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우즈벡 남부서 9,000년 전 야생 곡물 채집 유적 발견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8. 26.
반응형

농업 기원에 대한 기존 가설에 도전

 
by 막스 플랑크 학회Max Planck Society 

2019년 토다 동굴Toda Cave 발굴. 사진: 로버트 슈펭글러

 
신석기 시대 농업 시작은 현대 인류 문화의 진화에 중요한 발전이었다.

과학자들은 아프리카, 아메리카, 동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농업이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발전했다는 데 동의하지만

밀, 보리, 콩과 같은 많은 주요 작물 기원은 비옥한 초승달Fertile Crescent 지대와 약 1만 년 전 나투프인Natufians으로 알려진 사람들의 야생 곡물 수확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번 학제간 연구팀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최소 9,200년 전까지는 우즈베키스탄 남부와 같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 기준 북쪽과 동쪽 지역에서도 낫날sickle blades로 야생 보리wild barley를 수확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게재되었다. 

이 연구는 농업으로 가는 디딤돌 역할을 한 문화적 발전이 이전에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게 일어났음을 보여주며,

농경이 한 집단의 인구 압박이나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 연구는 베이징 척추동물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Institute of Vertebrate Paleontology and Paleoanthropology  저우 신잉(Xinying Zhou)이 이끄는 국제 학자팀이 사마르칸트 고고학 연구소Institute of Archaeology in Samarkand 소장 파르하드 막수도프Farhad Maksudov 감독 하에 수행했다.

우즈베키스탄 남부 수르칸다리야 계곡Surkandarya Valley에 있는 토다 동굴Toda Cave을 발굴하는 동안, 연구팀은 동굴에서 가장 오래된 층에서 석기, 목탄, 식물 유적을 발견했다.


토다 동굴Toda Cave이 위치한 우즈베키스탄 남부 수르칸다리야 계곡Surkhandarya Valley 전경. Credit: Robert Spengler


막스 플랑크 지구인류학 연구소 로버트 슈펭글러Robert Spengler가 주도한 고고식물학 조사 결과, 토다 동굴 주민들이 주변 계곡에서 야생 보리를 채취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다른 식물 유물에는 야생 피스타치오 껍질wild pistachio shells과 사과 씨앗이 포함되어 있었다.

석회암으로 만든 날blades과 박편flakes으로 이루어진 석기의 사용-마모use-wear 분석 결과, 농업이 행해진 것으로 알려진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과 유사하게 풀이나 식물을 베는 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잉은 "이 발견은 과학자들이 채집에서 농경으로의 전환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놓을 것이다. 전환기적 행동이 얼마나 널리 퍼져 있었는지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스펭글러는 "고대 수렵 채집인들은 이미 농업의 기원으로 이어지는 문화적 관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고 덧붙였다.

"점점 더 많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축화가 인간의 의도적인 의도 없이 이루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사람들이 농업으로 이어지는 행동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켰다는 발견은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합니다." 

 

익으면서 낱알이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가는 현대 야생 보리 표본. 사진 제공: 로버트 슈펭글러


연구진은 이 시기 중앙아시아에서 이러한 행동이 얼마나 흔했는지 계속 조사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팀은 이러한 곡물이 형태학적으로 야생 보리를 이용한 초기 경작 사례일 가능성을 더욱 탐구하고 있다.

만약 곡물이 재배되었다면, 이는 농업의 다른 기원에 대한 실험이 있었거나,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통이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일찍 동쪽으로 전파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어느 쪽이든, 향후 연구는 인류 역사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존재하는 많은 공백을 메울 것으로 예상된다.


More information: Zhou, Xinying et al, 9,000-year-old barley consumption in the foothills of central Asi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25). DOI: 10.1073/pnas.2424093122. doi.org/10.1073/pnas.2424093122 

Journal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rovided by Max Planck Society 


***


또 중국고고과학이다.

눈부실 정도의 급성장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