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73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실견한 간다라미술 총화 '석가모니 고행상' 간다라 미술의 절정…석가모니 고행상을 마주하다송고시간 | 2019-11-18 07:01파키스탄 라호르박물관 보존…헬레니즘과 인도 불교 만나 탄생원행스님 "20년만에 다시 봐도 경탄"…한국서 실물 전시 가능성 커져 파키스탄 정부 초청에 의한 조계종 총무원의 현지 방문이 조금은 우여곡절이 있었다고 안다. 파키스탄 정정이 오죽 불안한가? 그에 따라 총무원 역시 그 정정이 좀 안정될 때까지 미뤘으면 했다고 알지만, 어떻든 당초 예정대로 현지를 가게 됐다. 우리 공장에서도 종교 담당 기자를 동행 취재케 했는데, 파키스탄 정국을 고려할 때, 보내야 하나 말아아냐 하나 한순간 고민은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나는 갔으면 했고, 실제 그리 되었으니, 양정우 기자가 갔다. 가기 전에도 현지 통신사정이 좋지 않아 .. 2019. 11. 18.
시대를 역행하는 권인하, 그리고 이광조는 어디에? '천둥호랑이' 권인하, 26년만에 음악순위 프로그램 출연송고시간 | 2019-11-17 20:31 뭐랄까? 그냥 단순히 옛날 노래 우라카이 하는 일을 리메이크remake라 편하게 하자. 보통 이런 리메이크는 젊은 가수가 선배 가수들 노래를 자신의 창법을 비롯한 다양한 변주를 곁들여 재가공하는 일이어니와, 이런 리메이크가 이전엔 크게 각광받지는 않은 그런 느낌이 있다. 아무래도 순수 창작은 아닌 까닭일 터다. 권인하라고 하면, 내 세대에는 강인원, 김현식과 같이 부른 '비 오는 날의 수채화'가 대표하는 그런 옛날 가수지만, 내 세대 감성을 대변하는 그런 가수이기도 했다. 이들이 나보다 연배는 좀 높긴 하나, 그네들이 우리 시대의 감수성을 담은 노래를 불러제꼈기 때문일 것이다. 한데 권인하는 이런 시대 흐름.. 2019. 11. 18.
홍수라는 고고학자, 폭우가 노출한 고대 석관 '폭우·강풍 덕에' 伊 남부서 고대로마시대 추정 석관 드러나송고시간 | 2019-11-17 22:48 요새 이탈리아가 기상재해로 말이 아닌 모양인데, 폭우에 베네치아가 쑥대밭이 되었다는 소식을 전하더니만, 이번에는 새로운 고고학 발굴소식도 보탠다. 우리 공장 로마특파원 전언에 의하면, 폭우를 동반한 강풍에 각종 피해가 속출하는 이태리 남부, 그러니깐 수도 로마를 기준으로 그 남동쪽으로 약 600㎞가량 떨어진 남부 풀리아주 항구 도시 포르토 체사레오 해안가에서 오래된 석관이 최근 노출되었다는 것인데, 그 주변에서는 두개골을 비롯한 인골까지 발견되었나 보다. 폭우에 노출된 석관이 어느 시대에 속하는지 고고학도들이 조사 중이라는데 고대 로마제국 시대에 속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나온 모양이다. 땅속 깊이.. 2019. 11. 18.
무덤나무 측백 측백[柏]은 동아시아에선 무덤을 장식하는데 주로 썼다. 그리하여 측백이 우거졌단 말은 곧 그 무덤이 오래되었단 비유이기도 했다. 한국무덤에선 그닥 흔한 풍경이라 할 순 없으나 중국에 가서 제왕의 무덤을 보면 예외없이 측백 고목이 즐비한 이유가 이것이다. 한데 측백도 그 종류가 워낙 다양한지 요즘은 거리로 활보한다. 죽은 사람 집을 장식하던 측백이 요즘은 산사람 집 울타리 정원을 장식하는 일을 자주 본다. 2019. 11. 17.
이시다 미키노스케石田幹之助 《장안의 봄》 항용 한시라면 패턴이 있어 1. 작가 소개2. 원문과 번역 주석3. 작품 소개 혹은 감상평 이 세 가지가 근간이 아닌가 한다. 이 《장안의 봄》은 이런 한시 읽기의 근간을 뒤흔든 혁명이다. 그 방대한 전당시를 깡그리 해체하고는 그에서 드러나는 천수백년전 도시문명이 곧 지금의 서울 명동거리와 하등임을 드라마틱하니 보여준 역작이다. 이 장안의 봄은 문화사학도들의 봄날 아지랑이다. 이를 읽고 감명받지 않은 이 없음이로대 이를 뛰어넘는 후속작이 나오지 아니함은 무엇인가? 감히 보건대 공부가 넓지 않고, 공부가 넓대도 깊지 않고, 공부가 깊어도 사색이 동반하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해 본다. 아, 만발한 내년 장안의 봄 모란을 그려본다. (이상은 November 15, 2014 글이다) 《장안의 봄》은 이시다 미키노.. 2019. 11. 17.
줄포만 너머 변산반도 바라보는 미당 고향 지난 주말, 고창에 들른 김에 기간 보지 못한 곳을 보자 해서 미당시문학관을 찾았다. 인근에 동아일보를 창간한 인촌 김성수 생가도 있어 같이 둘러봤다. 뒤로는 소요산이 병풍처럼 막아섰더라. 혹닉 수준은 아니나, 미당시를 나는 좋아한다. 2019.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