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0

용재慵齋 성현成俔(1439~1504)이 목도한 조선 초기의 북방 강제 사민徙民 길에서 입거인을 만나다〔路逢入居人〕 성현成俔(1439 ~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4권 시詩 못 보았는가 영호남은 사람 넘쳐나 / 君不見湖嶺人稠車接轂 천만 채 집 즐비하게 들어선 모습을 / 比櫛魚鱗千萬屋 또 못 보았는가 오랑캐 접한 국경엔 / 又不見龍荒朔野狄爲隣 초목만 우거지고 사람 하나 없던 모습을 / 灌莽滿目空無人 동남쪽은 꽉 차고 서북쪽은 텅텅 비어 / 東南富實西北虛 사람 모아 변방 채우는 일 늦출 수 없었네 / 募民徙塞不可徐 소 몰고 말 타고 어린아이 둘러업고 / 驅牛乘馬聯襁褓 고을에선 밥 대며 길 떠나게 재촉했지 / 州縣傳餐催上道 간장 찢어질 듯 소리 죽여 흐느끼니 / 呑聲暗泣肝腸裂 이웃 사람 듣고서는 같이 오열했지 / 隣里聞之共嗚咽 천리길 고생하며 황벽한 들에 와서 / 間關千里到窮郊 .. 2023. 1. 7.
백운거사, 소성거사를 만나다 원효대사元曉大師라고 하면 주무시다 해골바가지에 담긴 물을 마시고 득도했다는 일화(실제일 가능성은 적다고 하지만)나 개울에 발을 헛디뎌 이룩한 요석공주와의 로맨스로 유명할테지만... 원효라는 분을 그렇게만 평가하고 기억한다면 신라의, 나아가 한국 불교에 대한 실례가 아닐까? 그분의 사상을 논하려면 책 하나로도 모자랄테니 넘어가겠지만 말이다. 그분이 파계한 뒤에는 머리를 기르고 중생 속으로 뛰어들어 스스로를 소성거사小性居士라 하였다. 그는 신라 사람들의 사랑을 듬뿍 받았고, 왕조가 바뀐 뒤에도 많은 이들의 큰 존경을 받았다. 그래서 머리 기른 원효 스님의 초상을 개인적으로 모셨던 스님도 있었던 모양이다. 우리의 술꾼 이규보 어른이 그 소성거사의 초상을 보고 글을 하나 올린 것이 있다. 내가 영聆 수좌首座 족.. 2023. 1. 7.
21분 만에 해치운 엘긴 마블스 촬영 브리티티 뮤지엄 British Museum 을 뽀갠다는 심정으로, 그리하여 그 상설전시품은 모조리 담겠다는 심뽀로 사흘 연짱 찍어댄 사진들을 그 섹션에 따라 분류한 것들로, 모두 15개 하위 폴더로 나누어 외장하드에 갈무리해두었으니, 이걸 언젠가는 제대로 써 먹겠지 했다가 그냥 창고로 전락하고 말아, 개중에서도 앗시리아 편은 외우 주원준 박사한테 모조리 던져준 적이 있다. 저 중에 엘긴 마블 Elgin Marbles 코너는 별도로 독립해 두었으니, 내가 문화재 반환에 관심이 큰 까닭도 있고, 또, 그것이 아니라 해도 저때만 해도 뭔가 제대로 함 파고들어 보리라 만용을 부리던 시기이며, 덧붙이건대 내 꿈은 세계 온라인박물관 구축이라, 그 일환으로 내가 담는 데까지는 다 담아서 모조리 공개할 날이 있으리라는.. 2023. 1. 6.
트롯트-엔카에 대하여 예전에 트롯트가 한국 전통가요라는 말을 들으면 굳이 지금 어른들이 많이 듣는 것을 부정할 생각이야 없지만, 태권도가 한국고유의 무술이라는 주장을 듣는 것처럼 영 어색하기 짝이 없었다. 필자가 학생때 트롯트는 일본 음악이라는 주장을 화려한 음계 분석에 입각하여 증명한 분도 계셨는데 이론적인 부분이야 나보다 그 분들이 더 알 테니 굳이 토를 달 생각은 없다. 그런데. 일본의 초창기 트롯이라는 것을 들어보면 그 나라 전통 마쓰리때 부르는 노래하고 별 차이 없다는 느낌을 받는데-. 문제는 코가마사오古賀政男가 나오면서 노래 분위기가 왕창 바뀐다는 것이다. 이때부터 우리가 아는 엔카-트롯의 분위기가 나기 시작하는데. 코가마사오는 잘 알려진 것처럼 고등학교까지의 학창시절을 조선에서 보냈기 때문에 (선린상고 졸업) 이.. 2023. 1. 5.
사마천은 어떻게 사기를 남겼는가 予友蓋邦式, 嘗爲予言: “司馬子長之文章, 有奇偉氣, 切有志於斯文也, 子其爲說以贈我.”내 벗 합방식이가 일찌기 나한테 말하기를 "사마천의 문장은 기위한 기풍이 있어 이 문장을 본받고자 한다. 그대 나를 위해 사마천에 대한 글을 지어 내게 줄 수 있겠는가"予謂: “子長之文章, 不在書, 學者每以書求之, 則終身不知其奇. 予有『史記』一部, 在名山大川壯麗可怪之處, 將與子周遊而歷覽之, 庶幾乎可以知此文矣.子長平生喜遊, 方少年自負之時, 足迹不肯一日休, 非直爲景物役也. 將以盡天下之大觀, 以助吾氣然後, 吐而爲書, 今於其書觀之, 則平生之所嘗遊者, 皆在焉.내가 이르기를: "사마천의 문장은 책에 있는 것이 아니오. 학자들이 매번 이를 책안에서 구하니 종신토록 그 기위한 기풍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내가 사기 한부가 있는데 명산.. 2023. 1. 5.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해양문화재》 원고모집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해양문화유산 관련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연2회(6월·12월)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2023년 전반기『해양문화재』 (KCI 등재지) 제18호에 게재할 원고를 모집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응모자격: 해양문화유산에 관심 있는 연구자 · 일반인 ✅모집분야: 해양문화유산 관련 주제 (역사·민속·문화인류·고고학·미술사·보존과학·선박·해양공학 등) ✅ 원고형식 및 분량 - 기획논문, 일반논문: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 - 연구노트, 특별기고, 보고문, 단신, 총설 등: 200자 원고지 50매 내외 ✅투고기한: 2023년 3월 31일(금) ✅투고방법:『해양문화재』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www.seamuese.jams.or.kr) 이용 ✅기타사항 - 원고.. 2023.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