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도마뱀도 촌놈이랑 도시놈은 사회성이 달라!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9. 25.
반응형

도시 벽도마맴이 훨씬 더 사회성 높아

 

도시 서식지의 흔한 벽도마뱀wall lizards(Podarcis muralis). 이 사진은 돌담 위에서 햇볕을 쬐고 있는 수컷 두 마리와 암컷 두 마리를 보여주는데, 이는 도시 지역에서 관찰되는 일반적인 집단 간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 출처: Biology Letters (2025). DOI: 10.1098/rsbl.2025.0326

 
by Kristina Nienhaus, Bielefeld University


거리, 벽, 콘크리트 - 도시는 혹독한 환경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동물들은 놀라울 정도로 잘 적응한다.

빌레펠트 대학교의 Biology Letters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흔한 벽도마뱀wall lizards (Podarcis muralis)은 시골보다 도시 지역에서 훨씬 더 사회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빌레펠트 대학교Bielefeld University 제1저자 에이버리 마우네Avery Maune가 이끄는 연구팀은 크로아티아의 도마뱀 개체군을 연구하여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생물학부 바바라 캐스퍼스 교수 연구팀 박사 과정 연구원 마우네는 "우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의 벽도마뱀은 자연 서식지의 벽도마뱀보다 훨씬 더 많은 접촉을 유지하고 더 강한 유대감을 형성한다"고 말한다.

"이 도마뱀들은 보통 영역 의식이 강하고 서로를 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는 놀라운 사실입니다." 

도시 구조는 친밀감을 촉진한다

연구진은 사회적 패턴을 밝히기 위해 행동 연구에서 개체 간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방법인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했다.

결과는 명확했다.

도시 서식지에서 벽도마뱀은 더 많은 연결을 형성하고, 더 가까운 접촉을 유지하며, 더 자주 무리를 지어 관찰되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도시 환경 구조와 연관한다.

밀폐된 표면, 제한된 은신처, 그리고 먹이나 햇볕이 잘 드는 곳과 같은 불균등하게 분포된 자원은 동물들을 더 가깝게 만든다.

그 결과, 이웃에 대한 관용이 커지는데, 이는 자연 서식지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행동이다. 

연구진에게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행동적 특징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마우네는 "새로운 사회적 전략을 개발하는 능력은 종이 도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매우 중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More information: Avery L. Maune et al, City lizards are more social, Biology Letters (2025). DOI: 10.1098/rsbl.2025.0326. royalsocietypublishing.org/doi … .1098/rsbl.2025.0326 

Journal information: Biology Letters 
Provided by Bielefeld University


***


이 연구가 인간사회에는 어찌 발현할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