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73 질러갔으나 더딘 경주의 봄 혼자탄 버스 앞좌석에 앉아 경주 시내 들어가며 나캉 언뜻 연배가 엇비슷할 듯한 운전 여사장님과 이캉저캉 얘기 나누다가 창밖으로 스치는 풍광 보니 여직 봄이 더디기만 한지라 그가 이르기를 매화 산수유 생강 정도만 폈고 나머진 아직 기다려야 한단다. 그 여파였을까? 대릉원 지나는데 이 사장님이 오른편 거대 황남대총을 보라하면서 말한다. 저 무덤 있지요? 저 가분데에 몽련이 하나 있는데 꽃이 피가 지깁니데이. 전국에서 사진재잉들 다 몰리와가꼬 난립니데이 말을 끊었다. 아지메 오세유이라고 알아여? 그 인간이 그 모양으로 맹글랐어. 이렇다 할 반응은 없고 계속 목련 얘기다. 왜 경주사람이면 오세윤 이채경을 다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내도 몰라. 김천가서 물어봐라 김태식 아냐고. 암튼 이른 줄은 알았으나 겨울이 .. 2021. 3. 7. 지하에 쳐박힌 아우구스투스 영묘靈廟 2천년 역사 로마제국 초대 황제 무덤 새단장…14년만에 공개 전성훈 / 2021-03-06 21:35:15 2천년 역사 로마제국 초대 황제 무덤 새단장…14년만에 공개 2천년 역사 로마제국 초대 황제 무덤 새단장…14년만에 공개(로마=연합뉴스) 전성훈 특파원 = 고대 로마제국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 영묘가 14년 간의 복원 작업을 마치고 최근 재개방돼 주목을 받고 있다. 아우구스투스(BC 63∼AD 14년)는 기원전 31년 악티m.k-odyssey.com 우리 공장 로마 특파가 전한 이 소식을 접하고는 우선 내가 현장을 봤는지 아니했는지 아리까리 해서 저곳이 어디메인가 구글지도에 얹어봤더니 이래와 같다. Piazza di S. Agostino, 8건축물 · Piazza di S. Agostino, 8ww.. 2021. 3. 7. 석가탑 다보탑은 국립경주박물관에 무심히 보이는 이 탑을 보고는 석가탑 다보탑이 불국사가 아닌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여기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 이 무심한 탑이 석가탑 다보탑 맞다. 1970년대 유신 치하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 일환으로 새로운 경주박물관을 만들면서 이것도 만들어 세웠다. 실물 크기다. 아무래도 두 탑이 신라 문화를 대표한다 해서 그리했으니 상당한 공을 들였으니 저 모조탑도 역사 반세기를 맞으니 제법 티가 난다. 저 탑을 세울 적엔 그 모델인 두 탑이 없어질 때를 대비하는 생각도 있었으니 그때는 오직 이 탑이 남아 실물을 대체하게 된다. 저 두 탑이 실제 모델과 다른 점은 이것이 순전히 문화재라는 관점이 투여한 결과물이라는 사실이다. 본래 불탑은 석가모니 부처님 산소라 그의 시신인 사리를 봉안하는.. 2021. 3. 7. 소금소금한 곰소염전에서 곰소염전, 한 번쯤 들어 봤으리라. 곰소라는 지명은 과거에 소금을 곰소라고 부른데서 유래한다는 설과 곰소 일대 해안의 형태가 곰처럼 생겼고 작은 소(沼)가 존재한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전해진다고 한다.(출처:다음 백과사전) 어릴 적, 화성시 마도면을 지나면서 보았던 염전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던 터라, 염전을 보자마자 차를 세우고 달려가 보았다. 화성시 마도면 염전이야기 곰소염전은 우리나라에서 몇 안 되는 천일염 생산지로 조선시대에는 줄포만에서 곰소만까지 화염(바다물을 끓여 만든 소금)을 만들었다고 한다. 지금의 곰소염전은 1936년 일제말기에 연동마을에서 호도(범섬)와 웅연도, 작도를 연결하는 제방을 쌓으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45헥타르(약 13만6천평)의 규모를 자랑한다. 남쪽에 줄지어 소금창고를 세우고.. 2021. 3. 6. 이유 설명이 없는 《징비록》, 담을 넘는 구렁이 나는 서애西厓가 일본의 침략이 없다고 보고한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을 《징비록懲毖錄》에서 시종일관해서 감싸고 두둔하려 했다고 했거니와 그것이 어떻게 《징비록》에서 구현되는지를 보자. "(임금 선조가)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김성일을 잡아서 옥에 가두려 했으나 (압송한 김성일이) 서울에 이르기 전에 (죄를 용서하시고) 도리어 초유사招諭使로 삼았다" 이것이 임란 발발 초반기에 일어난 일이다. 한데 이 대목에서 세심히 볼 것은 서애는 도대체 선조가 왜 느닷없이 전란의 와중에 경상도지역 군사를 관할하는 최고책임자인 학봉을 체포했는지 설명이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선조는 왜 김성일을 잡아들였는가? 이는 실록을 보면 의문이 풀린다. 김성일은 임란 발발 직전 일본에 파견한 통신사 일원에서 넘버 2인 부사副使로 일본에 가.. 2021. 3. 6. 구미성리학역사관? 구미? 성리학?? 구미라는 데가 나 같은 김천 사람들한테는 참말로 독특한 데라, 보잘것없는 이곳이 산업도시로 우뚝 선 때가 박정희시대라, 특히 나처럼 유서 깊은 도시라 해도 같은 김천이 아니요, 산골깡촌 출신으로 어린시절을 그곳에서 보낸 사람들한테는 그곳은 누나 형들이 국민학교 혹은 중학교 졸업하고서, 혹은 일부가 실제로도 그러했지만, 그것도 아쉬어 중간에 때려치고 돈벌러 간 데가 구미공단이었으니 내가 이미 고등학교에 가야하는 시절에는 유신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박정희 또한 총탄에 가고 없었으니, 더구나 그 총탄 세례를 퍼부은 이가 내가 나온 김천고교 재단인 송설학원 소속 김천중학교 교사를 역임한 전력이 있어 더 그랬겠지만, 나맹키로 헐벗은 사람들은 선택의 기로에 잠시 서게도 한 곳이니 그때 고교 진학 선택권으로 주어진 .. 2021. 3. 6. 이전 1 ··· 2331 2332 2333 2334 2335 2336 2337 ··· 36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