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88 황비홍의 전유물 황비창천경煌丕昌天鏡 이는 고려시대 동경銅鏡 연구로 동국대서 박사학위를 받은 최주연 선생 일러인데 업어온다. 말로는 완성본 아니라 하는 듯한데 이걸로 끝이다. 저 황비창천은 황비홍이 들고다니던 구리거울이다는 게 내 해석이다. 아래는 이 동경에 대한 서울역사박물관 설명이다. 황비창천경 | 유물 > 소장유물정보 > 소장유물 검색 | 서울역사박물관황비창천경 유물명 황비창천경 유물번호 서울역사013909 수량(점) 1 시대 한국(韓國) 고려(高麗) 크기 지름 : 16.9cm 재질 금속(金屬) 주제/장르 동판(銅板)의 표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을 museum.seoul.go.kr 동판(銅板)의 표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을 비추어볼 수 있도록 청동(靑銅)으로 만든 거울. 황비창천경(煌丕昌天鏡)이다. 동경(銅鏡)은 동판(銅板)의 .. 2021. 1. 9. 툭하면 그물에 딸려온다는 밍크고래 영덕 앞바다서 6천250만원 '바다의 로또' 밍크고래 잡혀 송고시간 2021-01-08 15:03 손대성 기자 영덕 앞바다서 6천250만원 '바다의 로또' 밍크고래 잡혀 | 연합뉴스 영덕 앞바다서 6천250만원 '바다의 로또' 밍크고래 잡혀, 손대성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1-01-08 15:03) www.yna.co.kr 한국은 포경을 금지한다. 잡으면 재피간다. 국제포경금지조약에도 가입했다. 국제법에 가입했으니, 국제법은 국내법에 우선하니, 당연 빠따로 국내법에서는 그에 따른 처벌을 규정한다. 수산어법인가 뭔가에서 관련 규정이 있다. 하지만 어디 그게 그런가? 살다 보면 고래가 자연스럽게 죽을 수도 있고, 지들끼리 치정에 얽힌 살해사건이 날 수도 있는 거고, 또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가끔씩.. 2021. 1. 9. 전영장田英章이 되살린 구양순체 전영장田英章, 생존 인물이니 ‘톈잉장’이라고 표기해야 하나? 1950년생 범띠이다. 며칠 전 청나라 요맹기 해서체를 소개했거니와, 전영장은 현존 인물로서 당나라 구양순체歐陽詢體를 가장 잘 익히고 재현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중국과 일본의 서예계에서 교육 및 작품활동을 하여 서예계 대표인물이 되었으며, 중국서화협회 종신작가이다. 얄미울 정도로 글씨를 잘 썼다. 어찌 시기 질투하지 않을 수 있으랴! *** 이상은 순천향대 홍승직 선생 글을 전재한다. 요맹기姚孟起가 쓴 유우석刘禹锡《누실명陋室铭》 요맹기姚孟起가 쓴 유우석刘禹锡《누실명陋室铭》 당나라 때 유우석刘禹锡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 짤막한 글 《누실명陋室铭》을 청나라 때 서예가 요맹기姚孟起가 해서체로 쓴 것을 핀터레스트에서 발견했다. 글씨 참 잘 썼다. 요맹기.. 2021. 1. 9. 개판 십견도十犬圖 십견도十犬圖 【十犬图册】 清,佚名,绢本,设色。纵37.2厘米,横23.3厘米 此图册为乾隆时期的宫廷画家所绘,表现猎犬“守则有威,出则有获”,“骨相多奇,仪表可嘉”的主题。画法工整,具有一定的程式。对开有内廷侍臣陈邦彦、王图炳、励廷仪、张廷玉、蒋廷锡、张照、薄海等书写的《山海经》及晋傅休奕的《走狗赋》、唐杜甫的《天狗赋》等诗赋。 대만고궁박물원 소장 2021. 1. 9. 왕사신汪士慎《묵매도墨梅圖》 청나라 왕사신汪士慎《묵매도墨梅圖》 汪士慎(1686年-1759年),字近人,號巢林,又號溪東外史,安徽歙縣人。清代画家,“扬州八怪”之一。 生於歙縣富溪村,好飲茶,有“茶仙”之稱。善诗,精篆刻和隶书;性愛梅,常至梅花嶺賞梅,擅畫花卉,笔墨清劲。居揚州以賣畫為生,安貧樂道。晚年雙目失明。有《巢林画集》。 2021. 1. 9. 전라도 장성땅 소주무덤 보해총寶海塚, 일명 소주총이다. 주민등록상 명칭은 장성 영천리 고분이다. 지금은 전남 장성군 보해소주 공장 경내에 있으니 입구 경비실 들어가자마자 경내 오른쪽 마당 구석에 위치한다. 그 전면엔 보해소주 창건주 추모비가 있어 첨엔 이 분 무덤인 줄 알고 내가 저리 명명했다.(기록을 보면 보해양조(주)는 1950년 임광행이 창립했단다.) 그나저나 저분은 좋겠다. 매일 소주에 쩔어사니 말이다. 안내판을 보니 전남대박물관이 1986년 6월에 조사하고 91년 3월에 현재 자리로 이전했다 하거니와, 원래 위치는 이곳에서 동북쪽 100미터 지점이라 한다. 당시 전남대 사학과 학생으로 발굴에 참여한 이곳 독거노인 행주기씨 호철씨 전언에 의하면 불대산 자락 능선을 따라 백제시대 고분군이 밀집했다 한다. 봉분이 원래 크기.. 2021. 1. 9. 이전 1 ···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 32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