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43

김헌창(金憲昌) 신라 헌덕왕 사후 왕위 계승 김경신과의 왕위계승전쟁에서 패배하고는 명주로 물러난 김주원의 아들로, 헌덕왕 때 무진주 도독을 시중이 되었다가 다시 청주도독으로 나갔다. 이어 웅천주도독으로 옮긴 이듬해(822)에 아버지가 왕이 되지 못한 한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한때 위세를 떨치다가 결국 진압되고 그 자신은 죽임을 당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애장왕 : 8년(807) 봄 정월에 이찬 김헌창(金憲昌)을 시중으로 삼았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헌덕왕 : 5년(813) 봄 정월에 이찬 헌창(憲昌)을 무진주 도독으로 삼았다. 6년(814)...가을 8월에 서울에 바람이 불고 안개가 끼어 밤과 같았다. 무진주 도독 헌창이 [중앙에] 들어와 시중이 되었다. 8년(816) 봄 정월에 시.. 2018. 3. 26.
김주원(金周元) 무열왕 김춘추 6세손으로, 신라 혜공왕 13년(777)에 시중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는 위치에 섰다가 선덕왕이 후사 없지 죽자, 왕위계승권자로 사실상 지명되었지만, 상대등 김경신(金敬信)에게 선수를 빼앗겨, 명주로 물러났다. 그의 아들 김헌창이 아버지가 왕이 되지 못한 한을 품고 웅천주를 근거지로 난을 일으키기도 했다. 삼국사기 권제9(신라본기 제9) 혜공왕 : 13년(777)...겨울 10월에 이찬 주원(周元)을 시중으로 삼았다.삼국사기 권 제44 (열전 제4) 김양 열전 : 김양(金陽)은 자가 위흔(魏昕)이고, 태종대왕 9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찬 주원(周元), 할아버지는 소판 종기(宗基), 아버지는 파진찬 정여(貞茹)이니 세력있는 집안으로써 모두 장수와 재상이 되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2018. 3. 26.
2001년의 무령왕릉 발굴 30주년 특집 무령왕릉 발견․발굴이 30년을 맞은 2001년, 나는 ‘’을 마련하고, 동년 6월 18일 ‘한성을 등진 어린 왕자’를 시발로 동년 7월 21일 ‘무령왕릉과 박정희’에 이르기까지 총 15회에 걸쳐 관련 기사를 내가 몸담은 연합뉴스를 통해 송고했다. 무령왕릉 발굴 저간의 이야기로는 그 발굴 책임자였던 김원룡의 몇 마디 사죄성 언급과 조사단 일원인 조유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에 의한 간단한 정리가 있기는 했다. 하지만 나는 이것으로써 무령왕릉을 맡길 수는 없었다. 그에 벼르고 벼르다 이 특집을 생각했던 것이니, 이 특집이 공간된 이래, 이곳저곳 출처도 없이, 무령왕릉 발굴비화라고 해서 이들 기사가 마구잡이로 떠돌아다니기 시작하고, 이제는 급기야 그것을 정리한 뿌리조차 잃어버리기에 이르렀다. 내가 풍찬노숙 시절에 .. 2018. 3. 26.
A cloudy Seoul? Seoul in Fog or Smog, do'nt know, maybe in both, Viewed from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in the center of the capital is located along the Sejongno, a main road that cuts through the capital city. 2018. 3. 26.
김춘추의 여인들(2) 그의 세 딸 김춘추는 진덕왕을 이어 655년 즉위하고는 그 이듬해를 기해 새로운 시대가 열렸음을 보여주는 인사 조치를 취한다. 삼국사기 권제5 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2년(655) 조를 보면 이해 봄 3월에 자식들을 분봉하니, 맏아들 법민(法敏)은 다음 보위를 점지한 태자로 삼는 한편 나머지 여러 아들 중 문왕(文王)은 이찬, 노차(老且)는 해찬(海飡), 인태(仁泰)는 각찬角飡, 그리고 지경(智鏡)과 개원(愷元)은 각각 이찬으로 삼았다. 둘째아들 인문(仁問)이 빠진 까닭은 아마도 당에 가 있었기 때문인 듯하다. 그렇다면 이들은 각각 누구 소생인가? 삼국유사 기이(紀異) 2가 '태종춘추공(太宗春秋公)'이라는 제하로 수록한 이야기를 보면 "태자 법민(法敏)·각간(角干) 인문(仁問)·각간 문왕(文王)·각간 노차(老且)·.. 2018. 3. 25.
김춘추의 여인들(1) 김유신이 기획한 막장드라마 김춘추金春秋는 신라 제29대 임금으로, 진평왕 25년(603)에 태어나, 진덕여왕이 재위 8년 만인 654년 봄 3월에 돌아가자 신하들 추대로 왕위에 올라, 8년을 다스리다가 661년 음력 6월에 돌아가니, 향년 59세였다. 4년 만에 폐위된 진지왕 손자이면서, 아버지는 생부生父가 이찬伊飡 용수龍樹이며, 양부養父가 이찬 용춘龍春이라, 어머니는 진평왕 딸인 천명부인天明夫人이다. 천명은 진평과 마야부인摩耶夫人 소생이라, 선덕은 그의 동부동모同父同母 동생이다. 그의 비는 문명文明이라 하거니와, 실제 태종무열왕으로서의 정비正妃는 시종일관해서 오직 문명이 있을 뿐이다. 문명이 누구인가? 아버지는 각찬角飡 혹은 각간角干을 역임한 김서현金舒玄이며, 어머니는 진평왕 어머니요, 동륜태자비인 만호태후의 사녀私女인 만명공.. 2018.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