여송은입니다! 드디어 제가 전곡선사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예~~~~~!!!! 개인적으로 이한용관장님 sns를 팔로우 하고 있어 약 2년 동안 전곡선사박물관 포스팅을 많이 보았기에 한 번도 가보지 않았지만 저에게는 아주 익숙한(?) 박물관이었습니다. (이렇게 반복학습이 중요합니다.ㅋㅋ) 눈으로만 보았던 박물관을 드디어 다녀왔습니다. 전곡선사박물관을 다녀온 분들의 후기를 보면, ‘구석기 시대로 타임슬립한 것 같다.’라고 많이 말하는데요, 왜 그렇게 느끼는지 알 것 같았습니다. 박물관에 있는 작은 사인물(안내판)부터 유물로 선사문화를 보여주는 전시실, 마치 구석기 시대에 착륙한 것 같은 느낌을 주는 박물관 건물까지 모든게 잘 어우러져 마치 구석기시대에 온 듯 즐겁게 놀았습니다. 박물관으.. 2021. 3. 25.
무령왕은 방구대장 뿡뿡 덧붙여 무령왕은 안젤리나 졸리다. 저 엉덩이 봐라! 고로 결론한다. 백제 무령왕은 방구대장 뿡뿡 안젤리나 졸리다! 새복에 일나서인가? 졸리다. 2021. 3. 25.
시냇물의 흐름은 쉬지 않는다 운여 김광업(1906-1976)의 작품 *** 천류불식川流不息 이라 천류를 강물의 흐름이라 새길 수도 있고 강물은 끊임없이 흘러 라고 보아도 좋다.(台植補) 2021. 3. 24.
학폭 운폭 군폭 선폭 각중에 선생한테 주먹으로 얻어터지던 중고교 시절이 생각난다. "이빨 깨물라레이" 그래요 고맙습니다 선생님. 아구창 터짐을 방지하려 하셨으니 감사해야지요? *** 학교폭력 학폭이 논란이다. 운동폭력 운폭도 문제다. 아직 뜨진 않지만 군대폭력 군폭은 블루칩이다. 하지만 저 모든 폭력을 합한 것보다 더 큰 폭력은 선생들에 의한 학생폭격인 선폭이다. 왜 그리 두들겨 팼는지, 스승의 날이면 선폭 폭로 함 해 보자. 2021. 3. 24.
무호無號 이한복李漢福, 그의 글씨 무호 이한복(1897-1944). 근대의 이름난 화가였지만, 당대의 거물 오창석의 제자에게 배워 글씨로도 일가를 이룬 사람이었다. 그러면서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書를 빼자 주장하는, 언뜻 모순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석사논문 하나만 나왔을 정도로 본격적인 연구가 많지 않은데, 언젠가 이분의 서예인식을 한 번 글로 써보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하지만 그런 사연을 떠나서라도, 글씨가 좋지 않은가 말이다. 멋을 낸 전서 글씨의 구조하며, 긴장미가 흐르는 형태는 또 어떤지. 2021.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