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경술經術과 문장文章, 동아시아 2천년 논쟁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3. 1. 1.
반응형
본문과 암짝에도 관계없음



"경술經術과 문장文章은 원래 두 가지가 아니다. 육경六經은 모두 성인聖人의 문장으로 모든 사업事業에 나타나는 것인데, 지금 글을 짓는 자는 경술에 근본할 줄을 모르고, 경술에 밝다는 자는 문장을 모르니, 이는 편벽된 기습氣習일 뿐만이 아니라 이것을 하는 사람들이 힘을 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성현成俔의《용재총화慵齋叢話》 卷之一 첫 구절이다. 그에 대한 원문은

"經術文章非二致。六經皆聖人之文章。而措諸事業者也。今也爲文者不知本經。明經者不知爲文。"


왜 성현은 《용재총화》 대문으로 이 문장을 삼았을까?

이거 허심히 보아 넘겨서는 안 된다.

이것이 동아시아 문필 역사 2천년을 구속한 논쟁이다.

성현은 저리 말했지만, 성현 시대까지만 해도, 조선 지식인 사회는 압도적인 문장 우위의 시대였다.

저 문장이 이 시대 다른 표현으로 사장詞章이라는 말로도 자주 보이는데, 사장이 득세한 시대였다.

그에 대한 반동으로 성현 시대 직후엔 이른바 경술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거하는 시대로 접어든다.

조광조니 김일손이니 하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때가 성현 직후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참고로 내가 싫어하는 시대로 접어든다.

(2018. 2. 18)


****


경술經術이냐 문장文章이냐는 글을 지을 적에 소비자 중심이냐 공급자 중심이냐는 논쟁이다.

경술은 간단히 말해서 사상 중심이라 내가 말하고자 하는 맥락을 중시한다. 이쪽은 문장을 화려하게 꾸미려 하지 않고 대체로 무미건조하게 쓴다.

반면 문장은 독자 중심이라 그들이 어찌 받아들일지를 고민하며 문장을 어케든 팔아먹으려 한다. 그래서 이쪽은 각종 화려한 문체를 구사한다.

이는 결국 문질빈빈文質彬彬 논쟁이라 文[꾸밈]에다 방점을 두면 자연 문장이 화려해지고 質[바탕]에 초점을 두면 설교밖에 더 되겠는가?

유가의 종장 공자는 그 조화를 주창했으니 공자라면 고리타분할 거 같지만 실은 가끔, 아니 자주 개그맨 뺨치는 희극인이었다.


*** related article ***


문질빈빈文質彬彬, 동아시아 글쓰기 이천오백년의 쟁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