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80

장훤(長萱) 첨해니사금 때 이찬으로서 서불한이 되어 국정을 관장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2년(248) 봄 정월에 이찬 장훤(長萱)을 서불한으로 삼아 나라의 정치에 참여시켰다. 2018. 3. 13.
부여경사(夫餘慶司) 백제 제21대 개로왕 이름이다. 백제 왕실은 부여에서 나왔다 해서 부여(夫餘)를 성으로 썼으므로, 풀네임은 부여경사다. 삼국사기 권제25(백제본기 제3) 개로왕 즉위년 : 개로왕(蓋鹵王)은 이름이 경사(慶司)이고 비유왕(毗有王) 맏아들이다. 비유왕이 재위 2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개로왕(蓋鹵王) 2018. 3. 13.
경사(慶司) ☞부여경사(夫餘慶司) ☞개로왕(蓋鹵王) 2018. 3. 13.
개루왕(蓋婁王) 백제 제4대 왕이다. 재위기간은 서기 128∼166년. 기루왕 아들이다. 재위기간 북한산성을 쌓았으며 신라와 충돌하기도 했다.삼국사기 권제23(백제본기 제1) 개루왕 조 : 개루왕(蓋婁王)은 기루왕 아들이다. 성품이 공순하고 행실이 올발랐다. 기루가 재위 52년에 죽자 왕위에 올랐다. 4년(131) 여름 4월에 왕이 한산(漢山)에서 사냥했다. 5년(132) 봄 2월에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쌓았다.10년(137) 가을 8월 경자에 형혹(熒惑)이 남두(南斗)를 범(犯)했다. 28년(155) 봄 정월 그믐 병신에 일식이 있었다. 겨울 10월에 신라 아찬(阿) 길선(吉宣)이 반란을 도모하다가 일이 탄로나 도망해 왔다. 신라 왕이 글을 보내 그를 (돌려달라) 청했으나 보내지 않았다. 신라 왕이 노하여 군사를 거느.. 2018. 3. 13.
근개로왕(近盖鹵王) 백제 제21대 개로왕을 지칭하는 다른 이름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1대 개로왕(盖鹵王)은 근개로왕(近盖鹵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을 경사(慶司)이다. 을미년에 즉위해 20년을 다스렸다.☞근개로왕(近蓋鹵王) ☞개로왕(蓋鹵王) ☞근개루(近蓋婁) 2018. 3. 13.
개로왕(盖鹵王) 백제 제21대 왕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삼국사기에는 '蓋鹵(개로)'라 씌었으나 같은 말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1대 개로왕(盖鹵王)은 근개로왕(近盖鹵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을 경사(慶司)이다. 을미년에 즉위해 20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2대 문주왕(文周王)은 문주(文州)라고도 한다. 개로(盖鹵)의 아들이다. 을묘년에 즉위했다. 도읍을 웅주(熊川)로 옮겼다. 2년을 다스렸다.☞개로왕(蓋鹵王) 2018.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