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49

국역 한글고전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db.sejongkorea.org/세종한글고전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만든 세종한글고전 사이트로 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정속언해, 경민편, 여사서언해, 여소학언해, 효경언해, 여훈언해, 향약제생집성방, 오륜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db.sejongkorea.org 2020년 12월 현재 동 기념사업회가 원문을 제공하는 한글고전 역주 성과물은 다음과 같다. 불교서 : 석보상절 / 월인석보 / 월인천강지곡 / 불교용어사전 / 능엄경 언해 / 법화경 언해 / 원각경 언해 윤리서 : 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정속언해 / 역주 경민편 / 역주 여사서언해 / 역주 여소학언해 / 역주 효경언해 / 역주 여훈언해 / 역주 오륜행실도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과학서 : 국역 향양제생집성방 2020. 12. 25.
한국·중국 세시기歲時記 역주譯注 국립민속박물관이 기획한 조선대세시기와 중국대세시기 시리즈물이다. 역주물 전부를 공개한다. 세시기라 할 적에 가장 중요한 한국과 중국의 문헌은 망라한 역작이다. 아래 각각 링크하면 원문다운로드가 가능하다. 1. 조선대세시기Ⅰ 국립민속박물관 > 자료마당 > 자료이용 > 발간자료 > 카테고리별(목록) 발간자료 구분 학술자료집 책제목 조선대세시기Ⅰ 소제목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번역총서 1 --> 도서종류 --> --> --> 발간부서 --> --> --> --> 발간년도 20031227 발간언어 한국어 --> 발간지역 --> --> --> www.nfm.go.kr 이에 수록된 세시기는 다음과 같다. 조수삼 세시기 조운종 세시기속 권용정 한양세시기 권용정 세시잡영 김형수 농가십이월속시 최영년 명절풍속 2. 조선대세.. 2020. 12. 25.
믿을 것 못 되는 족보 족보는 얼마나 믿을만한 기록일까? 정신 나가고 할 일 없는 영감님들 가운데 선조가 족보에는 이리 훌륭한데 실록에는 나쁘게 실렸다고 고쳐달라며 국사편찬위원회 괴롭히기도 한다. 우리집안은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돌아가신 분과 산 사람 모두 합쳐 4만명이 조금 넘는다. 자세히 보면 남녀 성비가 극악한 수준이다. 아들 낳는 재주가 탁월해서가 아니라 필요치 않으면 빼버려서 그런 것이다. 여러분 족보라고 다를 줄 아는가? 족보 믿지 마시라. 2020. 12. 25.
제자리걸음 창비 단재 저술들이 근대 한국 내셔널리즘 성전이듯이 창비는 현대 한국 내셔널리즘 본산이다. 자본주의 맹아론이며 내재적 발전론이니 하는 저항적 민족주의는 창비를 토대로 꽃을 피웠다. 그땐 내셔널리즘은 저항과 독재에의 항거에 더할 나위 없는 구호였고 당위였다. 그 점에서 창비, 그리고 그것의 80년대 버전인 역비가 이룩한 족적은 지울 길이 없다. 하지만 나는 이젠 창비와 역비는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본다. 폐간해야 한다고 본다. 아날은 끊임없이 옷을 갈아입었지만 저들은 내 보기엔 변신에 실패했다. 창비와 역비가 사는 길은 그 존재이유인 내셔널리즘을 버리는 데 있다고 보지만,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존재이유를 버리는 것이 삶의 포기가 아닐진댄, 그것이 새로운 삶을 도모하는 길일진댄, 그것을 부여잡고 있으니 가망.. 2020. 12. 25.
코로나팬데믹의 월드스타 앤서니 스티븐 파우치 Anthony Stephen Fauci 파우치 '집콕' 팔순잔치…바이든 부부, 축하노래 불러 트윗 게재 송고시간 2020-12-25 07:51 정윤섭 기자 워싱턴DC, '파우치의 날' 선언…온라인에 생일 축하 메시지 넘쳐 www.yna.co.kr/view/AKR20201225010700075?section=international/all 파우치 '집콕' 팔순잔치…바이든 부부, 축하노래 불러 트윗 게재 | 연합뉴스 파우치 '집콕' 팔순잔치…바이든 부부, 축하노래 불러 트윗 게재, 정윤섭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2-25 07:51) www.yna.co.kr 우리네 정은경도 그렇고, 저와 같은 보건의료분야 종사자, 특히 공직자들이 언론에 자주 고개를 들이 민다는 게 결코 좋은 일은 아니다. 저런 친구들은 뒤에서 조용히 자기 할 일 하는.. 2020. 12. 25.
단군조선 이래 한반도에 일부다처제는 존재한 적 없다 이 말은 하도 여러 번 했지만, 여전히 헷갈리는 사람이 많아 다시 정리한다. 조선시대, 그리고 그 이전 고려며 신라 백제 고구려 모두 왕을 필두로 하는 돈과 권력을 쥔 자들이 여러 여자를 거느린 일을 들어 일부다처제가 아니냐 하고, 실제 무슨 얼어죽을 일부일처제냐 하지만, 단언하지만, 단군 이래 이 땅에 일부다처제가 존재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그렇다면 저 많은 마누라는 무엇인가? 세종은 마느래만 28명인가 29명을 거느렸다 하고, 그리하여 잦은 잠자리 여성 교체는 매독을 불러오지 않았는가 하는 구설이 있거니와, 마느래가 29명이라는 것과 그들 모두가 정식 부인이라는 것과는 제우스가 내려치는 번갯불과 여름철 반디 한 마리가 내는 빛의 차이만큼 왕청나다. 한 남자에게 같은 시기에 법률이 허용하는 정식 .. 2020. 1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