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자는 방송대 일문학과 대학원 교수님들 지도로
지금까지 몇 편의 일본 고전을 읽었거나 읽고 있는데 내역을 보면 이렇다
헤이케모노가타리
태평기
도카이도쥬히자쿠리게
겐지모노가타리
이 일본 고전들은 모두 일본사 교과서에도 실려 있을 정도로 유명세를 누리는 바-.
그 내용을 보면 우리 나라에서 이 책들이 나왔다면
나오는 족족 태워 없앴거나 쓴 사람이 잡혀가 곤욕을 치렀거나
아예 쓸 엄두도 못냇을 내용이 대부분이라.
헤이케모노가타리: 왕은 제쳐두고 무사들끼리 치고 받으니 조선시대에 극히 혐오한 고려무신정권 시기의 내용을 연상시킴
태평기: 그나마 한국사에서도 읽혔을 만한 내용. 무가정권에 저항한 근왕 무사들의 이야기라.
토카이도쥬히자쿠리게: 처음부터 끝까지 술집에 여자 이야기라 이 소설은 나오자마자 저자들은 끌려가 곤장 맞고 책은 불태워졌을 가능성이 백프로임.
겐지모노가타리: 세계최초의 소설이라는 이름에 무색하게 내용은 엽기적인 내용이 가득한지라 이 책이 쓰여졌다 해도 후세에 읽혔을 가능성이 제로에 수렴한다.
요약하자면 이렇다.
일본이 자랑하는 중근세문학은 멀리 볼 것 없이
요즘으로 치면 K 드라마 대본이다.
K드라마 대본 중에서도 요즘 가끔 막장으로 욕을 먹는
아침 드라마 막장 드라마 그것이라-.
읽는 사람을 의식하고 오직 대중의 흥미에 영합하며 쓴지라
그 안에는 온갖 연애 이야기, 여자 이야기에 엽기적 내용이 가득한데
이런 이야기도 수백년 천년 가까이 내려오며
그 내용에 삽화를 다하고 음악을 더하고 평론을 더하고 하다 보니
거대한 문학적 구성물이 된 것 아니겠나.
우리 조선시대의 문학-.
요즘으로 치자면 주제의 제약이 너무 많았다는 생각이다.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재일기를 쓴 구한말 공인 지규식 선생 (0) | 2025.10.25 |
|---|---|
| 칼 떼고 벌어 먹고 살 수 있는 자 (1) | 2025.10.25 |
| 하재일기에서 비치는 구한말 양반 (0) | 2025.10.25 |
| 하재일기에서 보는 19세기 말의 경제외적 강제 (0) | 2025.10.24 |
| 족보를 사면 그 다음은? (0) | 2025.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