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밀렵 더는 용납 못해! 코뿔소 뿔에다 추적 장치 삽입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8. 1.
반응형

https://youtu.be/p1dn2RhQc1A

 
리소토프 프로젝트(Rhisotope Project)는 코뿔소 뿔에다가 탐지 및 추적 장치를 함으로써 밀렵업자들을 효과적으로 제지하고자 한다.

6년간 집중적인 연구와 시험 끝에 리소토프 프로젝트는 현재 공식적으로 가동 단계에 진입했다고.

이제 코뿔소는 핵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보호받게 되는 시대를 맞았다고.

이 프로젝트는 저준위 방사성 동위원소를 코뿔소 뿔에 삽입하여 불법 밀거래를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림포포 코뿔소 보호소Limpopo Rhino Orphanage 수의팀이 흰코뿔소white rhino를 관찰하는 동안, 리소토프 프로젝트 최고과학책임자인 제임스 라킨 교수는 흰코뿔소 뿔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고 있다. 사진 제공: 위츠 대학교/샹테 샤츠

 
이러한 방사성 동위원소는 전 세계 국경에 설치된 방사선 탐지 장비를 통해 검출될 수 있으며, 밀거래되는 뿔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고 한다.

그 일환으로 6개월 전, 유네스코 워터버그 생물권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코뿔소 20마리 뿔에다가 저준위 방사성 물질을 삽입했다.

동물의 혈액 검사 및 수의학적 검사 결과, 사용된 방사성 동위원소 농도가 코뿔소가 무해한 것으로 확인되고는 이리 밀어부쳤다고 한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소재 위트워터스랜드 대학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위츠 대학Wits University) 연구자들이 주도한다.

"우리는 이 과정이 동물에게 완전히 안전하며 국제 세관 핵 보안 시스템에서 뿔을 탐지하는 데 효과적임을 과학적 의심의 여지 없이 입증했다"고 리소토프 프로젝트 최고 과학 책임자이기도 한 위츠 대학교 제임스 라킨James Larkin 교수는 말했다.

코뿔소에게 해롭지 않음

연구진은 생물학적 선량 측정법을 사용하여 혈액 샘플을 배양하고 백혈구에서 소핵 형성을 조사했다.

이는 세포 손상을 나타내는 입증된 지표다.

시범 실험 기간 동안 20마리 코뿔소에서는 이러한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핵의 효과적인 활용

"이것은 위츠 대학교 연구원들이 어떻게 혁신적인 방식으로 일하고 사고하는지를 보여주는 한 가지 예일 뿐입니다. 

실험실의 임상 환경을 벗어나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에 대한 대담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기 위한 헌신을 통해 종종 그 이상을 추구합니다."

위츠 대학교 부총장 겸 학장인 제블론 빌라카지Zeblon Vilakazi 교수 말이다.

리소토프 프로젝트는 남아프리카 코뿔소의 높은 불법 밀렵 수준을 퇴치하기 위해 시작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뿔소 개체수를 자랑하는 남아프리카는 10년 넘게 코뿔소 뿔의 불법 밀렵과 싸웠다.

이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준위협종(Near Threatened)"인 흰코뿔소(Ceratotherium simum)와 "심각한 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인 검은코뿔소(Diceros bicornis)로 분류한 이미 적은 개체수를 멸종 위기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림포포 코뿔소 보호소Limpopo Rhino Orphanage 수의팀이 흰코뿔소white rhino를 관찰하는 동안, 리소토프 프로젝트 최고과학책임자인 제임스 라킨 교수는 흰코뿔소 뿔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고 있다. 사진 제공: 위츠 대학교/샹테 샤츠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Rafael Mariano Grossi IAEA 사무총장은 "이 프로젝트는 핵과학이 어떻게 새로운 방식으로 적용되어 전 세계적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말했다.

"기존 핵 안보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멸종 위기에 처한 종 중 하나를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작동 원리

연구진은 시스템의 탐지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실제 케라틴keratin (코뿔소 뿔의 구성 요소인 유기 물질)과 동일한 차폐shielding properties 특성을 가진 3D 프린팅 코뿔소 뿔을 사용했다.

라킨은 "3D 프린팅된 뿔을 기내 반입 수하물, 항공 화물, 우선 소포 배송 시스템에 장착하여 운송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실제 사용 시보다 방사능 수치가 훨씬 낮은 뿔 하나만 있어도 방사선 검출기에서 경보가 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실험을 통해 40피트(약 12.6m) 크기 컨테이너 안에서도 개별 뿔을 감지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Provided by Wits University 

 
***

 
도전이 있으면 응전이 있는 법. 저를 타개할 방법을 밀렵꾼님들이 생각하지 않고 있겠는가?

혹 아는가? 뿔에다가 은박지 씌우면 추적을 피할 수 있는지. 

반응형

댓글